장편소설 ‘나가사키 파파’ 내놓은 구효서
중견 소설가 구효서(51)씨가 ‘악당 임꺽정’ 이후 8년 만에 새 장편소설 ‘나가사키 파파’(문학에디션 뿔 펴냄)를 내놓았다.
‘나가사키 파파’는 외할아버지의 가죽공장에서 일하다가 일본으로 떠난 ‘정 군’이 자신의 생부라는 사실을 알게 된 스물한살의 ‘나’(한유나)가, 그를 찾기 위해 나가사키로 건너와 음식점 ‘넥스트 도어’에서 조리사로 일하면서 시작된다. 이 음식점에서 만나는 별난 성격과 취미를 가진 동료들이 제각기 다른 사연을 간직하고 있어 유대감은 별로 없지만, 일에 대한 열의만큼은 대단하다.
‘나’의 엄마 박성희는 그동안 딸에게 풀어놓지 않았던 옛 이야기를 이메일로 띄워 보낸다.‘나’는 엄마의 메일을 통해 자신의 출생의 배경을 알아가게 되는 동시에,‘평범’하지 못한 넥스트 도어의 동료들에게는 동질감이 새록새록 깊어진다.
●가볍고 도발적인 필치로 변신 시도
“장편 ‘악당 임꺽정’ 출간 이후 단편을 쓰면서 뭘 쓸까,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어느날 갑자기 ‘아버지’라는 화두가 불현듯 머릿속에 잡히더라고요. 그게 동기가 돼 ‘나의 아버지는 무엇인가.’를 되묻는 이번 소설을 쓰게 됐죠.” ‘진정한 아버지는 뭔가’‘혈육이라는 것은 뭔가’를 수없이 자문하다 보니, 어느 순간 기존의 가족관념을 타파하고 핏줄 중심의 사회에 대해 딴죽을 걸고 싶었다고 작가는 고백한다. 아버지로 대표되는 혈통, 고향, 넓게는 민족, 국가, 인종 등의 울타리를 짓고 공통의 정체성을 강요하는 것들에 대해 반기를 들고 싶었다는 얘기다.
●“한번도 써보지 않던 섹스소설에 도전”
“개인적으로는 너무나 당연하고 자명한 사실에 대해 헤살을 놓는 것을 좋아합니다. 이번 소설 전까지는 헤살을 놓는 방법이 진지했죠. 자료 중심으로 논리적으로 정면 돌파했어요. 하지만 이번에는 달라지려고 노력했습니다. 논리적이기보다는 유머가 넘치고 경쾌하며 발칙하고 도발적인 개그하는 기분으로 말이죠.” 하여 지금까지의 진지함에서 일탈하고 싶었다는 그는 이번 작품에서는 대화와 지문, 문어체와 구어체, 한국과 일본, 친아버지와 양아버지가 한데 뒤섞여 혼재하는 양상으로 드러내 보인다.
작가가 소설에 소품의 하나로 요리를 올린 점도 나름대로 까닭이 있다. 별개의 재료들이 합쳐져서 제3의 요리맛을 내듯, 이질적인 존재들이 한데 모여 새로운 무엇인가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50대가 스물한살짜리 여성으로 돌아가려는 것이, 영혼과 육체를 맞춰가는 것이 그렇게 쉽게 되겠어요. 아유, 답답하고 숨막히기도 하고….” 작가는 이제 변신을 준비하고 있다. 등단 21년째인 지금까지 한번도 써보지 않은 ‘야한’ 섹스소설에 도전하겠단다.
“섹스가 인간의 마지막 비밀이잖아요. 캄캄한 밤에 자기들만의 공간에서, 아주 내밀하게 이뤄지는 성행위가 어떻게 비슷할 수가 있죠. 좀 이상하지 않습니까. 이를 낱낱이 파헤쳐보고 싶습니다.”1만원.
글 김규환기자 khkim@seoul.co.kr
사진 남상인기자 sangin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