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의원100명 설문결과/내각제는 ‘긍정적’ 연내개헌 ‘부정적’
대한매일이 13∼14일 이틀간에 걸쳐 여야 국회의원 100명을 상대로 실시한 ‘내각제 개헌’에 대한 긴급 설문조사 결과는,기본적으로 의원들의 내각제 선호도가 높다는 점을 확인시켜 준다.
찬성 52%,반대 41%라는 조사 수치만으로 보자면 개헌선(재적 3분의2)에는 못미친다.하지만 설문 과정에서 반대입장을 표명한 의원들의 상당수도 “현 시점에서 적절하지 않지만,궁극적으로는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는 태도를 보였다.
때문에 내각제 문제는 향후 정치권에서 끊임없이 대두될 것이며,이를 고리로 정개개편 논의가 진행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내각제 찬성론자들은 한나라당에서 더 많았고,민주당에서도 찬반이 팽팽했다.한나라당에서는 영남권,민주당에서는 호남권 의원이 많았으며 대부분 중진 의원들이었다.
특히 한나라당의 찬성자들은 “유효 투표의 절반 가까이를 얻고서도 사표(死票)로 버려야 하는 불합리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면서 ‘전부 아니면 전무(全無)’가 되는 대통령제의 ‘단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한편 여야 공히 초·재선이나 소장파 의원 중에서도 몇몇은 내각제에 손을 들기도 했다.조사대상 가운데 한나라당 7명,민주당 4명이다.
이에 대해 ‘당장 17대 총선에서 당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내각제를 선호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지만,일부에서는 ‘정계개편 가능성을 염두에 둔 때문일 것’이라는 시각도 나왔다.
민주당의 한 대표적인 개혁파 의원이 “대단히 민감한 사안이어서 답할 수 없다.”고 한 것이나, 한나라당의 한 젊은 의원이 “현 시점에서의 내각제 거론은 동기가 대단히 불순해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한 것은,정치권에 이런 시각이 없지 않다는 방증이다.
반대론자들은 대체로 내각제를 받아들일 수 없는 이유로 ▲분단 현실에서의 국군통수권의 문제 ▲지역대립 심화 우려 ▲계보정치 고착 등의 폐해를 들었다.민주당 개혁파들은 노무현 정부가 출범하지도 않았는데 벌써 내각제를 이슈로 들고 나오는 것은 한나라당과 민주당내 구세력들의 개혁에 대한 저항의식이 깔려있다고 비판한다. 한나라당 서상섭(徐相燮) 의원은 “궁극적으로는 중대선거구와 내각제를 실시해도 무방하지만,현 정치권의 인적구조로는 나눠먹기에 불과하다면서 인적청산 이후에나 도입해야 발전적인 모습을 띨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반대론자들도 17대 총선을 전후해서는 ‘내각제 개헌’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내다본 의원들이 많았다.
김경운 이지운기자 kkw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