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엉금’ 中 ‘성큼’/ 美시장 점유율 비교
세계 최대 수출시장인 미국에서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 일본의 아성을 상당히 무너뜨렸으나 중국으로부터 맹추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OTRA가 29일 내놓은 ‘미국에서의 한·중·일 경합도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한·중·일 3개국의 미국 시장 점유율 1위 품목은 2002년 말 기준으로 한국은 휴대전화(47억 84000만달러) 1개에 불과한 반면 중국은 데이터처리기(91억 4700만달러) 등 15개,일본은 승용차(351억 4300만달러) 등 4개 품목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15개·한국 1개·일본 4개로
12년전인 1990년 점유율 1위 품목은 한국이 신발류 등 2개,중국이 완구류 등 3개에 그친 반면 일본은 승용차 등 16개 품목이었다.
1등 상품의 변화를 보면 한국은 품목만 바꾸고 제자리 걸음을 하는 사이 일본 1위품목이 중국으로 옮겨간 꼴이다.
미국의 총 수입규모는 지난 90년 4953억달러에서 지난해 1조 1614억달러로 두배 이상 증가했다.
이 기간 한국은 휴대전화의 수출액이 무려 2222%나 증가했고,기계부품 801%,승용차 504%,자동차부품 324% 등의 신장세를 보였다.반면 의류,가구,완구류 등은 중국에 시장을 넘겨주었다.
같은 기간 중국은 데이터처리기(17→1위),자동차부품(9→6위),기계부품(20→1위)분야에서 급성장,한국과 일본의 아성을 압박했다.
일본은 승용차(1위 유지),자동차부품(2위 유지),내연기관(1위 유지) 등이 높은 경쟁력을 유지한 반면 데이터처리기(1위→6위),전자회로(1위→5위),휴대전화(1위→4위) 등으로 시장을 중국과 한국에 빼앗겼다.
●한국, 일본 우위품목 21개로
특히 한국은 중국과의 경쟁에서 우위 품목이 33개에서 18개로,경쟁 품목이 13개에서 11개로 각각 감소한 반면 일본과의 경쟁에선 반대로 우위품목이 10개에서 21개로 늘었다.그러나 한국은 2002년 수출액 기준 상위 5대 품목인 승용차(시장점유율 5위),휴대전화(1위),전자회로(2위),데이터처리기(7위) 등의 비중이 전체 대미수출의 55%나 돼 품목의 다변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반면 중국은 상위 5대 품목의 비중이 전체 대미수출의 25%에 불과했고,일본도 수출비중이 45% 정도로 조사됐다.
KOTRA 해외조사팀 허병희차장은 “급신장하는 중국과 가격경쟁을 벌이는 것은 이미 무의미해졌다.”면서 “중국이 가격을 낮추고 수출량을 늘리는 사이 우리나라는 신규 수요창출 등과 같은 비가격경쟁력을 키우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