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위/우리나라 국가경쟁력 한단계 밀려 정치부패 48위… 주요부문서 ‘낙제’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지난해보다 한 계단 떨어진 세계 25위를 기록했다.경쟁력 저하는 정치 부패와 근로자 및 행정관료의 낮은 경쟁력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사단법인 산업정책연구원(IPS)이 16일 발표한 ‘국가경쟁력보고서 2003’에 따르면 전세계 68개국을 대상으로 8개 부문 272개 변수를 적용해 국가 순위를 매긴 결과,우리나라는 48.50점을 얻어 국가경쟁력 순위가 25위에 그쳤다.
우리나라 경쟁력은 2001년 22위,2002년 24위에 이어 3년째 하락세를 보여 주력산업 및 미래성장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등 국가경쟁력 제고방안이 절실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부문별로 우리나라는 기업가(16위)와 전문가(20위)의 경쟁력은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근로자(39위),생산요소 조건(59위) 등은 중하위권으로 나타났다.정치가는 뇌물 및 부패문제(48위),경쟁력(58위),입법시스템의 공정성 및 효율성(43위) 등 대부분 분야에서 낙제점을 받았다.행정관료도 뇌물 및 부패(36위),해외투자촉진 노력(43위),노동쟁의에 대한 중재역할(42위) 등에서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반면 경쟁력 1위는 미국,2위는 스웨덴,3위는 캐나다가 차지했고,우리나라의 경쟁국인 싱가포르는 5위,홍콩은 7위,일본은 19위를 기록했다.
책임연구를 맡은 조동성 서울대 교수는 “시급히 해결할 개선과제는 정치권의 정쟁 중단,국가 마스터플랜 구체화,노사 집단이기주의 극복,기업 등 사회전반의 투명성 제고와 교육의 질 선진화 등”이라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