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바이유 배럴당 35弗 넘으면 GDP 3.67% 줄어든다
미국 서부텍사스중질유(WTI)가 14년 만에 40달러를 돌파한 가운데 중동산 두바이유가 배럴당 35달러를 넘으면 국내총생산(GDP)은 3.6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에너지경제연구원 김태헌 책임연구원은 12일 ‘최근 고유가 상황이 국내경제 및 석유수요에 미치는 영향분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1,2차 오일 쇼크 때의 거시변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두바이유의 연평균 유가가 35달러에 이르면 GDP는 3.67%,소비 1.22%,투자 2.45%,경상수지 18.6%,고용 3.06%,실질임금 2.14%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소비자 물가는 1.53%포인트,이자율은 7.96%포인트 인상을 초래해 고유가가 경제성장 전반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별로는 석유화학(6.01%),운수·보관 서비스업(4.83%),시멘트(2.16%) 등이 생산비 상승으로 생산량이 줄 것으로 보인다.
반면 두바이유 가격이 30달러에서 조정되면 GDP는 1.43%,소비 0.48%,투자 0.96%,실질임금 0.84%,고용 1.19%,경상수지 7.16%가 각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28달러에서는 GDP 0.54%,소비 0.18%,투자 0.36%,실질임금 0.31%,고용 0.45%,경상수지 2.96%가 감소한다.
김경운기자 kkw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