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그룹 유보율 593% ‘사상최고’
10대 그룹 상장사의 내부 유보율이 사상 최고치인 600%에 육박했다. 롯데·SK·삼성·LG의 유보율이 크게 높아졌고,1000% 이상 기업도 81개에 이른다. 기업이익은 급증한 반면 마땅한 투자처가 없는 데다 경영권 방어, 주가관리 등을 위해 현금을 비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9월말 현재 10대 그룹 계열 상장사의 유보율(자본금 대비 잉여금의 비율)은 593.9%로, 지난해 말의 505.4%에 비해 88.5%포인트나 증가했다. 이는 12월 결산 상장법인 중 조사 가능한 기업 477개사의 평균치인 477.9%에 비해 116%포인트가 높은 것이다. 유보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의 재무구조가 안정돼 있고 무상증자, 자사주 매입, 배당 등을 위한 자금 여력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투자 등 생산적 부문으로 돈이 쓰이지 않고 고여 있다는 부정적 측면도 있다.
그룹별 유보율은 롯데가 1753%로 지난해 말에 비해 306%포인트가 급등했다.SK는 1124%로 158%포인트가 높아졌다. 삼성도 987%로 138%포인트 상승했다.
조사대상 477개 상장사 가운데 유보율 500∼1000% 미만이 114개사였다.1000% 이상도 81개사나 됐다.
올해 유보율 증가폭은 SK텔레콤(1807%포인트)이 가장 높았다. 롯데칠성음료(1502%포인트), 롯데제과(1224%포인트), 태광산업(1080%포인트), 엔씨소프트(813%포인트), 남양유업(715%포인트), 삼성전자(562%포인트), 텔코웨어(433%포인트), 포스코(405%포인트), 롯데삼강(364%포인트), 삼영(331%포인트) 등의 순이었다.
유보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태광산업으로 2만 5034%였고,SK텔레콤(1만 5018%), 롯데칠성음료(1만 2120%), 롯데제과(1만 2113%), 남양유업(1만 302%), 영풍(5756%), 고려제강(5286%),BYC(4787%), 케이씨티시(4610%)등이 뒤를 이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