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경운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 텔레@UPCOIN24빗썸fds푸는법usdc구입처빗썸fds푸는법usdc구입처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 텔레@UPCOIN24btc현금화비트코인개인거래btc현금화비트코인개인거래
    2025-10-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500
  • 주가 9개월만에 900 회복

    주가 9개월만에 900 회복

    종합주가지수가 20포인트 가까이 오르면서 9개월 만에 900선을 돌파했다. 코스닥지수도 이틀째 상승하며 430선에 바짝 다가섰다. 14일 종합주가지수는 전날보다 19.56포인트(2.21%) 급등한 905.10으로 마감, 지난해 4월27일 915.47 이후 9개월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가가 오른 종목은 상한가 10개를 포함한 450개, 내린 종목 274개로 집계됐다. 거래대금은 3조 1142억원에 이르렀다. 이날 상승세는 국제유가 급등 등 해외 악재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지난해 4·4분기 영업이익(1조 5300억원) 실적을 발표하면서 외국인과 기관투자자의 강한 매수가 크게 작용했다. 삼성전자는 주가상승률이 6.91% 이르면서 단숨에 47만 1500원까지 치솟았다.LG필립스LCD(5.01%),LG전자(4.18%), 하이닉스반도체(1.66%), 포스코(1.10%)등 대형주들도 랠리에 동참했다. 코스닥지수도 상한가 종목이 105개나 쏟아지면서 5.34포인트(1.26%) 오른 428.40을 기록했다. 대신경제연구소 양경식 책임연구원은 “종합주가지수는 앞으로 900선 안착 여부가 관건”이라면서 “다음주 기업실적 발표가 이어져 잠시 출렁일 수 있으나 상승세를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금융기관 상시감독 체제로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이 부실예방 위주의 상시검사 체제로 바뀌고, 종합검사의 범위도 축소된다. 금융감독원은 14일 이같은 취지의 ‘조직개편 및 인사제도 쇄신방안’을 확정하고 다음주 초 후속 인사와 함께 시행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우선 검사국 직원별로 은행, 증권사, 보험사, 저축은행 등 전담하는 금융기관을 지정하고 수시로 감시, 감독을 하도록 했다. 이에 따른 검사인력을 현재 417명에서 472명으로 55명을 늘린 뒤 157개 금융기관별로 분담하기로 했다. 수시감독을 하기 때문에 종합검사를 받아야 하는 금융기관을 157개에서 122개로 20% 줄이기로 했다. 또 ‘검사 메뉴얼’을 만들어 금융기관 스스로 사전에 검사요건을 갖출 수 있도록 배려했다. 이와함께 감독정보실, 정보통신(IT)업무실, 자본시장감독실 등을 폐지하는 등 중복업무를 통·폐합함으로써 현재 27국 3실 241팀을 26국 2실 216팀으로 축소하기로 했다. 특히 감독총괄국과 검사총괄국을 ‘총괄조정국’으로 통합하는 한편 거시경제 및 금융산업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싱크탱크’의 역할이 기대되는 ‘거시감독국’을 신설하기로 했다. 김창록 부원장은 “사후적 또는 통상적으로 실시하던 종합검사를 줄여 금융기관들이 본업에 충실하도록 했다.”면서 “대신 사전리스크 예방에 중점을 둔 검사제도로 전환한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월드스타, 동아건설 매각 우선협상자로

    1조 2000억원 규모의 동아건설 파산채권 매각 우선 협상대상자로 월드스타 컨소시엄이, 예비 협상대상자로 골드만삭스가 각각 선정됐다. 이에 따라 국내 최대 물류업체이자 리비아 대수로 공사권을 갖고 있는 대한통운의 경영권도 월드스타에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동아건설 파산채권 매각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은 14일 이런 내용의 입찰결과를 발표했다. 월드스타는 프랑스 건설업체인 빈시와 르노,UBS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최저 입찰가인 2150억원보다 훨씬 높은 6000억원가량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이번엔 거래소랠리 이끈다

    ‘이번엔 거래소 랠리를 주목하라.’ 새해초부터 ‘코스닥 열풍’에 불을 지핀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들이 최근엔 거래소시장으로 몰려들고 있다. 14일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종합주가지수 900선 돌파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외국인과 기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은 이날 1898억원, 기관은 1900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3931억원을 순매도해 대조적이었다. 외국인은 삼성전자(612억원), 신한지주(210억원),LG전자(188억원) 등을 순매수했다. 기관은 LG화학(159억원), 외환은행(69억원), 삼성화재(57억원) 등에서 매수 우위를 보였다. 종합주가지수 900선 돌파에 힘입어 신(新)고가 기록을 바꾼 종목들도 속출했다. 한국전력,LG, 현대미포조선, 대림산업, 신한지주, 현대모비스, 웅진코웨이, 신한지주 등 8개 종목이 52주 만에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외국인과 기관은 올해초 코스닥 상승초반에도 대표종목을 집중적으로 사들이며 주가를 끌어올렸다. 개인이 매수세에 합류하자 어느새 거래소로 옮겨와 특정 종목에 대해 ‘쌍끌이 매수세’를 보이고 있다. 올 들어 지난 12일까지 외국인과 기관이 동시에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LG전자로 순매수액은 1223억원(외국인 1086억원, 기관 137억원)에 이른다. 이어 기아자동차(691억원),LG(568억원), 현대중공업(401억원) 등의 순이다. 삼성전자 등 지난해 4·4분기의 기업실적 발표에 대한 기대감도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들의 쌍끌이 매수세에 한몫 거들고 있다. 콜금리도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으나 지난 13일 연 3.25%에서 동결되면서 별다른 충격을 주지 못했다. 같은 날 올해 첫 옵션만기일도 겹쳤으나 선물과 옵션 가격은 오히려 올랐다. 외국인 지분 증가는 주가급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올 들어 가장 높은 외국인 지분증가율을 보인 삼호(4.5%)는 주가가 무려 40% 이상 급등했다. 외국인지분이 1%라도 증가한 종목의 종합주가지수 대비 주가상승률은 5배에 이른다. 또 외국인들의 투자자금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해외 펀드도 불과 1주일새 4억 9000만달러가 순유입됐다. 한국투자증권 김형렬 선임연구원은 “삼성전자 실적발표 등으로 시장 리스크가 줄었다는 판단에 따라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지난 3개월간 계속된 저항선 900선을 뚫은 뒤 부담을 털고 안착한다면 앞으로 900선은 강력한 지지선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코스닥 8개월만에 420회복

    코스닥 시장이 사흘 만에 강하게 반등,8개월여만에 420선에 올라섰다. 13일 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2.63포인트 오른 417.26으로 출발한 뒤, 상승 폭을 크게 늘려 8.43포인트(2.03%) 뛴 423.06으로 마감됐다. 지수가 420선(종가기준)을 넘은 것은 지난해 5월7일(436.25) 이후 처음이다. 급격하게 세를 불려가고 있는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과 새로 등장한 와이브로(휴대인터넷) 등 테마주 바람이 급반등 장세를 주도했다.109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오른 종목 수는 604개나 됐다. 거래소시장에서 종합주가지수도 5.51포인트(0.63%) 오른 885.54로 동반상승장을 마감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달러 약세 여파로 5.50원 내린 1036.70원에 마감됐다. 환율이 1030원대로 떨어진 것은 지난 4일 이후 영업일 기준으로 7일만이다. 외환시장 관계자는 “미국의 사상 최대 무역적자 소식으로 달러화가 급락하면서 원·달러 환율도 크게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부패방지팀 가동 1년만에 ‘클린 한국전력’

    부패방지팀 가동 1년만에 ‘클린 한국전력’

    한국전력이 ‘깨끗한 회사’로 확 바뀌었다. 한전은 그동안 전기공사 시공업체와 각종 민원인을 상대하는 과정에서 금품수수 등 불미스러운 일이 적지 않았으나 지금은 말끔히 사라졌다. 부패근절을 위한 1년간의 ‘치밀한 작전’ 덕분이다. ●수년째 하위권에서 획기적인 변신 지방도시에서 전기시설 시공업을 하는 A씨는 지난해 초 한전의 지방사업소로부터 5000만원짜리 공사를 수주하면서 사업소의 중간 간부에게 200만원을 사례비로 전달했다. 지난해 설 명절을 앞두고 30만원짜리 선물에 30만원어치 상품권을 보태 선물한 적이 있다. 그런데 자신의 사업장 근처에 있는 전신주에 문제가 생겼다. 신고를 받고 나온 현장 직원이 신속한 처리를 대가로 웃돈을 요구했다. 그는 답답한 노릇이었지만 5만원을 건넬 수밖에 없었다고 한전 중앙본부의 부패실태 조사반에 털어놓았다. 그러나 이같은 부패 사례는 이미 옛일이 되고 말았다. 한전은 국무총리실 산하 부패방지위원회가 민원인 7만 5317명을 대상으로 2004년 공공기관 청렴도를 조사한 결과,1년 사이에 가장 많이 향상된 기관 1위로 선정됐다. 한전의 종합청렴도 점수는 10점 만점에 8.92점. 전년도에 비해 2.92점이 올라 향상도가 313개 정부부처·자치단체·공기업 등을 통틀어 가장 높았다. 청렴도 점수는 조사대상 평균보다 0.26점 높았다. 한전은 2003년엔 5.80점,2002년엔 4.47점으로 수년째 하위권을 맴돌던 처지에서 종합 4위로 올라섰다. ●투망식 부패방지 작전 한준호 한전 사장은 지난해 3월 취임 직후 업무보고를 받으면서 깜짝 놀랐다. 한전이 해마다 실시하는 부방위의 청렴도 조사에서 바닥을 헤매고 있었기 때문이다.‘무슨 인허가 업무가 그리 많다고 이렇게 썩었단 말인가.’하는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았다. 사정이 이런데도 직원은 부패의 실상에 대해 무감각한 모습이었다. 부패를 뿌리뽑지 않으면 회사가 망할 지경이었다. 한전은 전국 사업소에서 가장 청렴하다고 소문난 과장급 직원 18명을 뽑아 감사실에 배치하고 부패방지팀을 만들었다. 전권을 부여받은 18명은 1주일 동안 합숙하면서 아이디어를 짜냈다. 우선 의식을 바꾸고 제도를 보완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전국 239개 사업장을 돌면서 1만 7000여명 전 직원을 대상으로 부패방지에 대한 정신교육을 했다. 소장급 간부 271명은 추가로 불러 거래업체와의 관계 등에 대해 별도교육을 했다. 일반 연수에도 부패방지 시간을 배정했고, 사이버교육도 수시로 했다. 이쯤되자 직원들의 입에서는 “부패라는 말만 들어도 소름이 끼친다.”는 말이 저절로 나왔다. 이어 청렴계약 규정을 만들었다. 이를 어긴 입찰업체에는 2년 동안 입찰자격을 제한했다.300만원 이상의 공사에 대해서는 전자입찰을 실시했고, 수의계약의 범위를 200만원 이하로 줄였다. 모든 공사에는 표준집을 만들어 그대로 시행하도록 했다. 표준집은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도 채택할 정도로 우수하게 만들어졌다. 부패방지 활동이 활기를 띠면서 부패에 취약한 업무에 대해 집중적인 감찰활동을 했다. 한전에서 부패에 취약한 업무는 신규 전기공사를 한 건물 등을 대상으로 한 사용전 점검 업무다. 한전의 인증이 떨어져야 전기계량기를 설치하고 전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사업주들은 점검을 나온 한전 직원에게 1만∼15만원의 수고비를 주고 서둘러 인증을 부탁하곤 한다. 암행감찰반은 전국을 돌면서 4건의 부패현장을 적발했다. 부조리 신고전화에 신고하면 포상금도 지급했다. ●단돈 10만원에 목숨 걸지 말자 직원들도 변하기 시작했다. 높은 강도의 부패방지 교육이 효력을 나타냈다. 우선 ‘단돈 10만원에 목숨 걸지 말자.’라는 우스갯소리가 나돌았다. 회사는 직원들의 고소득을 보장하는 대신에 그에 걸맞은 능력과 품위를 요구했다. 이어 불우이웃돕기, 헌혈행사, 자원봉사 등을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 참여하면서 직원들도 ‘봉사참여의 즐거움’을 느끼도록 했다. 한 사장은 앞으로는 직원들이 글로벌 에너지기업에서 일하고 있다는 자부심을 깨닫도록 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부패방지팀 관계자는 “기업부패의 폐해를 직원들 스스로 느끼고 깨닫게 함으로써 회사 방침 때문에 참여하는 것이 되지 않도록 치밀한 계획을 짠 것이 적중했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서해 관광명소로 변모 한국전력은 지난해 서해상에 세계적인 볼거리 하나를 만들었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도에 국내 최대용량의 화력발전소 2기를 지었고, 발전소에서 경기도 시흥까지 세계최대 규모의 해상 송전선로를 완공했다. 영흥발전소는 해마다 전력부족으로 공급 중단의 위험에 놓이는 수도권 지역에 차질없는 전력공급을 책임지게 됐다. 기존의 50만㎾급 화력발전소에 비해 출력을 60% 이상 향상시켜 국내 최대용량인 80만㎾급 발전소로 건설됐다. 그러면서도 연료는 석탄을 사용, 액화천연가스(LNG)에 비해 연료가격을 3분의1로 낮췄다. 연간 5873억원의 외화를 절약할 수 있게 됐다. 첨단공법으로 친환경시설도 잘 갖춰 1999년 착공 당시 온수 배출에 따른 해수온도 상승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를 깨끗이 잠재웠다. 한국전력과 발전소 운영자회사인 한국남동발전은 1716억원을 들여 선제대교와 영흥대교도 지어 지역주민들로부터 대환영을 받고 있다. 영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수도권까지 공급하는, 세계에서 보기 드문 해상송전 선로도 일반인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발전소에서 대부도와 시화호를 거쳐 신시흥변전소까지 78㎞ 구간에 600m 간격으로 송전탑 137기를 세운 것이다. 대부도에서 바라보면 바다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 솟은 탑이 장관을 이룬다. 해상구간 송전탑의 높이는 세계 최고인 170m에 달한다. 송전탑에 겹겹이 걸쳐져 지나는 전선의 길이는 자그마치 1900㎞로, 서울과 제주(452㎞)를 네번 왕복할 수 있다. 이같은 규모의 송전탑 건설을 아무나 할 수 없기 때문에 세계에 자랑할 만한 기술로 꼽힌다. 우선 송전탑의 간격이 일반 송전탑의 간격(350m)보다 훨씬 길다. 국내에서 처음 개발된 ‘고장력 내열전선’ 덕분이다. 또 태풍이나 지진, 파도, 염해 등 해상의 악조건에도 송전탑이 바다 속에서 끄떡없이 지탱할 수 있는 밑바탕에는 신공법과 특수자재의 역할이 크다. 시화호의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철 구조물의 겉은 모두 특수코팅 처리했다. 영흥발전소와 해상선로 건설은 5년4개월이나 걸린 난공사였다. 총 사업비는 2조 3174억원, 연간 작업인원만 275만명에 달했다. 그러나 발전설비의 효율성을 높이고, 해상을 관통하는 놀라운 건설공법으로 연간 9623억원의 외화를 절감했다. 한국전력 홍혁 홍보실장은 “한마디로 신기술 개발과 환경보호, 외화절약의 3박자를 모두 만족시킨 대역사(大役事)”라면서 “우리나라와 한전의 큰 자랑임에 틀림없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한준호 한국전력 사장 “공기업의 윤리경영은 이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기업의 생존이 걸린 문제입니다.” 한준호(59) 한국전력 사장은 요즘 공기업들 사이에 불고 있는 윤리경영과 구조조정 바람을 언급하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올해 초 부패방지위원회의 청렴도 조사에서 한전이 높은 평가를 받은 데 대해 “한전의 모든 가족들과 함께 축하받고 싶다.”며 뿌듯하게 여겼다. 한 사장은 이어 “한전은 수년 안에 글로벌 에너지그룹으로 발전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걸맞은 모습으로 변신해야 한다.”면서 “우선 윤리경영과 열린경영을 정착시켜 구태의 이미지를 벗는 것이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지역사업소에도 책임경영체제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사장은 최근 과장에서 부장으로 세 직급을 파격적으로 승진시킬 수 있는 권한을 사업소장에게 위임했다. 보건복지부가 정한 기초생활수급자 가구의 경우 2개월 이상 전기요금을 내지 못해도 혹서기(7∼8월), 혹한기(1∼2월)에는 일반 가구와 달리 단전을 하지 않고 있다. 한전은 지난 5년을 끌어온 전력산업 구조개편이 ‘배전(配電)분할 추진의 중단’으로 가닥이 잡히자 필리핀, 중국 등 해외사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 사장은 “한전이 현재 필리핀 전체 발전의 14%를 책임지고 있다.”면서 “세부(Sebu)섬에 지을 20만㎾급 화력발전소를 세계 신혼부부들의 관광명소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재임 중 그의 꿈은 중국 전역에 건설될 30기의 원전 사업을 한전이 주도할 수 있는 기틀을 세우는 것이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서울대 실험실 벤처 1000억 대박

    대학 실험실에서 창업한 벤처기업이 코스닥시장에서 1000억원대의 대박을 터뜨릴 것으로 보인다. 14일까지 공모주 청약을 마치고 25일 신규등록되는 실험실 벤처기업 ‘SNU프리시젼’이 주인공.TFT-LCD(초박막액정표시장치) 정밀측정장비 전문업체로,1998년 2월 서울대 공과대 실험실에서 박희재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와 대학원생 5명이 창업한 뒤 7년만에 코스닥 진입에 성공했다. 주력 생산품은 나노(10억분의1m)급 LCD 액정주입량 측정장치. 고품질 LCD를 만들 때 중요한 장비다. 이 회사의 제품은 이미 세계시장의 73%를 장악하고 있다. 회사의 지난해 3·4분기 누적 매출액은 316억원, 영업이익이 139억원인 만큼 공모가격 2만 7000원(액면가 500원)을 기준으로 따지면 등록 후 시가총액은 1018억원에 이른다. 지분 27.42%를 보유한 박 교수는 279억원의 코스닥 갑부가 된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SK생명, 美메트라이프에 팔린다

    SK생명이 미국계 최대 보험사인 메트라이프 생명에 팔린다. 매각 대금은 2900억원이다. 이에 따라 외국계 보험사들의 국내시장 잠식이 가속화되면서 올해 보험업계의 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13일 금융계에 따르면 SK그룹은 오는 20일쯤 SK생명의 지분 97.37%를 2900억원대에 일괄 매각하는 본계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매각대상 지분은 대주주인 SK네트웍스가 보유한 71.72%와 SKC,SK캐피탈 등이 보유한 25.65% 등이다. 메트라이프는 3년동안 ‘SK생명’이라는 브랜드를 함께 사용하며 SK측 가입자들과의 계약관계를 모두 넘겨받는다. 메트라이프와 SK생명의 시장점유율은 각각 1.8%와 2.4%에 불과했으나, 두 회사가 합병되면 점유율이 4.3%(수입보험료 1조 2400억원)로 높아지면서 외국계인 ING생명(4.6%)과 국내 생명보험업계 4위 자리를 다투게 됐다. 아울러 삼성·대한·교보 생명 등 국내 11개 보험사의 점유율은 83.1%에서 80.7%로 낮아지고, 외국계 11개 보험사는 16.9%에서 19.3%로 높아진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작년 대주주 주식증여 136%급증

    지난해 경영권이양 등을 위한 대주주들의 주식 증여(상속포함) 규모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거래소가 12일 발표한 ‘상장사 주식증여 현황’에 따르면 정상영 금강고려화학(KCC) 명예회장과 고 설원량 대한전선 회장은 900억원대, 정몽근 현대백화점 회장은 800억원대의 주식을 자녀와 부인 등에게 물려줬다. 금강고려화학의 정 명예회장은 정몽진 금강고려화학 회장 등 자녀 3명에게 982억원어치의 주식을 물려줘 증여액이 가장 많았다. 대한전선의 설 전 회장은 장남인 윤석씨 등 자녀와 부인에게 947억원어치의 주식을 상속했다. 정몽근 현대백화점 회장은 아들인 정지선 현대백화점 부회장과 교선씨에게 852억원어치의 주식을 넘겼다.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도 자녀와 회사에 382억원어치를 증여했다. 주식을 증여 또는 상속받은 금액은 정지선씨가 76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 총 증여 건수는 47건으로 전년과 같았으나 증여 주식수와 금액은 3897만 1000주,3972억원으로 2003년에 비해 각각 171%와 136% 늘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8일 랠리’ 에 ‘코스닥 갑부’ 다시 떴다

    ‘8일 랠리’ 에 ‘코스닥 갑부’ 다시 떴다

    최근의 코스닥 주식 가격 폭등세로 1000억원대 ‘벤처 갑부’가 3년여만에 다시 등장했다. 벤처기업 대주주들은 며칠새 앉은 자리에서 수백억원씩 챙겼다. 일부 코스닥 등록기업 임원 등은 시세차익을 노려 서둘러 자사주를 매각했다. 또 코스닥 상승기간에 주식투자를 한 개인투자자의 78%가 20%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제2의 벤처 신화 12일 코스닥증권시장에 따르면 벤처기업인 가운데 최대 부자는 MP3 CD플레이어 ‘아이리버’ 생산업체 레인콤의 양덕준 사장으로 확인됐다. 지난 11일 현재 보유중인 코스닥주식 자산 평가액은 1147억원. 양 사장은 코스닥의 ‘불꽃 상승’이 시작되기 직전인 지난해 12월28일부터 9거래일 동안 주가가 31.9% 올라 277억원의 평가차익을 올렸다. 코스닥이 오르기전 그의 주식 자산 평가액은 870억원이었다. 이어 액정화면(LCD)장비업체 주성엔지니어링의 황철주 사장이 1036억원으로 2위에 올랐다. 황 사장은 랠리 이전의 주식 자산 평가액이 875억원으로 1위를 지켰으나 9일동안 주가 상승률(18.4%)이 레인콤 양 사장보다 낮아 2위로 밀렸다.3위는 발광다이오드(LED)제조업체 서울반도체의 이정훈 대표가 차지했다. 주식 자산 평가액(1028억원)이 138억원 늘어나면서 1000억원대를 돌파했다. 지난해 8월까지 선두를 다투던 NHN의 이해진 최고전략책임자(CSO)와 다음의 이재웅 사장은 각각 782억원과 680억원으로 4위와 6위로 내려앉았다. 환경벤처업체인 유니슨산업 이정수 사장은 3일 연속 상한가 행진에 힘입어 71.7%(302억원)의 주가상승률을 자랑하면서 5위로 뛰어 올랐다. 자산가치는 723억원. 그 뒤를 엠텍비전의 이성민, 디엠에스의 박용석, 인탑스의 김재경 사장 등이 따랐다.9일동안 100억원 이상의 수익을 올린 벤처기업인이 10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신흥 벤처 갑부들의 자산 규모는 과거 벤처 갑부들로 이름을 날리던 다음의 이재웅 사장과 새롬기술의 오상수 사장의 2000억∼3000억원대 자산에는 크게 못 미치는 액수다. ●기업 임원, 자사주식 매각 주가가 급등한 코스닥 등록기업 가운데는 임원 등이 시세차익을 노리고 내부자 매도를 한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주가상승기에 맞추지 못하고 서둘러 주식을 처분하는 바람에 큰 재미를 보지 못한 이들도 포함돼 있다. 한국증권업협회에 따르면 조원기 조아제약 회장은 지난해 12월16일 보유주식 가운데 12만주를 주당 4700원에 매각했다. 이어 17일에는 평균 5221원에 84만여주를 처분했다. 씨앤에스 테크놀로지의 차모 이사도 지난해 12월10일 주식매입선택권(스톡옵션)을 행사해 자사주식 1만주를 확보한 뒤 코스닥 랠리가 시작된 같은달 29일 모두 매각했다. 정확한 액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모두 시세차익을 올렸다. 반면 같은달 17일 자사 주식 2만주를 모두 처분한 서화정보통신의 김모 이사나 이보다 앞선 11월에 보유주식 전량을 매각한 안국약품 정모 감사는 매각시점이 상승기를 빗나갔다. 정 감사의 당시 매각금액은 4200여만원으로,12월 월간 평가액 최고치(8100여만원)나 지난 11일 기준 평가액(6800여만원)에 크게 못 미치는 액수다. 코스닥 투자로 큰 수익을 올린 일반투자자들도 많다. 증권포털 팍스넷이 인터넷홈페이지 방문객 10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번 코스닥 랠리에 참여한 사람은 602명으로 절반 이상이었다.602명중 93명(15%)이 50%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고 대답했다. 또 152명(25%)이 20∼50%,227명(38%)이 20% 정도의 수익을 챙겼다. 이 기간에 주식투자를 한 사람중 78.4%(472명)가 재미를 본 셈이다. 한편 12일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1.93포인트 내린 414.63으로 이틀째 소폭 하락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코스닥 랠리’ 9일만에 일단 멈춤

    ‘코스닥 랠리’ 9일만에 일단 멈춤

    코스닥시장의 ‘불꽃 상승세’가 ‘이유 있는’ 랠리라는 분석이 곳곳에서 제시되고 있다. 이 때문에 증시전문가들은 코스닥지수가 9일만에 멈칫했지만 과열을 우려한 일시적 조정기를 거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의 벤처기업 살리기 대책이 나온 이후 시중 여유자금이 코스닥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5일째 1조원대 거래 11일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2.98포인트 오른 421.69로 출발했으나 개장 직후 410선 초반까지 지수가 빠졌다. 그 이후 낙폭을 줄이면서 2.15포인트(0.51%) 하락한 416.56으로 장을 마쳤다. 개장 직후 단기 테마주들을 중심으로 차익을 실현하려는 매물이 나오면서 20여분동안 지수가 10포인트 정도 밀려나기도 했다. 하지만 곧 인터넷주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 대한 ‘사자 주문’이 쏟아지면서 지수 하락폭을 좁혔다. 거래량은 4억 6076만주, 거래대금은 1조 3126억원으로 5일째 1조원대를 웃돌았다. 이날 주가가 오른 종목은 상한가 66개를 포함해 368개였다. 내린 종목은 하한가 16개 등 459개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NHN과 LG텔레콤이 외국인 매수세 유입 영향으로 오름세를 탔다. 반면 홈쇼핑주는 경계 매물이 나오면서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지수상승 이유있다 최근 8일 동안 이어진 코스닥지수 상승기의 거래를 유심히 살펴보면 시장이 빠르게 변화한 것을 보여준다. 지난 연말과 연초에는 제약주 등 일부 테마관련 주식들이 상승세에 불을 댕겼다. 테마주들은 대체로 시가총액 규모가 작고, 테마에 대한 투자자들의 흥미가 사그라지면 쉽게 불이 꺼진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조차 본격적 상승세를 점치기 어려웠다. 그러나 상승기 중반부터는 NHN,LG텔레콤, 레인콤 등 덩치가 큰 코스닥 대표주들이 시장을 주도하면서 안정감을 찾기 시작했다. 대표주들은 탄력을 받으면 꾸준한 상승이 지속된다는 점에서 코스닥의 부활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시장이 안정감 있게 변한 셈이다. 그동안 코스닥을 외면했던 개인투자자들이 시장에 가세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거래대금 규모에서 코스닥이 거래소시장을 앞지른 점도 눈에 띈다. 지난 10일 개인의 매매대금은 코스닥이 2조 4678억원을 기록, 거래소의 2조 205억원을 웃돌았다.5일동안 거래대금이 1조원대를 넘은 것은 시장규모가 작은 코스닥으로선 보기 드문 일이다. 위성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사업 개시도 불꽃 상승의 호재로 작용했다. 한글과컴퓨터, 삼테크, 영우통신 등 DMB 관련 주식들이 연일 상한가를 기록한 것이 이를 방증한다. 이런 가운데 최근 일부 종목의 경우 자본잠식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단기 급등으로 100% 이상 주가가 오른 종목도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숨 쉬어가자.” 굿모닝신한증권은 이날 증시분석을 통해 “거래소 시장의 대안으로 당분간 코스닥시장이 관심의 핵심에 있겠지만 과열권 진입 신호가 나오는 만큼 한번쯤 숨을 돌릴 여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중현 연구원은 “지난주 후반부터 개인들도 시장참여를 확대해 매일 매수우위로 돌아섰다.”면서 “이는 외국인과 기관의 차익실현 움직임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삼성증권 유승민 연구원도 “기술적 분석을 해봐도 최근의 과열이 추세변화를 뜻하지 않는 만큼 일시적인 숨고르기를 한 뒤 재상승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 과정을 통해 상승종목의 옥석(玉石)을 가릴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동양종금증권 김주형 수석연구원은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이 거래소시장의 반등과 맞물려 이뤄졌을 뿐”이라면서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주가 변동폭이 그리 크지 않은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거래소의 종합주가지수는 전날 보다 10.11포인트 오른 884.29로 이틀째 상승하면서 880선을 회복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윤증현 금감위원장, 직원 질타

    윤증현 금감위원장, 직원 질타

    “금융감독당국에 대한 시장의 인식이 이렇게 나쁜 줄 몰랐다. 새로 거듭나야 한다.” 윤증현 금융감독위원장 겸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10일 낮 금감원 내 각 국·실의 핵심인력인 팀장 8명과 함께 점심식사를 하면서 강조한 말이다. 금감위·금감원 조직개편이 임박한 시점에서 사전예고 없이 이뤄진 자리에서 윤 위원장은 감독당국에 대한 시장의 여론이 극히 악화돼 있다고 강하게 질타한 뒤 지난해 8월 취임 이후의 소회를 밝혔다. 그는 “감독당국에 대한 금융시장의 여론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나쁘다.”고 운을 뗀 뒤 ‘군림하는 감독기관’이라는 오명을 씻어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최근 부패방지위원회의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감독당국이 (상위권인)5위를 차지한 것은 평가할 만하다.”면서도 “그러나 시장은 감독기관이 군림만 하고 제대로 일하고 있지 않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위원장은 조만간 단행될 조직개편과 인사를 의식,“앞으론 전문가만이 살아남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뒤 “각자 우물을 파되 깊고 넓게 파야 한다.”면서 향후 조직운영의 기조가 경쟁을 통한 ‘적자생존’이 될 것임을 예고했다. 특히 “여러분들이 받는 고액의 연봉만큼 시장에 대해 맡은 바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윤 위원장의 강한 질타로 인해 점심식사 분위기가 매우 무거웠다.”면서 “조직개편을 앞두고 치열한 생존경쟁이 펼쳐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전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이건희 삼성회장 1조3126억 주식부자 1위 복귀

    이건희 삼성회장 1조3126억 주식부자 1위 복귀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상장주식 보유액에서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을 311억원 차이로 따돌리고 주식 부자 1위 자리로 복귀했다. 보유주식의 가치상승 등으로 가장 많은 평가이익을 낸 사람은 구본무 LG 회장이다. 10일 증권거래소가 발표한 ‘주요 그룹 대주주의 상장주식 보유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삼성 이 회장의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증권 등 주식보유액은 1조 3126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는 2003년 말에 비해 0.5% 늘어난 수치다. 현대차 정 회장은 1조 2815억원으로 14.2% 증가했으나 삼성 이 회장보다 311억원이 적어 2위에 머물렀다. 정 회장은 지난해 12월 초순에는 현대차, 현대모비스,INI스틸, 현대하이스코 등의 주가상승으로 보유주식 평가액에서 삼성 이 회장을 189억원 앞지른 적이 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중 40만∼41만원까지 떨어졌던 삼성전자 주가가 지난 연말 45만원까지 오르면서 이 회장의 보유주식액이 정 회장을 다시 앞질렀다. 정 회장에 이어 LG 구 회장이 2991억원,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 2773억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2576억원 등의 순으로 많았다.LG 구 회장은 LG그룹의 지주회사격인 ㈜LG 등 특정기업 주식만 보유했고, 롯데 신 회장은 보유주식수가 적은 데다 비상장 주식이 많아 상대적으로 상장주식보유액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2003년말 대비 상장주식의 평가이익은 LG 구 회장이 177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대 정 회장(1590억원), 한화 김 회장(1476억원), 롯데 신 회장(1137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평가이익은 이 회장이 보유한 삼성전자가 14억원 감소한 반면 정 회장의 현대차는 569억원, 현대모비스는 94억원이 각각 증가했다. 한화 김 회장의 평가이익도 1475억원 늘었다. LG 구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박성용 금호그룹 회장 등은 계열사의 지분매입으로 보유주식수가 늘었다. 반면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은 동부건설 및 동부정밀화학 지분 처분으로 주식수가 감소했다. 삼성 이 회장 등 10대 그룹 총수의 총 주식보유액은 3조 8232억원으로 2003년말에 비해 704억원(22.6%)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코스닥 8일 연속 상승 418…2년만의 랠리

    코스닥 시장이 8일째 오르면서 2년여 만에 최장기 상승랠리를 펼쳐 과열에 따른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0일 코스닥지수는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7일)보다 10.54포인트(2.58%) 오른 418.71을 기록했다. 이로써 코스닥 지수는 지난해 12월29일(지수 372.80)부터 2주일에 걸쳐 8거래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코스닥지수가 8일 연속 오른 것은 지난 2002년 11월19일(현 지수기준 477.8)부터 12월3일(537.8)까지 11일 연속 상승 기록을 세운 뒤 2년1개월 만에 최장 기록이다. 지난 8일 동안 코스닥지수는 12.3% 올라 2002년 당시의 상승률(12.6%)에 육박했다. 지난해 상승기로 꼽히는 3월31일∼4월8일(6.75%),4월19∼26일(8.23%)보다 훨씬 높은 상승률이다. 이날 거래량은 4억 3390만주, 거래대금은 1조 3486억원으로 거래대금이 4일째 1조원을 웃돌면서 안정된 시장을 형성했다. 지난해에는 하루 거래량이 1조원을 넘은 적이 3차례뿐이었다. 또 상한가를 기록한 종목이 무려 114개나 쏟아져 2003년 5월26일 118개 이후 가장 많았다. 운송, 종이목재, 방송서비스 등 전업종이 오른 가운데 레인콤(15.0%), 하나로통신(4.78%),NHN(2.38%),LG텔레콤(1.25%) 등 대형주들이 장을 주도했다. 그동안 코스닥을 외면하던 개인투자자들도 주식 사들이기에 나서 138억원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코스닥 지수의 랠리가 이어지자 과열에 따른 폭락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이번에 지수가 크게 떨어지는 상황이 빚어진다면 더 이상 코스닥 부활을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분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지난주까지만 해도 증시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상승 지속과 과열을 우려하는 전망이 함께 나왔다.LG투자증권 서정광 책임연구원은 “지수가 단기간에 10% 이상 올랐기 때문에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수상승의 저항선은 420선으로 내다봤다. 동원증권 김세중 연구원도 “개미(개인투자자)들이 일부 무차별적으로 오른 테마주를 추격 매수한다면 팔지도 못하고 낭패를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과열 진단에도 불구하고 지수가 더 오를 수도 있지만, 여건이 바뀌면 큰 폭의 조정을 받을 수 있다며 경계를 당부했다. 한편 종합주가지수도 올들어 줄곧 하락하다 6일 만에 3.34포인트(0.38%) 오른 874.18로 마감됐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부원장 외부·부원장보 내부 발탁

    금융감독원의 조직개편이 임박한 가운데 막바지에 이른 부원장, 부원장보 등 임원급 5명의 인선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9일 금감원에 따르면 금감위원, 금감원 임원, 민간위원 등 6명으로 구성된 후보자추천위원회는 외부인력을 충원하기로 한 증권·시장담당 부원장과 신설되는 국제담당 부원장보 후임에 대해 면접을 마쳤다. 이르면 이번주 안에 각 자리의 1,2위 순위자를 후보로 선정, 청와대에 추천한 뒤 오는 21일 금융감독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금감원장이 1순위로 추천한 후보에 결격사유가 없으면 그대로 낙점되는 게 그동안의 관행이다. 금감원은 오는 16일 임기가 만료되는 오갑수(증권·시장담당) 부원장 후임과 사의를 표명한 황인태 회계전문심의위원의 후임, 신설되는 국제담당 부원장보를 외부에서 충원할 방침이다. 또 통합거래소의 시장감시위원장에 내정된 이영호(기획·총무담당) 부원장보와 신설되는 비은행담당 부원장보 후임은 내부에서 발탁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오 부원장 후임은 증권업과 국제업무에 능통한 외부 인사가 추천될 것으로 보인다. 황 심의위원 후임에는 집단소송제 도입 등으로 회계감독 분야에 전문성을 지닌 학계출신이 유력시 된다. 이 부원장보 후임으로는 금감원 국장 출신으로 금감위에 파견돼 있는 김영록 금감위 조사기획과장과 이상호 공시감독국장 등이 경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은행담당 부원장보 후임에는 김대평 은행검사2국장과 임주재 기획조정국장, 이길영 비은행감독국장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코스닥 7일동안 37P 상승 “과열-활황” 논란

    코스닥 7일동안 37P 상승 “과열-활황” 논란

    코스닥 주가지수가 7일째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4년만에 코스닥의 부활’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랠리가 언제까지 이어질지에 대해선 전문가들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파티를 즐겨라.”며 시장참여를 권하는 반면 다른 쪽은 “산이 깊으면 골도 깊다.”는 속담을 들먹인다. ●거래대금이 작년의 3배 7일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4.02포인트 상승한 408.17을 기록했다. 오후 한때 주가지수가 409선을 넘자 개인투자자를 중심으로 매물이 쏟아지면서 하락세를 나타냈으나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이 뒤를 받쳐 주면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날 거래대금은 1조 3696억원. 지난해에는 하루 평균 5861억원에 불과했던 거래대금이 지난 5일에 1조 128억원,6일엔 1조 5248억원 등으로 3일째 1조원선을 넘었다. 지난해에는 1조원을 넘은 때가 단 3일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코스닥 부활’로 보는 시각도 무리는 아닌 셈이다. 코스닥은 7개월간 저항선으로 작용한 지수 380선을 힘겹게 뚫은 뒤 지난 6일 400선(404.15)을 7개월여만에 돌파했다. 최근의 상승세는 2001년 12월26일(685.40)부터 2002년 1월7일(760.90)까지의 상승세를 닮았다. ●개미의 뒤에는 기관과 외국인이 있다 증시 전문가들은 코스닥의 상승 원인을 지난해 말 발표된 정부의 벤처활성화 대책과 3년째 저평가받고 있는 주가 등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것을 꼽는다. 최근 거래소시장의 부진에 따른 대안시장이라는 점도 작용했다고 본다. 특히 전문가들은 최근의 코스닥시장에는 지난해와 다른 특징에 주목한다.‘개미(개인투자자)’들의 시장으로 여겨졌던 코스닥에 올 들어서는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들이 뭉칫돈을 앞세워 포진하고 있는 점이다. 최근 하루 거래대금이 지난해의 2∼3배에 이르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기관과 외국인들은 개인들이 일시적으로 빠져나가도 매수세를 유지하면서 주가하락을 떠받치고 있다. 이와 함께 처음에는 주가 상승을 루루, 옴니텔, 마크로젠 등 테마주(특징주)들이 선도했으나 며칠전부터는 레인콤,NHN, 네오위즈 등 시가총액 상위 중대형주들이 주도하고 있다. 이는 시장이 그만큼 안정되게 움직이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파티에 갈까, 골짜기를 피할까 전문가들은 코스닥 상승세가 ‘언제까지’ 이어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대답이 제각각이다. 굿모닝신한증권 김학균 애널리스트는 “각국의 증시 역사에 ‘3년 하락후 4년차 반등’이 나타난 경우가 많은데 코스닥은 지난 3년동안 침묵했다.”면서 “파티를 충분히 즐기라.”고 시장참여를 권유했다. 코스닥 지수는 2002년 38.5% 하락한데 이어 2003년에 1.1% 오른 뒤 2004년에 15.2%나 떨어졌다. 반면 삼성증권 손범규 연구원은 “정보·기술(IT)경기회복과 코스닥 자금유입이 지속되지 않는 한 추세적 상승은 힘들다.”면서 단기투자를 권했다. 대우증권 신동민 연구원도 “테마주들의 동시다발적인 강세는 경계해야 한다.”면서 신중한 투자를 요구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외국계銀 시장점유율 22%

    외국계 은행의 국내시장 점유율이 처음으로 2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금융감독원이 내놓은 ‘외국계 은행의 국내 시장점유율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말 현재 외국계 은행의 총자산은 270조원으로 국내 은행의 총자산(1240조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1.8%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외국계 은행은 제일, 외환, 한국씨티 등 3개 은행과 국내에 50개 지점을 두고 있는 38개 외국은행 등 41개에 달한다. 외국계 은행의 시장점유율은 국제통화기금(IMF)사태 직후인 1997년말 총자산 34조원으로 4.2%에 불과했으나 2000년 10.2%로 급증했다. 이어 2002년 9.3%로 일시 줄었다가 2003년 15.5%로 증가하는 등 환란 이후 7년만에 5배나 급신장했다. 제일, 외환, 한국씨티 등 3개 은행의 총자산은 181조원으로 시장점유율은 14.6%였으며 나머지 38개 은행 50개 지점의 총자산은 89조원으로 점유율은 7.2%에 달했다. 또 지난 10월말 현재 외국계 은행의 예수금과 대출금 점유율은 각각 17.3%와 15.0%로 집계됐다고 금감원은 밝혔다. 금감원은 “외국계 은행의 시장점유율이 급신장한 것은 정부의 적극적인 외자유치 정책과 지난해 말 있었던 씨티그룹의 한미은행 인수 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감자 우려… LG카드 4일째 하한가

    LG카드가 새해초부터 증권시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LG카드는 6일 증권시장에서 전날보다 1470원(-15.0%)이나 떨어진 8330원을 기록, 올 들어 4일째 가격제한폭 하락기록을 수립했다. 거래량마저 부진했던 전날과 달리 이날은 반발 매수세 덕분에 1000만주 이상의 활발한 거래를 보였으나 가격을 끌어올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말 7조 8601억원이었던 시가총액은 하루에 거의 1조원씩 날려 4조 3179억원으로 줄었다. 시가총액 순위도 상위 10위에서 23위로 추락했다.4일동안 종합주가지수를 7포인트 이상 끌어내리는 ‘악역’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1조원의 증자 등 경영정상화 방안에도 불구하고 LG카드 주가가 연일 급락하는 것은 기업을 구제하는 과정에서 자본감소(감자)가 불가피하고, 유통주식 물량 증가에 따른 불안감 때문이다. 과거 현대건설이나 하이닉스반도체의 예와 비슷하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새해증시 ‘明暗’ 코스닥 ‘씽씽’…거래소 불안

    새해증시 ‘明暗’ 코스닥 ‘씽씽’…거래소 불안

    연초부터 거래소 상장기업과 코스닥 등록기업 주가가 희비의 쌍곡선을 그리고 그리고 있다. 종합주가지수는 ‘어닝시즌(4·4분기 실적발표 시기)’을 앞두고 지난 연말의 상승세를 잇지 못하고 3일 연속 곤두박질했다. 반면 코스닥지수는 ‘르네상스(부활)’를 연상시키며 5일째 후끈 달아올랐다. ●코스닥,‘나홀로’독주 5일 종합주가지수는 전날보다 1.71포인트 떨어진 885.19에 마감됐다. 지난 연말에 현금배당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막판까지 치솟았으나 올 들어서는 개장일(3일)부터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개장 3일째인 5일 삼성전자(-0.89%), 삼성SDI(-1.91%), 포스코(-1.37%), 한국전력(-3.81%) 등 대표업종이 모두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와는 달리 코스닥지수는 이날 6.68포인트 오른 399.68을 기록,5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체 등록기업의 10%가량인 94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또 오른 종목이 542개나 되는 반면 내린 종목은 하한가 6개를 포함해 282개 종목에 불과했다. 코스닥 종목이 거래소시장은 물론, 채권시장과 외환시장이 올 들어 약보합권에서 맴도는 사이 나홀로 독주를 하고 있는 셈이다. ●영업실적 악화 vs 벤처진흥에 대한 기대감 증시 전문가들은 상장기업 주가하락의 가장 큰 요인으로 ‘4분기 기업실적의 저조 우려’를 꼽았다. 금융정보분석업체인 ‘에프앤가이드’가 시가총액 상위 20개 상장법인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을 자체 조사한 결과, 매출은 3분기보다 2.8% 증가한 68조 4902억원이었으나 영업이익은 10.4% 감소한 8조 888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국내 주요 상장기업은 오는 13일 포스코를 시작으로 20일 현대자동차,24일 삼성전자,LG필립스LCD, 신세계 등이 잇따라 실적을 공식 발표한다. 실적 내용이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다. 코스닥기업의 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벤처활성화 정책에 대한 기대 ▲정책변경에 따른 수혜업종 등장 ▲장기적 소외에 따른 평가심리 작용 등을 이유로 들었다. 또 ▲4분기 영업실적이 상장기업에 비해 좋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 외국인을 중심으로 ‘거래소 실적 악화의 도피처’로 코스닥을 찾는다는 분석도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단기적으로는 코스닥 지수가 410선을 돌파할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섣부른 단정은 금물 전문가들은 거래소 상장기업의 주가하락에 대해 크게 우려하지는 않는 분위기다. 오히려 코스닥 등록기업의 주가상승을 경계하는 기류다.LG투자증권 손범규 연구위원은 “코스닥시장이 과거처럼 살아나려면 정보·기술(IT) 경기가 회복되면서 실적이 뒷받침되어야 하지만 현재 상황을 이 같은 상승 장세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LG투자증권은 “코스닥 종목 58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3분기 대비 13.0%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반도체, 액정화면(LCD)장비 등 주력업종을 중심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고 밝혔다. SK증권은 “어닝시즌에 실적부진을 피해 잠시 코스닥에 머물렀던 시중자금이 다시 거래소로 이동하면 코스닥이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증권업협회에 따르면 고객예탁금은 지난 4일 현재 8조 4622억원으로 이틀째 늘었다. 증권거래소 관계자는 “외국인투자가 국내 증시를 좌지우지하면서 과거처럼 연말연초의 막연한 기대감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연말엔 배당을, 연초엔 영업실적을 따라 투자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 구조조정 ‘성공 셈법’

    구조조정 ‘성공 셈법’

    ‘쪼개거나 합쳐 경쟁력 되살린다.’ 합병과 분할을 통해 경쟁력을 높인 기업 구조조정 성공사례들이 잇따르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본격화된 구조조정이 여전히 유효한 경쟁력 강화의 수단임을 여실히 보여준다. 또 지난해 기업들의 자산·지분 처분 사례가 2003년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유동자금 확보에 상당한 여유를 갖게 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고용불안 없이 시너지 효과 아남반도체는 지난해 12월21일 동부전자를 합병, 회사이름을 동부아남반도체로 바꾸면서 동부그룹의 핵심계열사로 변모했다. 합병액수는 1조 1017억원. 일본 등에서 메모리반도체를 주문받아 수탁생산(파운드리)해 오다 2002년 동부그룹에 편입된 아남반도체는 동부전자와 업종이 거의 같아 그룹내 제살 깎아먹기식 경쟁이 불가피했다. 그러나 두 파운드리 반도체업체의 합병으로 큰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됐다. 생산능력은 아남반도체가 앞서고, 마케팅능력은 동부전자가 낫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합병과정에서 인원감축도 별로 없을 것으로 보인다. 두산산업개발도 지난해 5월6일 주택건설에 강점을 지닌 고려산업개발이 재개발, 토목,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중심의 두산건설을 합병해 출범한 두산그룹 계열사. 지난해 건설경기가 극도로 어려웠지만 1800원대(고려산업개발)에 머물던 주가는 합병이후 최고 4500원(두산산업개발)을 호가했고, 도급 순위도 20위권 밖에서 9위로 훌쩍 뛰었다. ●합병·분할은 체질강화 노력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상장사 합병건수는 24건으로 전년(17건)에 비해 30% 가까이 늘었다. 합병금액(흡수된 회사의 자산총액)도 총 2조 7636억원에 달했다. 한 회사를 2개 이상으로 쪼개 경쟁력 강화에 나선 경우도 전년 9건에서 11건으로 증가했다. 나누기 전 기업의 자산총액을 말하는 분할금액은 3조 2763억원이나 됐다. 반면 이런저런 사정으로 고정자산을 처분한 건수는 69건에서 50건으로 줄었다. 처분금액은 1조 4690억원으로 전년보다 35.5% 감소했다. 출자지분을 처분한 규모도 118건,2조 6098억원으로 각각 59.7%,49.0% 감소했다. 증권거래소 관계자는 “토지·건물 등 자산이나 보유지분을 내다 판 기업이 줄었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들의 재무구조가 안정돼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런 현상은 코스닥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코스닥 등록기업의 합병은 2003년보다 5건 늘어난 22건, 분할은 1건 늘어난 11건이었다. ●기업활동 활성화에 좋은 징후 동부아남반도체 권기주 팀장은 “합병이나 분할은 기업간 장단점을 보완해 주는 결합인 데다 해고 등이 필요없는 구조조정이기 때문에 직원들도 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신경제연구소 주명호 기업분석실장은 “합병·분할을 통해 서둘러 기업의 체질을 강화한 기업들은 올해 높은 성장을 기대할 만하다.”면서 “이는 기업활동 활성화에 좋은 징후로 평가되며, 다른 기업에도 자극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