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부가가치 27조 ‘사상최대’
지난해 상장사들이 창출한 경제적 부가가치(EVA)가 27조원에 육박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 1995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EVA를 창출한 기업이 상장사의 절반을 넘어섰다. 1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유가증권시장 상장 551개사와 코스닥 상장 732개사 등 모두 1283개 상장사가 창출한 EVA는 총 26조 7891억원이었다. EVA란 기업의 세후 순영업이익에서 주주와 채권자의 기대수익금액을 뺀 것이다. 주주가 투자한 자본을 기회비용화해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진단하는 지표로 활용된다.EVA가 양(陽)값이면 기업 본연의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순가치가 늘어났다는 뜻이다. 특히 지난해에는 EVA가 양값을 갖는 상장사수가 680개나 되면서 전체 기업중 비중이 53.0%(유가증권시장 56.1%. 코스닥 50.7%)로, 지난 1995년 조사 이래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EVA창출액이 가장 큰 기업은 대표적 우량기업인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의 EVA는 8조 5970억원으로, 양대 시장 상장사가 창출한 EVA의 32%나 됐다. 포스코(3조 1490억원),KT(1조 4890억원), 하이닉스(1조 3530억원),SK텔레콤(1조 1970억원) 등 5개 기업이 1조원을 넘었다. 주당 EVA가 가장 높은 기업은 SK텔레콤으로 주당 14만 5544원이었다. 삼성전자(5만 8363원), 롯데칠성(4만 9141원)의 순이었다. 증권선물거래소 이주호 통계팀장은 “내수침체와 환율하락에도 수출호조와 상장기업의 수익중시 경영으로 EVA가 대폭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한편 지난달 29일의 종가기준으로 시가총액이 10조원을 넘는 기업은 삼성전자(83조 2000억원)를 비롯해 한전(22조 9000억원), 국민은행(18조 3000억원), 포스코(17조 9000억원),LG필립스LCD(17조원),SK텔레콤(16조 1000억원), 현대차(15조 5000억원),KT(12조 4000억원), 하이닉스(10조 7000억원), 우리금융(10조 2000억원) 등 10개다. 종합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1994년 11월 8일 국내 주식시장에서 시가총액 10조원을 넘는 기업은 한전(20조 2000억원)이 유일했다.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