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진주’ 찾았나
외국인투자자들이 코스닥 주식을 집중적으로 사들이고 있다. 덕분에 코스닥지수는 3년 6개월여 만에 700선을 넘어서는 등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의 코스닥 상승세는 과거 ‘코스닥 버블(거품)’과는 달리 알차고 유망한 일부 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외국인도 이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찾은 것이라는 평가가 조심스럽게 나온다.
●코스닥에 대한 지배력 급증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0월 이후 피델리티 등 외국계 펀드가 코스닥시장에서 5% 이상 지분을 신규 또는 추가로 취득한 상장법인은 모두 30개사다. 한 기업의 지분이 5%를 넘으면 지배력을 인정받아 금감원에 신고해야 한다.
지난 해에는 이같은 상장법인의 수가 월 평균 5개에 불과했던 점과 비교하면 2∼3배 늘어난 셈이다. 외국계 펀드가 사들인 총 주식수는 4297여만주에 달한다.
외국인들이 30% 이상 지분을 보유한 코스닥 법인은 올해 초 36개사에서 42개사로 6곳(16.7%)이 늘었다.
외국인들의 매수세에 힘입어 코스닥지수는 최근 거침없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지난 1월6일 400(404.15)을 넘은 뒤 약 6개월 만인 6월30일에야 500선(503.21)으로 뛰었다.
그뒤 증가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10월10일 600선(603.85)을 넘더니 올해 전망치를 깨고 1개월여 만인 지난달 30일에는 700선(712.39)마저 돌파했다.
외국인들은 이달에도 유가증권시장에서 2조 3300억원어치를 더 팔았으나 코스닥시장에선 1300억원어치를 더 사들였다.
13일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5.57포인트(0.76%) 오른 738.99를 기록,3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실적과 성장성에 투자
외국인들이 대량 매수했다고 하지만 전체 코스닥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초 15.36%에서 13.10%로 오히려 2.26%포인트 줄었다. 이는 아무 주식이나 쓸어모은 게 아니라 우량종목, 알짜기업만을 골라 집중적으로 투자한 것임을 보여준다.
외국인들은 ‘한류(韓流)열풍’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엔터테인먼트 종목에 대해 대규모 투자를 했다. 튜브미디어, 유아원엔터테인먼트, 여리인터내셔널, 서세원미디어그룹, 예당엔터테인먼트, 에스엠엔터테인먼트 등이 대표적이다. 위성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DMB) 때문에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수요도 이들 종목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외국계 펀드 ‘DKR사운드쉐어오아시스’는 2개월 사이에 9개의 코스닥 종목을 사들여 여리인터내셔널에서 82억원, 유아원엔터테인먼트에서 46억원, 한국볼트공업에서 10억원의 평가차익을 올렸다. 일부 펀드는 주식을 매입한 뒤 주가가 떨어져 평가손실을 입기도 했으나 주식은 그대로 움켜쥐고 있다.
이에 따라 MK전자(61.6%), 한국정보통신(57.6%), 니트젠테크(55.1%), 다산네트웍스(54.7%),NHN(53.3%) 등 대표적인 코스닥 종목들의 외국인 비중이 이미 50%를 웃돌고 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