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경두
    2025-08-26
    검색기록 지우기
  • 분석
    2025-08-26
    검색기록 지우기
  • 홍희경
    2025-08-2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232
  • “대우 영광 재현” 가속

    ‘이젠 전진이다.’ 부실의 ‘멍에’를 짊어졌던 옛 대우그룹 계열사들이 속속 ‘권토중래(捲土重來)’에 나서고 있다.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서 벗어나 흑자기업으로 전환되거나 매각뒤 신설법인으로 새롭게 출범하면서 옛 영화를 재현하기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GM대우차는 J-200(프로젝트명)을 다음달 서울모터쇼에 첫선을 보이며 떨어진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기에 나선다.지난해 워크아웃을 졸업한 대우종합기계와 대우조선해양은 올초부터 흑자경영을 기록하며 순항중이다. ◆공격경영으로 승부 대우인터내셔널은 최근 ‘장기비전 및 경영현황 설명회’에서 5년후인 2007년 매출액을 현재의 곱절 수준인 13조원으로 늘리고 영업이익도 3배 수준인 2400억원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거래선수를 현재 3817개에서 7800개로,지사·투자법인 등 해외 네트워크를 103개에서 126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태용(李泰鎔)사장은 “초일류 종합상사로 도약하기 위해 현재 조직을 5개 비즈니스 그룹으로 재편,부문별로 자금·인사·예산·투자등 권한을 부여하고 독자적인 사업을 영위하는 독립채산제를 도입키로 했다.”고 밝혔다. 대우건설은 올해 주택공급 목표 3만가구로 지난해에 이어 주택 공급실적 1위를 눈앞에 두고 있다.수주물량도 올해 5조 5000억∼6조원어치를 확보했다. 마케팅 전략도 물량공세에서 고급 브랜드 이미지로 승부할 계획이다.6년만에 처음 전국망 방송사에 TV광고를 하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GM대우차는 신설법인 출범을 기념해 마티즈,레조,매그너스의 스페셜 모델을 다음달초 출시할 예정이다. ◆흑자경영을 정착시켜라 대우종합기계는 판매단가 인상 등에 따른 수익성 개선과 구조조정 추진 효과가 나타나면서 올 3·4분기 영업이익 373억원을 기록했다.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배 증가한 것이다. 올 실적누계도 매출액 1조 3693억원,영업이익 1318억원에 달하는 등 경영실적이 호전되고 있다. 관계자는 “부동산 매각이 마무리되면 부채비율이 200% 미만으로 떨어져 내년부터 본격적인 공격경영에 나설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도 3·4분기 당기순이익이 319.5% 증가한 516억원을 달성했다.특히 LNG선과 초대형 유조선(VLCC)등 고부가가치 선박이 본격적으로 건조됨에 따라 올해 매출목표치 3조 2764억원과 당기순이익 2500억원 달성이 무난할 전망이다. ◆다른 계열사도 정상화 가시권 대우버스는 다음달 영안모자 관계사인 영안개발 컨소시엄과 매각 본계약을 체결할 전망이다.옛 대우전자부품사인 파츠닉도 지난 17일 워크아웃을 졸업하며 3년만에 독자경영의 길을 걷고 있다. 김경두기자 golders@
  • ‘은마아파트 재건축 불가’ 파장/ 재건축 아파트 중심 집값하락 기폭제될듯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가 안전진단에서 탈락,아파트 재건축 시장에 엄청난 파장이 일 전망이다. 은마아파트는 강남 집값 상승의 진원지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번 은마아파트의 안전진단 탈락이 집값 하락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집값 하락의 신호탄 은마아파트가 갖는 상징성이 커 재건축을 앞둔 다른 아파트의 가격하락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그 여파는 서울의 강남은 물론 과천등 수도권에까지 미칠 전망이다. 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 사장은 “은마아파트의 안전진단 불가 판정은 아파트가격의 하향안정을 가져다주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시간이 지날수록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하락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재건축이 이미 확정돤 5개 저밀도지구를 빼고는 성수기를 맞더라도 아파트값 상승이 힘들 것으로 보인다.이미 약세로 돌아선 재건축 아파트의 가격하락을 부채질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분석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은마아파트의 안전진단 탈락은 예견된 것으로 이미 가격하락분에 반영된 만큼 가격이 급락하는 일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당분간 관망세 필요 재건축 시장은 앞으로 안전진단을 통과한 아파트와 그렇지 않은 아파트간에 가격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재건축이 무산되거나 지연된 아파트의 가격은 떨어지고 급매물도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일각에서는 가격이 내리기는 하겠지만 급락은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그런 만큼 매수·매도 모두 성급하게 서둘지 말고 당분간 시장흐름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세중코리아 한광호 팀장은 “심리적인 영향으로 가격은 하락하겠지만 본격적인 하락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면서 “당분간 관망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건설업체들 비상 강남구 개포동 시영아파트에 이어 은마아파트가 안전진단에서 탈락하자 건설업체들은 향후 파장을 다각도로 분석하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다른 재건축 아파트도 안전진단의 통과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택지 부족으로 일감이 줄어들고 있는 마당에 재건축마저 속속 무산되면 건설업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정부가 집값을 잡는다고 너무 극약처방을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성곤 김경두기자 sunggone@
  • 강북 뉴타운지역 땅값 ‘껑충’

    서울 강북 뉴타운 시범개발지역에 부동산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시범개발지역 확정 발표이후 땅값이 10%이상 오른 곳도 생겼다. 부동산값이 오르자 땅주인들은 팔자 물건을 거둬들이는 추세다.때문에 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묻지마 투자’도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다.마땅한 투자처를 잃은 사람들이 무턱대고 재개발 부동산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뉴타운 개발은 일반재개발 사업과 달리 서울시가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기 때문에 높은 투자수익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부동산 전문가들은 “투자수익률을 따져본 뒤 신중하게 투자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 진관내·외동 = 은평구 진관내·외동 지역은 강북 개발계획 초기부터 가격이 오르기 시작한 곳.아파트 입주권을 노린 소액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주택지의 경우 8월까지는 평당 250만∼300만원에 불과했다.서울시가 집값안정을 위해 강북개발에 중점 투자하겠다는 발표가 나온 뒤 투자자들이 하나둘씩 몰려들기 시작하면서 가격도 강세로 돌아섰다.특히 뉴타운 시범개발지역으로 확정되면서부터는 가격이 껑충 뛰었다.한달 전보다 평당 50만∼60만원 뛴 곳도 있다.구파발역과 가까운 땅은 평당 400만∼450만원을 호가한다. 이 지역의 특징은 소규모 나대지를 찾는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는 점. 10∼20평 정도의 땅을 구입,아파트 입주권을 받아 시세차익을 남길 생각에서다. 진관공인중개사사무소 조성본 사장은 “그동안 그린벨트로 묶여 개발이 안돼 낙후지역으로 남아있던터라 주민들이 개발을 적극 환영한다.”면서 “시범개발지역으로 확정된 뒤 땅값이 뛸 것을 기대,팔자 물건을 거둬들이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소규모 나대지를 사겠다는 사람은 많으나,팔 물건이 없어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가운데 가격만 오르고 있다.”고 전했다.기자촌 일대는 이미 도시기반시설이 갖춰져 수용에서 빠질 것이라는 소문도 돌고 있다. ◆길음·정릉동-길음동과 정릉동 일대도 부동산 중개업소마다 매수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쌓여있던 매물이 자취를 감추면서 거래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아파트 분양권 프리미엄도 상승세가 가파르다. 내년 1월 입주가 시작되는 길음1구역 삼성래미안 33평형은 현재 3억 1000만∼3억 2000만원으로 4일새 1000만원 이상이 올랐다.8차 동시분양에 나왔던 정릉동 현대홈타운 34평형도 1000만원 가량 뛰었다.재개발아파트 입주권 시세도 20평형대 미만을 기준으로 50만∼100만원 가량 올랐다. 길음동 인근 삼일부동산 관계자는 “서울시의 강북개발사업 모범지구 지정으로 집주인들이 호가를 올려 부르고 있다.”며 “매물을 구해달라는 매수전화가 하루에도 수십통씩 걸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상왕십리동-성동구 상왕십리동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거래는 한산한 반면 호가만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 일대는 아파트 단지가 드물어 단독주택 중심으로 가격상승세가 눈에 띈다. 성동부동산 관계자는 “노후주택 보유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가격을 평당 50만원 정도는 높게 부르고 있다.”고 말했다.특히 “당분간 팔지 않겠다는 집주인들이 많아 한동안 거래가 끊기고 호가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묻지마’ 투자는 자제해야-공영개발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일반 재개발사업은 땅 주인과 건물주가 불량주택을 헐고 아파트를 지은 뒤 개발이익금을 나누어 갖는 방식이지만 공영개발은 서울시가 해당지역 땅을 강제로 사들인 뒤 개발하는 방식이다. 자체 재개발사업은 법정한도에서 용적률을 최대한 높일 수 있으나,공영개발방식은 다르다.진관내·외동처럼 건축밀도를 낮게 하고 중저층 아파트를 지을 경우 투자수익률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 분양아파트 외에 임대아파트도 들어설 계획이라서 그동안 진행된 재개발 사업지구에 비해 사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류찬희 김경두기자 chani@
  • 한국기업 中투자 급가속

    국내 기업들의 대중국 투자가 절정에 이르고 있다. 25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코오롱 등 대기업들은 중국을 제2의 산업 전초기지로 선택,막대한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특히 반도체 등 첨단업종부터 할인점에 이르기까지 업종에 관계없이 투자 열풍이 거세다.이에 따라 지난 8월말 한국의 대중국 투자액은 9억 7540만달러로 지난해 전체투자액 9억 6040만달러를 넘어섰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WTO 가입으로 투자의 불확실성이 줄어든데다 비용절감과 거대시장 덕분에 기업들의 투자는 계속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대규모 투자 공세 삼성은 내년 중국에서 100억달러 매출을 올린다는 목표아래 TFT-LCD(초박막액정표시장치)모듈,CDMA(다중코드접속방식)휴대폰,노트북PC,광케이블 공장등 4개 이상의 생산법인을 신설한다.연구개발(R&D),인력,판매 등에서도 중국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현재 삼성의 중국내 생산법인은 LG와 마찬가지로 10개다. 중국에 진출한 삼성 계열사들의 올 매출 예상치는 75억달러로 내년에는 이보다 35% 늘어난 100억달러를 목표로잡았다. 이날 생산설비 확충을 위해 장쑤(江蘇)성 쑤저우(蘇州)시 공업원구에서 TFT-LCD모듈 조립공장 기공식을 가진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특히 쑤저우 공장에 추가 건설된 D램 및 S램 등 메모리 반도체 라인을 이달말부터 본격 가동한다.이달말 선전에 CDMA 휴대폰 공장을 착공하고 연말에는 쑤저우에 연산 30만대 규모의 노트북PC 공장과 하이난(海南)성의 광케이블공장 건설에 들어간다. 삼성은 현지 R&D 강화를 위해 반도체부문 총괄연구소를 설립,현재 1000명선인 R&D 인력을 내년에는 2000명,2006년에는 4500명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다. ◆자동차·유통도 중국 투자 봇물 신세계는 내년 상반기 신세계이마트 상하이(上海) 매장을 열 계획이다.특히 중국에서 외국인이 지분 50%이상을 가질 수 있는 2005년 이후에는 중국 시장에 독자적으로 진출하고,2010년까지 점포수를 40여개로 늘릴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도 대중국 투자에 활발하다.북경현대기차는 올 연말까지 기차 생산 2000대를 시작으로 내년 3만대,2005년 20만대,2010년까지 50만대로 생산을 늘릴예정이다. 현대차는 초기투자비 1억달러를 포함해 2005년까지 4억 3000만달러,2010년까지 모두 11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코오롱도 중국 난징시(南京市)에 연산 5000t규모의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지 생산공장을 건립키로 하고 4000만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박홍환 김경두기자 golders@ ■이윤우 삼성 반도체부문 사장 “中쑤저우 전자단지에 삼성전자 5억弗 투자” “중국은 세계 노트북PC와 휴대폰 생산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LCD와 반도체를 현지에서 생산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원가절약 측면에서도 유리합니다.” 삼성전자 이윤우(李潤雨) 반도체부문 총괄사장은 25일 중국 장쑤(江蘇)성 쑤저우(蘇洲)에서 TFT-LCD 모듈공장 기공식을 한 뒤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반도체,LCD 부문의 중국사업을 확대,오는 2006년까지 42억달러의 매출을 이룰 계획이라고 밝혔다.이사장은 “TFT-LCD 모듈공장과 함께 현재 가전공장을 건설중이며,내년 7월말 가동 예정인 노트북PC 공장 건설도 계획하고 있다.”면서 쑤저우 전자단지에대한 5억달러 투자계획을 공개했다. 부문별로는 TFT-LCD 모듈공장에 3억달러,반도체 라인증설에 1억 4000만달러 등이 투자된다.특히 시장상황에 따라 2기,3기 사업 등으로 확장할 계획이라는 게 이사장의 설명이다. 이사장은 특히 “우수인력 확보와 현지 연구개발체제 구축을 위해 DS(디바이스 솔루션 네트워크)총괄 중국연구소의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중국 핵심대학과 연계된 산학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인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현재 1000명 수준인 반도체 사업부문의 현지인력을 2006년까지 4500명선으로 늘릴 계획이다.그는 중국 투자확대에 따른 국내 산업의 공동화현상 우려와 관련,“범용제품은 어쩔수 없이 해외로 나가야 하지만 핵심사업은 계속 국내에 둘 것”이라며 일축했다. 쑤저우 박건승특파원 ksp@
  • 한화, 점자달력 무료 배포

    한화는 2003년도 점자달력 2만부를 특별제작,시각장애인들에게 무료로 나눠준다고 24일 밝혔다. 김승연(金升淵)회장이 “장애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달력을 제작하라.”고 지시한데 따른 것이다.2001년부터 점자달력을 무료배포하고 있는 한화는 이번에는 제작전에 장애인들의 의견을 반영,탁상용과 벽걸이용 2종류를 한 세트로 포장해 배포키로 했다. 25일부터 다음달말까지 한화 사회공헌 홈페이지(www.welfare.hanwha.co.kr)나 한화그룹 홍보팀(02-729-5393)으로 신청하면 12월 초순에 받아볼 수 있다. 김경두기자 golders@
  • “코오롱 내년 건강관리사업 진출”이웅열회장 기자간담회

    코오롱 이웅열(李雄烈)회장은 내년에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핵심업종의 보강투자에 주력하는 한편 건강관리사업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입사원의 30%정도는 여성인력으로 충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회장은 23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내년도 경영계획을 이같이 밝혔다. 이회장은 “내년은 구조조정을 끝내고 새출발하는 해인 만큼 공격경영을 위한 토대를 다지겠다.”면서 “선진국에서 큰 시장을 형성하는 건강관리사업은 우리나라에서도 전망이 밝다고 보고 현재 TF(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사업전략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오롱의 고합 필름사업 인수에 관한 질문에 “현재 필름사업에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코오롱이 고합을 인수하는 것은 한국의 경쟁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이회장은 간담회에 앞서 가진 사내특강에서 ▲하겠다는 의지 ▲할 수 있다는 확신 ▲성공 실현을 위한 전략 등을 갖춰야 한다는 ‘3박자 경영론’을 펼쳤다.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CEO의 강한 신념,성과보상 강화,관료주의 타파와 실질적 권한이양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년 봄부터 이사,이사보 두 직급을 상무보로 통합하고 2월 사장단시상에서 성과가 좋은 법인사장과 본부장 10명 내외에 BMW를 선사하겠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기업 사활을 걸고 여성인력을 집중 확보해 육성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김경두기자 golders@
  • 가전업계 ‘제살 깎기’

    ‘갈데까지 가보자?’ 가전업계가 경쟁적으로 제품 가격을 내리면서 출혈경쟁이 이전투구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 등은 PDP TV와 PC,모니터 등 가전제품의 가격을 최고 22%까지 인하,팔면 팔수록 손해보는 장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에따라 중소업체들은 기업 수익성이 날로 악화돼 유동성 위기까지 겪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면서 재고가 쌓이지 않도록 미리 제품을 처리하기 위해 가격을 인하하는 경우가 있지만 현재 상황은 그 정도를 넘어서고 있다.”고 밝혔다. ◆PDP TV가격 일제히 인하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가전업체는 최근 주력 PDP TV 제품인 42인치 가격을 760만원에서 590만원으로 22% 인하했다. 무리수를 쓰더라도 시장을 키워보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하지만 내수경기 침체로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보다 업체끼리 ‘제살 깎기’식 경쟁만 부추길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많다. 테크노마트 관계자는 “PDP TV는 워낙 고가 제품이기 때문에 가격을 내려도 수요층이 한정돼 있다.”면서 “가전업계의 뜻대로 시장 자체가 커질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PC·모니터는 가격 폭락세 PC판매가 계속 내리막길로 접어들면서 업체들간 출혈경쟁에 불이 붙었다.특히 중소업체들은 110만원대에 달했던 PC를 2개월새 100만원 이하에 팔고 있다. 주연테크컴퓨터는 지난 7월 109만원에 판매하던 제품을 97만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에 내놓았다.현주컴퓨터와 현대멀티캡도 프린터,할인권 등을 추가로 주며 저가경쟁에 합류했다. 그러나 이같은 가격인하에도 불구하고 판매는 호전되지 않고 있다.지난 9월까지 국내 PC판매대수는 180만대에 그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만대나 줄었다.연말까지 판매 예상치도 최고 240만대를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모니터도 타이완·중국산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 제품의 저가 공세 여파로 국내 업체들이 일제히 가격을 내리며 한판 승부를 벼르고 있다. 따라서 17인치 저가형 모니터 가격은 20% 가량 떨어진 14만원대에 형성되고 있다. 삼성전자,LG전자 등 고급형 생산업체들도 가격인하와 중가형 제품생산에 박차를 가해 가격폭락 현상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경두기자 golders@
  • 수도권 분양권 상승률 둔화

    아파트 분양권시장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특히 그동안 투기과열예외지구를 중심으로 분양권 프리미엄이 치솟던 수도권도 상승률이 크게 둔화되고 거래는 한산하다. 부동산 정보업체 닥터아파트가 지난 2주간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 분양권 2920개 평형의 시세를 조사한 결과,분양권 상승률은 0.38%를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서울은 분양권 상승률을 주도했던 강남권이 주춤한 반면 강서,강북은 거래가 활발하고 상승률도 높게 나타났다.강남구는 0.55%,서초구 0.26%,송파구 -0.06%로 약세를 보였다.그러나 동작구 0.98%,금천구 0.91%,동대문구 0.83%,성북구 0.83%,도봉구 0.73%로 상대적으로 강세를 띠었다. 도봉구 창동 아이파크4차는 매물부족으로 2주새 평형별로 프리미엄이 1000만원 가량 올랐다.39평형이 3억∼3억 4000만원,45평형은 3억 5000만원선에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동작구 상도동 중앙하이츠빌도 분양권 프리미엄이 500만∼2000만원 뛰었다. 수도권은 분양권 상승률이 한달전보다 절반이나 떨어진 0.43%를 기록하며 안정세를보였다. 인천도 0.26%로 약세를 면치 못했다.지역별로 서구 0.46%,남구 2.01%,부평구 0.75%,중구 -2.66%를 기록했다. 인천 첫 동시분양으로 분양권 관심이 높아지면서 매도자들이 기대심리로 호가를 올리고 있지만 거래는 소강상태다. 김경두기자 golders@
  • 건설 경기 하향곡선, 원자재價 오르고 실적둔화

    건설경기가 심상치 않다. 17일 건설교통부가 내놓은 ‘건설경기 주요통계’에 따르면 건설 취업자가 2개월째 줄고 주택건설 실적과 건축허가 면적도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더욱이 원자재 재고는 늘어난 반면 원자재 가격 및 노임은 크게 올라 업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주택건설 실적 하락세 폭발적으로 늘었던 주택건설 실적이 지난 8월 4만 400가구에 그쳐 지난해 같은 동월 대비 올들어 첫 감소세를 기록했다.주택건설 실적은 지난해와 비교해 1·4분기에는 139.3%나 증가했지만 4월 83.2%,7월 6.4% 등으로 증가율이 둔화되다 8월에는 3.7% 감소했다. 건축허가 면적도 주거용의 경우 지난 5월까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최소 24.3%에서 최대 127.7%까지 늘어난 반면 6월에는 415만 6000㎡(126만평)로 17.4%, 7월 399만 2000㎡(121만평)로 5.4%,8월 378만 6000㎡(115만평)로 7.5%줄어 3개월 내리 하향곡선을 그렸다. ◆건설업체 비용부담 증가 주요 건설자재가 값도 오르고 재고도 늘었다.시멘트 재고량은 지난 5월 33만 9000t으로 올해 최저치를 기록한뒤 7월 51만 1000t,8월 55만t으로 늘었다. 철근 재고도 5월 8만 8000t에서 8월 13만 2000t으로 증가했다. 가격은 시멘트가 40㎏ 포대당 지난해말 3000원에서 지난달 3900원으로,레미콘이 210㎏당 4만 8010원에서 5만 930원으로 올랐다. 또 건설 근로자 하루 임금은 일반공사 직종 평균이 지난해 하반기 6만 9615원에서 올해 상반기 7만 6040원으로 껑충 뛰었다. 김경두기자 golders@
  • ‘北核’파문/ 남북경협 ‘核유탄’… 관망세로

    재계는 ‘북한 핵파문’으로 남북경협이 냉각기에 접어들 가능성을 우려하면서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17일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경제단체와 현대·삼성·LG·SK 등 대기업들은 북·미간의 긴장이 높아지면 남북경협이 속도조절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보고 정확한 사태 파악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현대아산은 일단 사태 추이를 관망하면서 일정대로 개성공단 조성과 금강산 육로관광 사업을 밀고 나갈 방침이다.관계자는 “북한의 핵개발 시인으로 다음달 18일로 예정된 금강산 육로관광 사업 등이 차질을 빚을 수도 있지만 서해교전 사태 때처럼 남북경협이 크게 휘둘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북한에 체류중인 김윤규(金潤圭) 사장이 돌아오면 대북사업의 방향과 속도조절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북한에 SK글로벌의 의류 임가공사업과 SK텔레콤의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중인 SK는 현황 파악에 분주했다.관계자는 “합작법인이 아직 경영계획이나 사업전략에 반영할 만한 시기는 아니다.”라고 밝혔다.그러나 불확실한 환경속에서 굳이 사업을 밀어붙일 필요는 없는 것 아니냐는 내부 의견이 대두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의주특구나 개성공단 등에서 사업을 준비해 왔던 기업들은 사업의 재검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LG그룹 경협 실무자는 “북한이 경제특구 등의 확실한 보장을 한다 해도 이번 사태가 해결되기 전에는 기업들이 관망하는 입장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경련도 미국과 이라크간의 긴장으로 가뜩이나 세계경제가 불안한 상황에서 북·미 갈등이라는 또 다른 ‘악재’가 돌출됨에 따라 경제환경이 더욱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경련 동북아센터 관계자는 “앞으로의 상황전개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긴장이 고조되면 기업들이 구상하고 있는 북한 투자계획이 뒤로 밀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가 이날 발표한 ‘북한 경제개혁과 우리기업의 대응실태’에 따르면 1∼2년내에 북한에 진출하겠다는 업체는 100개 기업 가운데 11곳에 불과했다.따라서 국내기업들이 당분간 북한 진출에 관망세를 보일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박홍환 김경두기자 golders@
  • 평택 42만평 택지개발 불투명

    부영이 야심차게 내놓은 경기도 평택의 42만평 택지개발사업이 ‘공염불’에 그칠 전망이다. 15일 평택시에 따르면 고덕면 여염리 일대 한국낙농목장 부지 42만평은 단계별 개발계획 가운데 4단계에 속해 2011년 이후에나 개발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00년 도시개발법이 도입된 이래 민간업체가 개발하는 최대 규모의 택지사업은 추진 자체가 불투명해졌다. 평택시 관계자는 “42만평 대부분이 목장부지로 용도변경을 해준다면 특혜시비가 일 가능성이 높아 택지개발사업 승인을 내주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이와 관련 아직까지 어떠한 개발신청서도 받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영은 “아직은 세부계획 수립단계로 평택시와 협상을 준비중에 있다.”며 “평택시의 입장에 대해 뭐라고 말할 수 없다.”고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평택시 한국낙농목장 부지 42만평은 부영이 지난달 농산물유통공사로부터 800억 500만원에 낙찰받았다.현재 이 땅은 대규모 택지개발이 발표되면서 땅값이 한달새 50% 가까이 올랐다. 인근 고덕부동산 관계자는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들어선다는 소문에 매수문의 전화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며 “평당 30만원대의 호가가 형성된 상태”라고 말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
  • 청약1순위자 작년의 2배 육박

    청약통장 1순위자가 급증세를 이어가면서 지난해말의 2배 수준을 육박하고 있다. 15일 금융결제원 주택청약팀에 따르면 지난달말 현재 청약예금,청약부금,청약저축 등 청약통장 가입자중 1순위자는 184만 1589명으로 한달 전보다 3.2%(5만 7926명) 늘었다.이는 지난해말(94만 6863명)보다 94% 늘어난 수치다. 이같은 1순위자의 급증은 2000년 3월 청약통장 가입자를 1가구 1명으로 제한하던 규제가 풀리면서 대거 신규 청약통장을 가입함에 따라 이들이 1순위 자격기준을 갖추는 2년이 올 3월이후가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1순위자가 지난 1월말에는 96만 5395명,2월말은 98만 2304명 등 소폭 상승한 반면 3∼6월에는 월 10만명 가량 증가했다. 금융결제원 관계자는 “2000년 3월 청약통장 가입 제한이 완화된 뒤 1년이상 가입자가 큰 폭으로 늘었다.”면서 “당분간은 현재의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두기자
  • 겨울에 태어나야 부자?

    ‘부자는 겨울에 태어난다.’ 우리나라 부자 10명 가운데 4명이 겨울에 태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대주주 지분정보 제공업체인 에퀴터블(www.equitable.co.kr)에 따르면 현재 국내 부호 1위인 이건희(李健熙) 삼성회장을 비롯해 100대 부호 가운데 40%가 겨울철에 출생했다. 2위,3위인 롯데 신동빈(辛東彬) 부회장과 신동주(辛東主) 이사도 겨울에 태어났다.2월생인 구본무(具本茂) LG 회장과 1월생인 서경배(徐慶培) 태평양사장도 겨울에 태어났다. 자수성가형 부호 29명중 60% 가량이 겨울에 태어났고 삼성그룹 고 이병철(李秉喆) 창업주와 현대그룹 고 정주영(鄭周永) 명예회장도 겨울에 출생했다. 에퀴터블은 이런 현상은 비단 한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천이 지난달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 자수성가형 젊은 부호 40명 가운데 10명 이상의 별자리가 모두 염소자리였다. 염소자리는 12월23일에서 1월20일사이에 태어난 사람의 별자리로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와 아마존의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조스가 염소자리인 것으로 밝혀졌다. 김경두기자 ksp@
  • 강남 아파트값 하락, 서울·인천 전세도 소폭 하락

    부동산 투기과열 지역으로 지목됐던 서울 강남구가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투기억제 대책으로 아파트값이 1년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13일 부동산 전문업체인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의 서울지역 아파트 가격은 전주보다 0.22% 오르는 데 그쳤다고 밝혔다.특히 강남구는 주간 변동률이 -0.08%를 기록,지난해 10월 이후 1년 만에 하락세를 나타냈다.강동구(-0.03%)와 영등포구(-0.33%)도 가격이 떨어졌다. 부동산 중개업계는 최근의 양도세 실거래가 과세와 경기악화의 불안 등으로 가격이 더 떨어질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시영 10평형은 지난주에만 무려 2000만원가량 떨어졌다.강동구 고덕동 시영 현대 17평형과 둔촌동 주공1단지 16평형도 각각 1000만원 하락했다. 한편 국민은행이 발표한 지난주 시세동향에서는 서울과 인천지역 전세가는 전주보다 각각 -0.3%,신도시는 -0.7%를 기록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
  • 대기업 “먹는 장사가 최고”

    “먹고 마시는 장사가 짭짤하다.” 대기업들이 ‘먹거리 사업’ 투자에 앞다퉈 나서고 있다.특히 백화점 등 유통업체는 기존 유통망을 바탕으로 식품과 외식사업 진출이 활발하다.사업 연관성이 커 투자규모에 비해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기업들이 경제 불안으로 수익을 내는데 먹거리만한 사업이 없다고 판단,공격적인 투자에 적극 나선 것”이라며 “주5일 근무제 확대도 투자를 앞당기는데 한몫했다.”고 말했다. ◆대기업 투자 ‘너도나도’ CJ는 12월 초 서울 신촌에 유럽풍 카페 1호점을 개점할 계획이다.우선 시내 중심가나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매장 10여개를 직영점으로 운영한 뒤 프랜차이즈 사업을 검토키로 했다. CJ는 또 베이커리 사업부문에서 현재 320개인 매장을 올 연말까지 350개로 늘려 500억원의 매출을 올린다는 방침이다.두산식품BG는 대기업으로서는 처음 반찬시장에 진출했다.지난달 반찬가게 전문점 ‘데이즈’를 열고 본격적인 투자에 나설 전망이다. 동양제과는 최근 패밀리 레스토랑 베니건스를 분리,신설법인 ‘롸이즈온’을 출범시켰다.내년에 최고급 레스토랑 ‘유로차우’와 고급 차이니스 레스토랑 ‘미스터 차우’를 개점키로 했다.이와 함께 베니건스 매장수를 2005년까지 30개로 늘려 1500억원의 매출을 올린다는 계획이다 . 현대종합상사도 프랜차이징,음식점업 등의 다양한 형태의 외식사업을 검토중이다. ◆백화점은 외식사업 확대 현대백화점의 단체급식업체인 현대지네트는 지난달 서울 역삼동에 퓨전레스토랑 ‘휴레아’ 1호점을 열고 외식업 진출을 공식화했다. 롯데는 현재 19개인 ‘TGI 프라이데이’ 매장수를 내년까지 24개로 늘려 연매출 100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레스토랑 ‘까르네스테이션’과 커피전문점 ‘스타벅스’를 운영하는 신세계도 외식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경두기자 golders@
  • 하반기 취업경쟁률 67대1 ‘잡링크’ 67개 대기업 조사

    경기 둔화로 기업의 인력채용이 보수적으로 바뀌면서 올 하반기 취업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채용정보업체인 ‘잡링크’는 올 하반기에 사원을 채용한 67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한 결과,평균 경쟁률이 67대 1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비비안은 대졸신입 4명 모집에 1000명이 몰려 250대 1의 최고 경쟁률을 보였다.지원자가 가장 많은 곳은 LG CNS로 240명 모집에 1만 9000명이 몰렸다. SK그룹은 워커힐호텔 140대 1,SK텔레콤 100대 1,SK글로벌 80대 1,SK투신운용 75대 1 등 주요 계열사가 100대 1안팎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김경두기자
  • 경매열기 아파트서 주택으로

    부동산경매 열기가 아파트에서 단독주택으로 옮겨가고 있다. 11일 경매정보 제공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지역 부동산경매에서 주택 낙찰가율(낙찰가/감정가)은 101.7%를 기록해 98.7%를 나타낸 아파트 낙찰가율을 3%포인트 앞질렀다. 정부의 강도높은 투기억제 대책으로 아파트시장이 점차 침체기에 접어드는 반면 주택시장은 강북 재개발과 청계천 복원 등으로 투자매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주택 낙찰가율이 100%를 넘어선 것은 지난 4월이후 처음으로 4월에도 주택 낙찰가율(100.6%)이 아파트 낙찰가율(101.9%)보다 높지는 않았었다.특히 최근 경매시장에 나온 주택 물건들은 낙찰가율이 130%를 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감정가가 7952만원인 중구 만리동의 대지 20평 주택은 1억 2630만원에 낙찰돼 낙찰가율이 무려 159%에 이르렀다.서대문구 충정로 건평 26평 주택도 감정가 7466만원에 낙찰가 1억 236만원으로 낙찰가율 137%를 기록했다.은평구 대조동,마포구 아현동,강북구 번동 등에서도 낙찰가율이 130%를 넘는 주택물건이 나왔다. 디지털태인 관계자는 “아파트시장에 대한 규제가 심해지면서 투자매력도가 떨어지자 부동산 투자자들이 개발대상지역의 노후주택이나 소형주택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
  • 울산조선소 亞선수단에 인기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가 지난 6월 한·일 월드컵축구에 이어 아시안게임에서도 각국 선수단의 ‘산업 시찰’ 명소로 인기를 끌고 있다. 10일 현대중공업에 따르면 지난 7일 팔레스타인 축구 대표팀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중국,말레이시아,파키스탄 등 10개국 100여명의 선수와 임원,보도진이 울산조선소를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조선소 전시관과 홍보 영화 등을 관람한 뒤 각 사업장을 둘러보며 선박건조 과정을 시찰했다. 이와 함께 대회 폐막일인 오는 14일까지 태국,미얀마,스리랑카 등에서 추가 견학이 예정돼 있어 조선소를 방문하는 아시안게임 관계자들은 모두 20개국,400여명에 달할 전망이다. 김경두기자 golders@
  • ‘부실 멍에’ 건설사 속속 정상화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화의 등 부실의 멍에를 썼던 건설업체들이 최근 인수·합병(M&A)과 자구노력 등으로 경영정상화의 길로 속속 들어서고 있다. 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법정관리 기업인 건영은 지난 8월 인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시데코-레마코 컨소시엄과 최근 최종 인수가격 산정을 위한 정밀실사를 마치는 등 막바지 매각작업을 벌이고 있다. 워크아웃 건설업체 중에는 남광토건이 지난 4월 처음으로 워크아웃에서 벗어난데 이어 벽산건설과 경남기업도 조기졸업 대열에 합류할 예정이다.벽산건설 채권단 관계자는 “조기졸업 결의안에 대한 채권자 동의를 얻는 절차가 진행중”이라면서 “이달중 졸업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두기자
  • 정부·재계 갈등 심상찮다

    정부와 재계의 갈등이 연말 대선을 앞두고 심상치 않다. 재계가 정권말기를 틈타 경제현안에 대한 대정부 압박과 반대 목소리를 연일 쏟아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총이 9일 대통령후보들에게 거듭 대선 공약을 평가하겠다고 밝힌 점은 재계의 보다 투명해진 위상과 함께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풀이를 낳고 있다. 정부가 지난 8일 주5일 근무제 도입에 관한 최종안을 발표하자 반대성명을 내며 국회 심의과정에서 원안통과를 저지하겠다고 강조한 대목도 이같은 공방의 일단을 보여주고 있다. ◆재계,정부와 맞서나 재계는 주5일 근무제부터 공정거래위원회의 부당내부거래 조사,출자총액제한제도,대통령 후보자 평가 등 정부의 재벌관련 정책이 나올 때마다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가장 첨예한 갈등을 보이는 사안은 주5일 근무제.노동부가 마련한 최종 확정안에 대해 재계는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재계는 우선 정기국회 회기가 다음달 7일로 끝나 심의기간이 짧다는 점을 감안,다음주부터 각 정당 방문과 국회의원 개별접촉 등 대국회,대정당 로비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재계는 출자총액제한제,부당내부거래조사 등에 대해서도 정부와 강하게 맞서고 있다.정부가 출자총액한도를 넘어선 기업들에게 보유주식을 처분토록하고 한도초과 지분에 대해서 주식의결권을 제한한 것은 재벌개혁보다는 대선을 겨냥한 다른 ‘속뜻’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재계는 이에 앞서 공정위가 6대 대기업 계열사에 대한 부당내부거래 정례조사에 대해서도 ‘정권말 길들이기’라며 반발했었다. 경총 관계자는 “역대 어느 정권에서도 이같이 정권말기에 기업을 옥죄는 정책을 추진한 적이 없었다.”며 불편한 심사를 내비쳤다. ◆노동계·시민단체 “재계 오버한다.” 재계의 대선공약 정책건의서에 대해 노동계와 시민단체가 발끈하고 있다. 재계의 주장이 의견개진 수준을 넘어 영향력을 본격적으로 행사하려는 의도가 숨어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노동계는 재계의 이같은 행동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냈다.민주노총 손낙구 대변인은 “경총의 주장은 노조를 무력화시키는 의도로밖에 해석할 수 없다.”며 “장기적으로는 사회통합보다는 갈등과 분열을 조장시키는 행위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성공회대 김동춘 교수는 “재계가 힘을 바탕으로 그나마 있던 개혁적인 조치들을 되돌리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며 “권력공백이 심각한 상황에서 일방적 주장은 한국경제에 전혀 도움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최여경 김경두기자 golders@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