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오락산업 ‘베팅’
엔터테인먼트산업은 ‘신(新)엘도라도’인가.
신수종(新樹種)사업으로 꼽히는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진출하는 중견 기업들이 크게 늘고 있다.영화와 게임,방송 등의 엔터테인먼트산업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초기 투자대비 부가가치가 높다는 판단에서다.
CJ와 오리온 등 기존 업체들도 과감한 ‘베팅’으로 영역을 확대,더 많은 ‘파이’ 확보에 나서고 있다.
문화관광부도 내년 영화시장의 규모가 올해보다 27% 성장한 8100억원,게임은 4조 5700억원(12% 성장),음반은 4500억원(2.5%)에 각각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 CJ와 오리온 등 기존업체도 영역확대
웅진코웨이개발은 엔터테인먼트 브랜드인 ‘플라이젠’을 기반으로 음반사업 외에 공연기획과 매니지먼트사업에 진출한다.롯데시네마는 기존 영화관사업에서 투자·제작·배급까지 영역을 확대할 방침이다.영화판의 ‘터줏대감’인 CJ와 오리온에 걸맞은 위상을 다지겠다는 복안이다.이를 위해 영화팀을 별도로 신설,내년부터 본격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여기에 기존 영화관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71개인 영화관을 내년에는 87개로 늘릴 예정이다.
의류업체인 라보라도 지난달 종합엔터테인먼트사인 싸이더스큐와 합병,엔터테인먼트사업 진출을 선언했다.온라인 콘텐츠 뿐 아니라 영화배급,음반제작 등 사업영역을 대폭 확대한다.거대 통신사업자인 KT도 향후 5년간 1000억원을 게임사업에 쏟아부을 예정이다.이밖에 중소기업인 로지트,하이콤,큐엔에스,태진미디어 등도 최근 엔터테인먼트 사업 진출을 발표했다.
그러나 시설인프라의 구축없이 흥행만을 노린 단발성 투자는 전액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엔터테인먼트산업은 유통 지배력에 따라 흥행이 결정되기 때문에 콘텐츠만을 갖고 뛰어들기에는 위험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다.
대신증권 김병국 연구원은 “엔터테인먼트산업은 구조적으로 신규업체에 진입장벽이 높다.”면서 “삼성 등 대기업의 실패가 이를 방증하는 사례”라고 밝혔다.
●기존 강자 ‘수성보다 공격’
엔터테인먼트산업의 강자인 오리온과 CJ도 사업확장에 나서고 있다.신규 진출 기업들이 대거늘면서 ‘수성’보다 공격으로 정면 승부를 걸겠다는 전략이다.
오리온은 내년 1월 여성TV인 ‘온 스타일’을 개국해 케이블방송에 절대 아성을 구축한다.오리온은 현재 OCN,바둑TV 등 9개 채널을 보유하고 있다.영화사업에서는 메가박스가 22개의 스크린을 내년에 추가,확보할 계획이다.이에 앞서 오리온은 스포츠토토를 인수함으로써 영화와 외식,케이블방송,레저 등을 모두 아우르는 종합엔터테인먼트사로 탈바꿈했다.
CJ도 공연사업에 새로 진출했을 뿐 아니라 자회사인 CGV는 2005년까지 총 250개의 스크린을 확보할 예정이다.업계 관계자는 “고속성장 단계인 엔터테인먼트산업에 신규업체의 진출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업체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