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 하반기 업종별 기상도
반도체·전자 ‘맑음’,건설·철강 ‘흐림’.
올 하반기 수출·내수 부문에서 반도체와 전자,자동차,일반기계 업종은 호조를 보이는 반면 철강과 건설,섬유 등은 부진할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실시한 ‘주요 업종의 2004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조사’에 따르면 주요 수출국의 경기 회복과 중국·동남아 등으로의 수출 증가,IT(정보기술)경기 회복 등에 힘입어 반도체와 전자,자동차,일반기계 등은 하반기에도 성장세를 구가할 것으로 전망됐다.그러나 원자재 수급난과 국내 소비위축,부동산 침체 지속 등으로 건설과 철강,섬유 업종은 부진한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조사됐다.
내수 부문은 자동차의 약진이 두드러진다.올 상반기 부진을 털고 하반기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0%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전자(8.7%)와 일반기계(4.4%) 등도 상반기의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관측됐다.하지만 정부의 부동산 규제강화와 청년실업,가계부채 등으로 건설과 철강은 매수가 각각 10%,0.2%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은 반도체(25.9%)와 일반기계(18.4%),전자(17.1%),조선(16.1%)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호조가 예상되는 가운데 상승세는 상반기보다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특히 철강은 중국의 긴축정책 등으로 13.1%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생산은 IT경기 회복과 수출 호조세 지속 등으로 반도체와 자동차,전자,조선 등은 호조가 예상되는 반면 국제유가 등 원자재가격 상승,내수 부진 지속 등으로 섬유,철강 등은 침체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종별로는 조선이 하반기에도 충분한 조업량 확보와 컨테이너선,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출에 힘입어 생산과 수출이 각각 7.5%,16.1%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정유는 유사 휘발유 단속 강화와 제품값 상승,석유화학업종 회복 등으로 생산과 내수가 각각 2.2%,3.1%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석유화학은 세계 화학경기 회복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긴축정책으로 생산과 수출이 각각 2.2%,1.7% 증가에 그치고 내수도 관련 산업 부진으로 2.4% 증가에 머물 전망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국제유가 불안과 중국 긴축정책 등으로 수출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이어서 내수 회복 여부에 따라 산업경기가 좌우될 것”이라면서 “위축된 소비심리 개선과 투자의욕 진작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