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주력 4대기업 ‘눈부신 경영성적표’
국내 업종 대표기업들의 올 상반기 실적이 눈부시다.
포스코와 삼성전자,현대자동차,SK㈜ 등 업종 4개 대표기업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 합계는 12조원을 웃돌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결산 상장법인 509개사 영업이익(38조 3100억원)의 30%를 넘는다.이들 기업의 시가총액은 90조원(12일 종가기준)으로 상장사 시가총액(328조원)의 27%를 차지하고 있다.특히 이들 기업의 호조는 업종 호황에 힘입은 바가 커 동일 업종 기업들의 경영 실적도 상당한 약진이 기대된다.
포스코가 13일 서울 여의도 증권거래소에서 2·4분기 기업설명회(IR)를 가진 것을 시작으로 16일 삼성전자,19일 LG전자,이달 말 SK㈜ 등이 2·4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한다.
●포스코 영업이익 ‘1조원 시대’ 굳힌다
포스코가 제품값 인상과 판매량 증가로 고공 ‘실적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포스코의 올 상반기 매출액은 9조 394억원,영업이익 2조 1958억원,순이익 1조 6345억원을 기록했다.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은 33%,영업이익 40%,순이익은 60%가량 늘어난 것이다.
2·4분기 매출액은 4조 7547억원,영업이익 1조 1874억원,순이익은 9146억원을 올렸다.영업이익은 2분기 연속 1조원을 돌파했으며 분기 순이익도 곧 ‘1조원 시대’를 열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의 이같은 최대 실적은 원자재값 상승에도 불구하고 중국 특수 등에 힘입어 철강재의 판매량이 급증한 데다 제품의 국내외 단가를 지속적으로 인상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대신증권 문정업 연구원은 “포스코의 최대 실적은 제품값 인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면서 “하반기에도 포스코가 수출 가격 인상을 추진하는 만큼 지속적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2·4분기 매출 늘 듯
증권업계는 삼성전자의 2·4분기 실적에 대해 매출은 1·4분기보다 소폭 늘어나겠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다소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증권·금융정보 분석업체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21개 증권사들이 제시한 분기별 실적 추정치 평균을 분석한 결과,삼성전자의 2·4분기 매출액은 15조 2182억원,영업이익 3조 9595억원,순이익은 3조 415억원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은 54.7%,영업이익 222.3%,순이익은 169.1% 늘어난 것이다.
2·4분기 영업이익과 순이익 감소 요인으로는 휴대전화 부문과 마케팅 비용 증가를 꼽고 있다.노키아가 1·4분기 이후 공격적인 가격인하 정책으로 삼성전자의 휴대전화 마진율이 소폭 떨어진 데다 아테네올림픽·유로2004대회를 겨냥한 마케팅 비용 증가가 순이익에 영향을 끼친 것이다.
●자동차·석유화학 ‘맑음’,조선 ‘흐림’
자동차 업종을 대표하는 현대차의 2·4분기 경영실적도 호전이 예상된다.내수 부진에도 불구하고 신차 효과와 공장 가동률 증가에 크게 힘입은 것으로 증권가에서는 보고 있다.
현대차의 올 2·4분기 매출 전망치는 6조 5000억원,영업이익은 5600억원으로 점쳐진다.지난 1·4분기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000억원과 1000억원 늘어난 것이다.특히 파업의 조기 종결로 하반기 실적은 더 나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석유화학을 대표하는 SK㈜는 1·4분기에 이어 2·4분기에도 ‘어닝 쇼크(깜짝 실적)’가 예상된다.증권업계에서는 SK의 2·4분기 매출액을 3조 6000억원,영업이익은 3000억원가량으로 전망하고 있다.지난해 2·4분기 1439억원의 영업 적자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놀라운 수준이다.LG투자증권 관계자는 “중국 수요가 하반기에도 지속되면서 SK의 영업 마진은 계속 호전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조선업계는 수주 호황과 달리 경영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애널리스트들은 현대중공업의 2·4분기 매출액을 2조 600억원,영업이익 429억원으로 전망하고 있다.지난 1·4분기(매출액 2조 1644억원,영업이익 664억원)보다 더 떨어진 것이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