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시대 주부2題…일자리 찾고 쇼핑줄이고
●2년새 81%늘어…50대 512% 급증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가정주부.’
경기 불황이 깊어지면서 주부들의 구직 활동이 크게 늘고 있다.
27일 취업정보업체 인크루트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자사에 이력서를 등록한 기혼여성 수를 조사한 결과,2002년 6월 2만 962명에서 지난달에는 3만 7986명으로 81.2% 증가했다.같은 기간 전체 구직자가 57.3%,20대 구직자가 83.7% 증가한 점을 감안할 때 기혼 여성들도 20대 못지 않게 구직에 적극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50대 이상 주부가 82명에서 502명으로 512.2%,40대 주부가 396명에서 827명으로 212.4% 늘어나 40,50대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이처럼 40,50대의 생계형 취업 주부들이 늘어난 것은 빨라진 남편들의 정년과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이다.또 남편이 회사의 구조조정으로 퇴사하거나 언제 그 대상이 될지 모른다는 위기감,사업악화 등의 요인으로 가정경제의 축이 ‘가장 중심’의 1인 체제에서 ‘부부 공동체제’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인크루트 관계자는 “40,50대 가정주부의 경우 직장 공백이 길었기 때문에 취업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주부들을 위한 일자리 확대 등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10가구중 6가구 소득감소 지갑닫아
‘얇아진 지갑… 장바구니가 가벼워졌다.’
경기침체 여파로 백화점과 할인점,재래시장 등 유통매장을 찾는 주부들의 발길이 줄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7대 광역시 1000가구(주부)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조사한 결과,지난 1년 새 10가구 중 6가구(57.9%)가 가처분소득(소비·저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득) 감소를 경험했으며,이는 쇼핑 횟수 감소로 이어졌다고 27일 밝혔다.
소득계층별로 보면 지난 1년간 월수입 5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은 33.7%만이 가처분소득 감소를 경험한 반면 10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은 69.5%가 줄었다.가처분소득 감소로 주부들이 가장 먼저 씀씀이를 줄인 부분은 의복구입비(24.7%)와 외식비(18.3%),식료품비(16.1%),문화·레저비(13.0%)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유통매장의 구매 빈도를 떨어뜨린 결과로 나타났다.1년 전과 비교할 때 소비자들은 월 평균 백화점 1회(감소율 28.6%),대형할인점 3.3회(17.5%),재래시장 6.5회(5.8%),슈퍼·편의점 8.2회(4.7%)를 찾아 구매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높은 백화점과 대형할인점이 재래시장이나 슈퍼·편의점보다 방문 횟수가 더 줄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