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화질 ‘영상전쟁’
‘자연색에 더욱 더 가깝게.’
휴대전화업계가 최근 ‘더 얇은’ 휴대전화를 만들기 위한 슬림화 경쟁이 치열하다면 디스플레이업계는 자연색에 보다 가까운 고화질 영상으로 시장을 재편하고 있다.LCD(액정표시장치) TV와 모니터, 노트북뿐 아니라 블루레이-HD DVD 플레이어 등 디스플레이 주변기기도 ‘고화질 시대’를 성큼 앞당기고 있다.
●“이 TV는 몇백만 화소입니까”
디지털카메라나 휴대전화에서 흔히 들었던 화소와 관련된 질문이 지금은 TV에서 이어지고 있다. 디지털 TV는 화질 선명도에 따라 크게 SD(표준화질) TV,HD(고화질) TV,‘풀(Full) HD’(초고화질) TV 등으로 분류된다.
삼성전자는 지난 6월 미국에 40인치 풀 HD LCD TV를 출시하면서 본격적인 ‘TV발(發) 화소 경쟁’에 불을 당겼다.LG전자도 최근 기존 100만화소의 HD TV보다 화질이 2배 뛰어난 200만화소의 풀 HD 37,42인치 LCD TV를 출시했다. 국내 처음으로 37,42,47,55인치 풀 HD LCD TV 전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삼성전자도 이달 말 국내에 풀 HD 40,46인치 LCD TV를 출시함으로써 40,46,57인치 풀 HD TV 라인업을 구축한다.
일본 TV업체들도 속속 화소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마쓰시타 65인치 PDP TV, 파이오니아 58인치 PDP TV, 샤프 37,45인치 LCD TV, 도시바 47인치 LCD TV 등은 풀 HD로 출시됐다. 올 하반기에는 소니가 52인치 LCD TV를, 마쓰시타는 58인치 PDP TV를 풀 HD로 내놓을 예정이다.
15일 시장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뱅크에 따르면 세계 디지털 TV시장에서 40인치 이상의 디지털 TV(PDP,LCD TV) 중에서 올해 풀 HD TV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1280만대 가운데 50만대(3.9%)인 것으로 전망됐다.2007년에는 290만대(11.8%),2010년에는 3500만대(58%)로 풀 HD TV가 향후 TV시장의 주류로 예상했다.LG전자 디지털TV연구소 권일근 상무는 “지난 5월부터 판매를 시작한 LG전자의 47인치 풀 HD LCD TV가 500만원대의 고가임에도 불구하고,2개월 만에 7000대를 판매할 정도로 소비자의 반응이 뜨겁다.”면서 “올해는 풀 HD TV가 TV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화질 경쟁 확산
고화질 경쟁은 디지털 TV뿐 아니라 모니터,PC, 차세대 DVD기기에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플레이스테이션3’나 ‘X박스 360’ 등 풀 HD 영상을 지원하는 비디오 게임기,200만화소급 캠코더 등 영상 관련 기기들도 잇따라 출시되고 있어 고화질 영상 시장은 급격히 확대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6월 차세대 영상기록 재생기기인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미국시장에 출시했으며, 이달 국내에 판매할 계획이다. 또 업계 최초로 97%의 색 재현력을 구현한 19인치 LCD 모니터를 최근 출시했다. 기존(색 재현력 82%) 대비 색의 깊이와 다양성에서 획기적으로 개선됐다. 이와 함께 블루레이를 탑재한 데스크톱 PC를 국내 최초로 출시해 고화질 영상을 PC까지 확대했다.
LG전자도 최근 HD DVD드라이브 탑재 노트북을 출시한 데 이어 블루레이 디스크드라이브를 적용한 데스크톱 PC를 이달에 내놓을 예정이다.
●화소(Pixel)란
화소는 그림(영상)을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점을 의미한다. 화면을 구성하는 세포와도 같다. 신문이나 잡지에 있는 사진 등을 확대경으로 보면 일정 간격의 많은 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점의 크고 작음에 따라 그림의 윤곽이나 농담(濃淡)이 표현된다. 점(화소)이 많을수록 화질(해상도)이 뛰어나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