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지주사 경영성적
국내 대표 지주사들의 올해 ‘경영 성적표’가 그리 만족스럽지 못하다. 반면 정부가 지주사의 자회사 보유 지분을 완화키로 하면서 예비 지주사들의 ‘몸값’은 무섭게 치솟고 있다.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와 GS홀딩스, 농심홀딩스, 풀무원 등 지주사 4개사의 실적을 들여다 보니 그나마 농심홀딩스가 선전 중이다.㈜LG는 ‘3분기 호조’로 실적 회복세에 나섰다. 주가 성적표는 ‘예비 지주사’들이 규제완화 훈풍을 타고 ‘현역 지주사’를 따돌리고 있다.
●지주사 성적표는 ‘오십보 백보’
지주사 4개사 가운데 GS홀딩스의 하락세가 눈에 띈다. 주력 자회사인 GS칼텍스의 부진한 3분기 실적 탓이다.GS홀딩스의 3분기 매출은 877억원, 영업이익 741억원, 순이익 77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6%,22% 줄었다. 이에 따라 올해 실적도 지난해보다 소폭 하락이 점쳐진다.GS홀딩스의 3분기까지 누계 실적은 매출 3131억원, 영업이익 2797억원, 순이익 2716억원이었다.
㈜LG의 성적표도 제자리걸음 수준이다.㈜LG의 1∼3분기 실적은 매출 3711억원, 영업이익 1918억원, 순이익 244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매출은 24%, 순이익은 4% 늘었다. 반면 영업이익은 20% 감소했다. 다만 2분기 영업손실(-184억원)에서 3분기에 1374억원의 이익을 올렸다는 점에서 4분기 선전이 기대된다. 지난해 3분기까지 영업이익 110억원, 순이익 147억원을 기록했던 풀무원은 올해 ‘평균작’ 수준이다.3분기 누계 영업이익은 109억원, 순이익은 153억원을 기록했다. 농심홀딩스는 4개사 가운데 그나마 나은 성적을 올렸다.3분기까지 매출 436억원, 영업이익 420억원, 순이익 35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5%씩 늘었다.
●예비 지주사 주가는 ‘대박’
한화와 금호산업, 두산 등 예비 지주사들의 주가가 하반기(7월2일)부터 가파른 상승세다.
특히 두산은 이날 종가 기준(5만 1500원)으로 하반기에만 무려 71%나 뛰었다.‘예비·현역’ 지주사들 가운데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여 주고 있다. 금호산업도 이날 2만 4750원(종가)을 기록해 하반기에 67% 치솟았다. 한화도 하반기에 40% 뛰었다.
반면 현역 지주사들의 ‘주가 성적표’는 초라하다. 하반기 상승률을 보면 GS홀딩스가 1%,㈜LG 7%, 농심홀딩스 8%, 풀무원이 7%로 모두 한자릿수 증가에 그쳤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