뚝섬~ 여의도 15분만에 씽씽~
8일 오전 11시47분에 뚝섬유원지를 출발한 4.8t짜리 수상관광 콜택시는 15분만인 낮 12시02분에 여의나루 선착장에 도착했다.
시속 60㎞를 웃돌 정도로 속도감이 있었다. 승선감도 나쁘지 않았다. 좌우 흔들림도 배 규모를 감안하면 안정적이었다. 특히 탁 트인 한강 경관과 막힘 없는 질주 등은 수상 콜택시만의 장점으로 꼽힐 만했다.
서울시는 이날 한강 일대를 오가는 관광·출퇴근용 수상관광 콜택시를 11일부터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출퇴근용 수상 콜택시의 경쟁력
수상 콜택시의 주요 용도가 한강 관광이라지만 출·퇴근 시간에 교통수단으로서도 괜찮아 보인다. 잠실선착장∼여의나루역의 일반택시 요금은 1만 1700원 안팎. 모범택시는 이보다 78% 비싼 2만 900원 수준이었다. 반면 수상 콜택시 요금은 출·퇴근 시간대에 일괄적으로 5000원을 받는다.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시간도 수상 콜택시가 전철이나 택시보다 비교 우위에 있다.2005년 서울 도심의 자동차 평균 속도는 20.8㎞/h 수준. 반면 수상콜택시의 평균 속도는 60㎞/h 이상이다.
서울시가 출근길에 뚝섬유원지부터 여의도까지 걸린 시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하철을 이용하면 환승 시간을 포함해 모두 73분이 걸렸다. 택시는 50분 정도 소요됐으며, 수상 콜택시는 40분으로 가장 빨랐다.
시 관계자는 “출·퇴근 시간대에 수상 콜택시는 오전 7시∼8시30분과 오후 6시30분∼8시에 운영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수상 콜택시가 활성화되기까지 풀어야 할 난제도 없지 않다.
우선 한강 접근로가 턱없이 부족하다. 수상 콜택시를 타기 위해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출·퇴근용 수상 콜택시 승강장도 뚝섬유원지와 여의나루, 잠실선착장 3곳에 불과하다. 교통 수요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관광용 선착장 20곳으로 확대
1차로 10척을 투입해 연중 무휴로 운영한다. 관광용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한다.
선착장은 현재 잠실, 뚝섬유원지, 서울숲, 잠원, 이촌 거북선나루터, 여의나루, 선유도, 난지 등 11곳이지만 추가로 9곳을 더 늘릴 방침이다. 관광용 콜택시 요금은 선착장간 거리에 따라 최하 2300원에서 최고 6만원이다.
평일 출·퇴근용 수상 콜택시는 뚝섬유원지∼여의나루 승강장 구간을 오간다. 다음달부터 추가로 잠실선착장∼여의나루 구간이 운영된다. 수상 콜택시를 이용하려면 목적지를 정한 뒤 콜센터(1588-3960)에 예약해야 한다.
●요트 같은 세련된 디자인
수상 콜택시는 두 개의 선체를 하나의 갑판으로 연결한 ‘쌍동선’과 선체 한 대가 단독으로 운행하는 ‘단동선’이 있다.
정원은 선장 포함해 모두 8명이다. 내부는 가죽 소파와 원목으로 치장돼 고급스러운 분위기다. 실내 규모는 10㎡ 안팎으로 8명이 타기에 충분했다. 외부는 요트 형태로 세련된 스타일이다. 쌍봉선은 가격이 1억 5000만원.
쌍봉선은 길이 9.5m, 폭 3.4m, 무게 4.81t 규모에 190마력짜리 엔진 2대를 장착했다. 최고 시속 70㎞까지 달려도 파도나 바람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단동선은 길이 7.4m, 폭 2.4m, 무게 3.6t 규모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