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들 출산장려금 양극화
지자체별로 제각각인 출산양육지원금이 논란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노원구는 18일 “출산양육지원금이 지자체의 재정 여건에 따라 대상과 금액이 달라 주민들의 위화감 조성과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다.”며 이같은 문제를 시정할 것을 촉구하는 건의서를 서울시와 여성가족부, 국가인권위원회에 전달했다.
이노근 구청장은 “저출산 대책은 국가 미래를 위한 과제로 정부 지원이 중요한 데도 ‘부자 구(區)’와 ‘가난한 구’에 따라 사실상 차별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신생아 모두에게 동일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정부가 분담비율을 정하거나 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내년부터 자치구별로 지원하는 출산양육지원금의 대상과 금액을 균등하게 맞춰야 한다는 얘기다.
●노원구 市·인권위에 건의서 전달
신생아가 어디서 태어나느냐에 따라 출산양육지원금이 천차만별이다.
25개 자치구 가운데 올해 출산양육장려금을 지원하는 구는 모두 18곳. 재정 형편이 어려워 지급을 못하는 구는 모두 7곳이다.
지원 시점도 첫째아이부터 지원하는 구가 6곳, 둘째아이는 9곳, 셋째아이부터 지원하는 구는 3곳으로 자치구 사정에 따라 각각 다르다. 또 출산양육을 지원하는 근거를 조례로 정한 자치구는 동대문과 종로, 서초, 중구, 양천, 관악, 강남 등 8곳이다. 강북구는 조례 공포를 앞두고 있고, 나머지 구는 자체 방침으로 정했다.
출산양육지원금을 보면 첫째아이부터 지원하는 서대문구는 출산 자녀별로 3만∼10만원을 지원한다. 반면 서초구는 10만∼100만원을 지급한다. 둘째아이부터 지원하는 노원구는 5만∼20만원이지만 중구는 둘째 20만원, 셋째 100만원, 넷째 300만원, 다섯째 500만원, 열번째 자녀에겐 최고 3000만원을 내놓는다. 셋째아이부터 지급하는 광진구와 영등포구는 20만원을 지원하고, 송파구는 보험금으로 12만원을 지급한다.
●주민들 “날 때부터 차별 불쾌”
사정이 이렇다 보니 주민들의 불만이 적지 않다. 같은 서울 시민이면서 지자체의 재정 격차로 불이익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공릉동에 사는 주부 김윤미(35)씨는 “올해 둘째를 낳는다.”면서 “50만원의 출산장려금을 주는 구도 있다는데 우리 구는 5만원뿐이어서 우리 아이가 차별받는 것 같아 불쾌하다.”고 말했다.
올해 자치구 18곳이 편성한 출산양육지원금은 모두 60억원으로 평균 3억 3000만원에 이른다. 이를 25개구로 확대해 소요 예산을 짜면 84억원 수준이다. 지난해 서울에서 태어난 신생아 9만 4000명을 대상으로 출산 지원금을 추정하면 190억원(1인당 20만원)가량이 들어갈 것으로 분석된다. 이노근 구청장은 “지자체의 출산장려지원금 제도는 바람직하지만 결과적으로 그 지역에 산다는 이유만으로 차별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