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해서 좋아요” 백화점 만족도 1위는 현대百…최하위는 ‘이곳’
지난해 백화점 업계에서 매출액 및 점포 수 상위권 업체 3곳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만족도 조사에서 현대백화점이 1위에 올랐다. 2위는 신세계백화점, 3위는 롯데백화점이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1년간 이들 백화점 3사에서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현대백화점의 종합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응답자는 각 사와 협의하여 500명씩 할당 표집을 했다.
종합만족도 집계 결과 현대백화점의 점수는 5점 만점에 3.85점이었고, 신세계백화점이 3.83점으로 그 뒤를 이었다. 롯데백화점은 3.75점으로 평균치(3.81점)를 밑돌았다. 종합만족도는 3대 평가 부문 만족도와 포괄적 만족도를 각각 50%씩 반영하여 산출한 점수다.
3대 평가 부문 만족도는 ▲서비스 이용 과정 ▲핵심 서비스 ▲서비스 체험 등으로 부문을 나눠 조사했다.
우선 ‘서비스 이용 과정’ 부문은 △시설 및 환경 △서비스 신뢰성 △고객 응대 △직원 전문성 △고객 공감 등 5개 요인으로 구성했다. 해당 부문에서 현대와 신세계는 각각 3.98점을 따냈고, 롯데는 3.86점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구체적으로는 3사 모두 ‘시설 및 환경’ 요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해당 요인은 매장 외관 및 내부 청결을 평가 요소로 한다. 신세계는 여기서 4.19점을 얻었고, 현대는 이보다 소폭 낮은 4.18점을 기록했다. 롯데는 4.01점을 따내 4점을 넘기는 데는 성공했지만 3위에 머물렀다.
‘핵심 서비스’ 부문에서는 현대와 신세계가 각각 3.90점을 따냈고, 롯데는 3.81점만을 얻었다. 이 부문의 구체적 평가 요인은 △브랜드·상품의 다양성 △고객센터 △환불·교환·반품 △부대시설 △혜택·멤버십 △주차 △가격 등 총 7가지로 구성됐다.
이 중 3사 평균 점수가 가장 높은 요인은 브랜드·상품 다양성(4.00점)이었는데, 여기서 최고점을 기록한 곳은 신세계(4.13점)였다. 식음료 매장과 문화 체험 등 부대시설 요인에서는 현대백화점이 3.91점으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서비스 체험’ 부문에서는 현대가 3.68점으로 1위에 올랐고, 신세계(3.64점)와 롯데(3.56점)가 순서대로 그 뒤를 이었다.
포괄적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 ▲기대 대비 만족도 ▲이상 대비 만족도 등 3가지 부문으로 나눠 조사했다. ‘기대 대비 만족도’는 서비스 수준에 대한 고객 기대 대비 만족도를, ‘이상 대비 만족도’는 백화점 산업의 이상적인 서비스 수준 대비 만족도를 지칭한다.
전반적 만족도는 3사 간 점수 격차가 크지 않았다. 1위 현대(3.99점), 2위 신세계(3.96점), 3위 롯데(3.92)점 순이다. 반면 기대 대비 만족도 집계 결과는 사뭇 달랐는데, 1위 신세계(3.81점)와 2위 현대(3.80점)의 격차는 미미했으나 롯데는 이보다 0.1점 이상 낮은 3.69점을 기록했다. 이상 대비 만족도는 현대 3.76점, 신세계 3.70점, 롯데 3.64점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 응답자가 백화점 이용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는 ‘브랜드·상품 다양성’(40.2%)이 꼽혔다. ‘매장의 접근성’은 23.0%로 2위, ‘다양한 혜택’은 12.8%로 3위에 올랐다.
백화점 방문 시 지출 액수가 가장 큰 품목은 ‘가전·가구’로, 1회 지출 시 평균 131만 6000원을 쓰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화점 이용 시 불만이나 피해를 경험했다고 답한 374명(24.9%)에게 주요 불만 유형을 물었더니 ‘주차·편의시설 등 이용 불편’이라는 응답이 52.4%로 가장 많았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백화점 사업자에게 서비스 개선을 요청할 계획”이라며 “향후 소비자의 합리적인 선택을 지원하고, 사업자 서비스 품질 개선을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비교정보를 지속 생산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