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대학원,법조계“찬성”학계선“반대”
신설될 가능성이 높아진 사법대학원의 위상과 성격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다.사법개혁추진위원회가 사법연수원을 폐지하는 대신에 가칭 한국사법대학원을 설치한다는 방침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사개위안에 따르면 사법대학원은 학문과 실무연수를 병행하는 독립법인이될 전망이다.실무연수기관인 현재의 사법연수원은 물론 미국식 로스쿨과는완전히 다른 형태다.
명목상으론 대법원이 관장하는 국립사법대학원이다.하지만 실제 운영은 법조계와 법학계가 공동 참여하는 운영위원회 또는 이사회가 전담한다.
이에 따라 한국사법대학원생은 사법연수원생과는 달리 공무원이 아닌 학생신분이다.다만 학비와 일정범위의 생활비 보조를 위한 장학금제도가 도입될전망이다.
사법대학원의 교과과정은 2년이며,대학원 수료후 1년간 직역별 연수를 받도록 돼 있다.졸업자에게는 변호사 자격이 부여되고,학위 이수자에겐 석사학위(또는 전문석사학위)가 수여된다.
그러나 이는 미국식 로스쿨 제도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운영방식이다.사개위안이 변호사 후보생인 한국사법대학원생을 2000년 800명,2001년 이후 1,000명 등 제한적으로 뽑는다는 점에서 미국과 다르다는 것이다.
법조일원화가 뿌리내린 미국의 경우 미국법조인협회(ABA)가 공인한 로스쿨을 수료한 다음 각주별로 실시되는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면 변호사 자격이부여된다.
평균 합격률은 주마다 편차가 있으나 70%선에 이른다.
그러나 사법연수원 대신 한국사법대학원을 신설하는 것이 과연 ‘닭 대신꿩’인지에 대해선 논란이 분분하다.법학계에선 반대론이 오히려 우세하다.
강희갑 명지대 법대학장은 “국립사법대학원에서 법학전문교육과 연수교육을 겸하는 것은 국가가 법률가 교육을 독점한다는 발상”이라고 주장했다.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추세에도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 법학대학원 교육까지도 황폐화시킬지 모른다는 우려다.
특히 사법시험 합격후가 아니라 그 이전에 법학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명제에 비추어 본말이 전도됐다는 비판도 있다.그러나 법조계에선 “사법대학원의 운영을 법조계와 법학계가 공동으로 하면 된다”는 등 비영리 법인형태의 한국사법대학원의 출범을 반기는 분위기다.
구본영기자 kby7@ ** 司改委 인터넷마당 의견 폭주 사법개혁추진위원회의 사법개혁 시안에 대해 고시준비생들의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특히 사법시험을 준비중인 고시생들간에 시험 선발인원과 자격 등을 놓고 뜨거운 논쟁이 일고 있다.
사개위가 마련한 인터넷 홈페이지(www.sagaechu.go.kr) 토론마당에는 개혁시안이 발표된 지난달 27일 이후 의견이 폭주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선발인원과 응시자격의 변화에 대해 크게 의견이 나뉘었으며,선발후 교육기관과 교육기간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였다.
?선발인원 증원 및 제한철폐 절대점수제로 정원을 철폐하는 것은 변호사를필요없이 양산해 과당경쟁을 초래한다는 반대의견과 더 많이 뽑아 고시공부의 낭비를 줄이고 법률 서비스를 널리 제공해야 한다는 등으로 찬반이 나뉘었다.
이에 대해 토론마당에 참가한 한 일반인은 “현재 고시생들이 (법조계의)기득권자와 같은 보수적인 의견을 보이는데 놀랐다”고 밝혔다.
?법학과목 이수자에게만 응시자격을 주도록 하는 개편안 고시생 및 비고시생들이 더욱 첨예한 대립을 보였다.직업선택의 자유를 제한하는 행위며 의학,과학기술등 전문분야의 법조인 양성을 포기하는 것이라는 반대의견과 장기간의 고시공부를 방지하는 효율적인 대책이라는 찬성의견이 각자의 입장에 따라 확연히 갈라졌다.
?선발후 교육기관 사법연수원에서 한국사법대학원으로 바뀌는 것에 대해 고시에 합격하고서도 학생신분으로 돈을 내고 학교를 다녀야 되느냐는 의견들이 많이 나왔다.
?선발후 교육기간 대학원 2년,연수 1년으로 늘리는 것은 너무 길다는 지적이 많았다.이밖에 사법개혁 시안 자체에 대해 회의적인 고시생들도 많았다.
정권이 바뀔때마다 교육제도와 함께 사법제도의 개혁문제가 제기됐지만 결국 무위로 돌아갔다는 의견들이다.
서정아기자 se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