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형마트의 그늘
대형 유통 체인들의 시장 지배력이 커지면서 미국 사회의 경제·사회적 그늘도 짙어지고 있다는 소식이다.
미국에서 최근 수년간 월마트,K마트,타깃 등 대형 할인 체인과 회원제로 초저가 상품을 판매하는 샘즈 클럽,코스트코 등 프라이스클럽의 시장점유율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문화상품 분야는 더욱 그렇다.예컨대 베스트셀러 서적의 60%,베스트셀러 앨범의 50%,베스트셀러 DVD의 60%를 판매하고 있을 정도이다.
문제는 이로 인한 부작용이다.물론 한국에서도 대형 유통체인들이 득세하면 동네 소매상이나 전문점들이 고사 위기로 내몰리는 경향이 없지 않다.
하지만 뉴욕 타임스 등의 19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그러한 경제적 부작용뿐만 아니라 문화·사회적 역기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대중문화를 규제하거나 획일화할 가능성을 크게 염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딕시 칙,토비 게이트,페이스 힐 등 컨트리 음악가들이 슈퍼스타 반열에 오른 데는 대형 할인매장의 공이 컸다.마이클 새비지,버나드 골드버거,앤 콜터 등 보수적 저자들이 베스트셀러 작가로 큰 것도 이들 매장의 판매고에 힘입었다.
그러나 대형 체인들은 서적의 경우 2000가지 정도만 진열하고,그나마 일주일 매출이 시원찮으면 가차없이 치워버린다고 한다.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월마트는 총기판매 체인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크로의 앨범들을 매장에서 제외시켰다는 후문이다.
이처럼 대형 체인들이 보수적인 고객의 기호에만 순치돼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좁힌다는 지적을 받는다.
할인매장들의 가격조절 기능은 결과적으로 히트상품이 아닌 새 문화상품과 고전이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구본영기자 kby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