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friendly’ 수사학/구본영 논설위원
요즘 우리 사회에서 ‘friendly’(프렌들리)란 영어 단어가 자주 입에 오르내린다. 지난 연말 이명박 당선인이 대기업 총수들과 만나 “비즈니스 프렌들리(business-friendly·기업친화적)한 정부가 되겠다.”고 하면서다. 기업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고무하려는 의도였을 게다.
기자실 대못질이 상징하는, 현 정부의 언론관과 차별화하려는 차원인가. 그제는 언론계 대표와 간담회에서 이경숙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프레스 프렌들리’(press-friendly)란 말을 거론했다. 즉 “새 정부는 언론친화적인 자세를 견지하겠다.”고 다짐한 것이다. 앞서 이 당선인도 한국노총을 방문한 자리에서 “비즈니스 프렌들리는 비즈니스맨 프렌들리(친기업가)가 아니라 노동자와 사용자가 함께 포함돼 있다.”고 강조했다. 친재벌적 어감을 줄까 봐 용어에 대한 나름의 재정의를 내린 셈이다.
일선 기자로 일할 때의 일화가 떠오른다. 이라크전을 취재하면서 일상생활에 잘 안 쓰는,‘friendly fire’란 재밌는 표현을 접했다. 오폭(誤爆), 또는 오인사격으로 새겨지지만, 문자 그대로라면 ‘적이 아닌, 친구를 쏜다’는 의미다. 실제로 미·영 동맹군은 개전 초반 압도적 화력으로 전세를 장악했지만, 아군끼리 오인사격으로 적잖은 희생을 치러야 했다. 미 부시행정부가 ‘이라크 수렁’에 빠져든 까닭도 오폭과 무관치 않다. 수많은 이라크인의 원성을 샀던, 독재자 후세인을 제거하는 과정서 무고한 사람들까지 희생되어 이라크 민심을 한데 모으지 못했다.
참여정부가 국민의 마음을 사지 못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 융단폭격식으로 쏟아낸 개혁정책들이 선의로 시작되었을진 모르나, 결국 오폭이었다는 얘기다. 부동산정책처럼 말로는 서민을 위한다고 했지만, 결과적으로 빈부 양극화를 심화시킨 사례가 대표적이다. 마침 당선인 측이 “환경친화적으로(environmentally friendly) 대운하 건설을 추진한다.”고 한다. 하지만, 한반도대운하를 포함해 모든 정책은 ‘국민친화적’이냐를 기준으로 추진할 때 성공을 담보할 수 있을 듯싶다.‘프렌들리 개념’의 중심에는 국민이 자리잡아야 한다는 뜻이다.
구본영 논설위원 kby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