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없는 학교 올 400곳 지정
사교육 없는 학교가 올해 400곳 지정을 시작으로 2012년까지 전국적으로 1000곳이 지정된다. 학교당 3년간 평균 3억 5000만원이 지원된다. 단일규모 사업 지원액으로는 이례적으로 많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3일 공교육의 내실화와 사교육비 경감 등을 위해 오는 6월 전국적으로 400개 초·중·고를 ‘사교육 없는 학교’로 선정하고 7월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초등학교가 200개, 중·고교가 각 100개씩이다. 교과부는 사교육 없는 학교 수를 2010년에는 600개교, 2012년에는 1000개교로 늘려 나갈 방침이다.사교육 없는 학교는 학교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정규 및 방과후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사교육 수요의 대부분을 학교 교육으로 충족시키는 학교 모델이다. 사교육 없는 학교로 지정되면 3년간 예산을 지원받는다. 첫해에는 학급 수 기준으로 학교당 5000만원(12학급까지)에서 최고 2억 3000만원(37학급 이상)씩 지원받는다. 평균 1억 5000만원이다. 2, 3차 연도에는 평균 지원액이 1억원이다. 학교장은 지원받은 예산을 교원 인센티브 지원, 보조강사와 행정 전담직원 채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자율학습실 리모델링, 수준별 수업교실 마련 등에 사용할 수 있다.사교육 없는 학교는 모두 자율학교로 지정된다. 교육과정 편성, 운영이나 학교장의 교원인사 자율권이 대폭 확대된다. 상위권 학생에 대한 수월성 교육과 부진학생을 위한 보충학습 등 맞춤형 수업이나 학생과 학부모의 수요에 맞춘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교과부는 이를 통해 사업기간 3년 내에 학생들의 사교육비 지출을 50% 줄이고, 학교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를 80% 이상으로 끌어 올릴 계획이다.학교 선정은 시·도 교육청을 통한 공모 형식으로 이뤄진다. 교과부는 선정기준으로 방과후 학교 운영 등 사교육비 경감 추진 의지가 분명하고 운영계획이 구체적인 학교를 선정하되 사교육이 성행하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교과부는 정규교육의 우수 운영사례로 우수 학생 대상으로 수리과학 통합반을 운영하는 등 ‘영재성 찾기 프로젝트’를 운영 중인 경남 삼성초, 3+1 수준별 이동 수업을 하는 대전 유성고, 학습부진아 대상으로 EBS 교재를 활용한 기초내용 반복 학습지도를 하는 대구 영신고 등의 사례를 소개했다. 방과후 교육 프로그램으로서는 학원식 종합 교과반 운영, 외국어 관련 학과의 대학생과 원어민을 활용한 방과후 지도, 야간시간대 교실개방 등을 소개했다.하지만 입시위주의 진학풍토를 바꾸지 않는 한 이 같은 프로그램만으로는 사교육비 경감이 힘들 것이라는 비판이 있다. 또 사교육 없는 학교에 대한 지원예산 규모가 학력향상 중점학교보다 많은 데다 사교육은 중산층 중심으로 성행 중이어서, 자칫 중산층에게만 혜택이 집중되는 교육 양극화 현상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박현갑기자 eagledu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