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군별 수업시간 20% 증감 가능
교육과학기술부가 17일 확정 발표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일선 학교, 특히 고등학교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데 중점을 뒀다. 학과목 선택과 이수 시기,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등에서 학교에 자율성을 부여했다. 즉 가짓수가 줄어든 과목을 1주일에 5단위 안팎의 시간을 할애해 집중적으로 공부할 수 있게 했다. 초·중·고교 모두에 교과군별로 기준시수(학기당 총 수업시간수)의 20% 이상을 증감 운영하는 재량도 부여했다.
이런 자율성이 국어·영어·수학 등 주요 입시과목 집중 배치 등의 방식으로 악용할 경우에는 학교교육과정위원회 등을 통해 강력하게 제재할 방침이다. 그러나 제도를 만들어 놓고 나서 ‘제재’를 말하는 것은 결국 문제가 불거지더라도 ‘사후약방문’에 그칠 뿐 아니라 결국 ‘학교의 학원화’나 ‘학교 줄세우기’ 풍조가 만연할 것이라는 일부 교육 관계자들의 우려 섞인 전망도 없지 않다.
교과부가 밝힌 집중이수제는 초·중학교의 학기당 이수과목 수를 8과목 이하로 줄이는 대신 여러 학년이나 여러 학기에 걸쳐 배우던 과목을 몰아서 한꺼번에 배울 수 있는 제도다. 초·중학교에서는 도덕·음악·미술·실과 등의 과목을 특정 학기와 학년에 집중 이수하도록 했다. 고등학교에서는 1년 동안 두 개 학기에 나눠서 배우던 것을 한 학기에 몰아서 수업하게 했다. 이렇게 해서 수업의 맥락이 중간에 끊어지는 것을 막고, 토론·실험 중심 등 심화학습을 유도한다는 설명이다.
과목별로는 국어·영어·수학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기초영역으로 묶어 교과활동을 강화하고, 사회·과학 등 탐구영역은 지식 전달 위주에서 벗어나 다양한 수업방법을 적용해 수행능력 함양을 강조했다. 체육·예술, 생활·교양 영역은 교육의 내실화에 무게를 뒀다. 또 국가공통교육기간에서 고교 1학년이 제외되면서 고등학교에서는 공통필수 과목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학생 수준 및 진로를 고려한 교육을 할 수 있게 했다.
학기당 단위수를 늘려 심화학습을 유도하면서 결과적으로 새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고교의 교과군과 영역수는 줄어들게 됐다. 초·중학교의 경우 현재 국어·도덕·사회·수학·과학·실과·외국어·체육·음악·미술 등 10개 국민공통 기본교과군은 국어·사회+도덕·수학·과학+실과·영어·체육·예술 등 7개로 축소된다. 고등학교의 경우 기존 인문사회(국어·도덕·사회), 과학기술(수학·과학·기술+가정), 예·체능(체육·음악·미술), 외국어(영어·제2외국어), 교양(한문·교양) 등 5개 영역이 기초(국어·영어·수학), 탐구(사회·과학), 체육+예술(체육·예술), 생활+교양(기술+가정·제2외국어·한문·교양) 등 4개 영역으로 재편된다.
이에 따라 일선 학교에서는 각 교과군과 영역 안에서 단위수 규정에 맞춰 특정 과목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고교 1년생이 1학기와 2학기에 각각 음악·미술을 1주일에 1시간씩 학습했다면, 새 교육과정 체제에서는 1학기에 음악 2시간, 2학기에 미술 2시간씩을 몰아서 학습할 수 있다. 이 같은 자율성 때문에 한국사 교육 등 특정 과목 수업이 파행을 빚을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사가 고교 1학년 국민공통과정에서 빠지면서 필수 과목에서 일선 학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사회과목 중 하나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학교마다 교육과정에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어 전학생이 적응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문제도 제기됐다. 교과부 관계자는 “전학생의 경우 교육과정이 비슷한 학교로 배치하거나 방학 동안 교육청이 보강학습 등을 진행하면 큰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