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대해부] 정부부처 대변인
정부 부처 대변인은 과거 공보관으로 불리던 직책이다. 그래서 지금도 고참 기자들에겐 대변인보다 공보관이란 이름이 더 친숙하다. 출입기자들과 함께 부대끼며 부처 정책 홍보의 총대를 메고 있는 점은 과거나 지금이나 똑같다. 이런 이유로 밤낮 없이 항상 바쁜 것도 대변인이다. ‘부처의 입’으로 통하다 보니 리더십과 실력을 겸비하고, 대인관계가 좋은 사람을 통상 대변인으로 임명한다. 현 정부 들어 부처 대변인들의 면면과 변화된 위상 등을 알아본다.
●중앙부처 고시·서울대 출신 압도적
15개 중앙부처 대변인의 출신학교로는 서울대가 7명으로 가장 많고, 연세대 3명, 육군사관학교 2명으로 뒤를 잇는다. 공직 입문은 행정고시 8명, 외무·사법·기술고시 출신이 각각 1명으로 대부분 고시 출신들로 포진돼 있다.
특히 천해성 통일부, 이지헌 행정안전부, 박종길 고용노동부 대변인은 행시 30회 동기들이어서 눈길을 끈다. 또한 심장섭 문화체육관광부, 김진석 환경부 대변인도 육사 36기 동기생이다.
연령대는 40대가 8명, 50대가 7명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최연소와 최연장 대변인 사이엔 10년 이상 차이가 난다. 양성일 보건복지부 대변인은 43세로 가장 젊고,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이 55세로 나이가 가장 많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이 58세로 최고령이었지만 교체돼 김 대변인이 최고 연장자 바통을 물려받았다.
양성일 대변인은 행시 동기를 아내로 맞아 일찍이 유명세를 치렀다. 현재 환경부 자원순환국 박미자 과장이 부인이어서 잘 나가는(?) 공무원 부부로 시샘을 받고 있다.
윤여권 기획재정부 대변인은 1982년 총무처 사무관으로 공직에 입문, 재정경제부(옛 기획재정부) 은행감독과장, 외환제도과장 등을 거쳐 국내외 금융 전반에 해박한 지식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원만한 대인관계로 업무 조율 능력이 뛰어나 부처는 물론 출입기자들로부터도 호평을 받는다. 문학에도 조예가 깊어 ‘김현승 시 연구’ 논문 저자로도 유명하다.
이대영 교육과학기술부 대변인은 고등학교 교사를 하다가 서울시교육청 장학관, 교과부 언론홍보 담당관을 거쳤다. 교사 출신으로 학교 현장업무에 밝고 모나지 않은 성격 때문에 팬(?)들이 많다. 교과부 역사상 전문성을 갖춘 최초의 대변인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사회적 이슈나 부처 거론때마다 긴장
최근 국방부는 처음으로 민간인 출신 김민석씨를 대변인으로 임명했다. 김 대변인은 1994년부터 중앙일보 군사 전문기자로 활동해 왔다. 그는 취임과 함께 “언론과 의사소통을 하는 가교역할로 국민의 신뢰를 받는 군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인들은 대변인으로 변신한 것이 녹록지 않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귀띔한다. 최근 국무총리실 대변인 회의에서 연평도 사건과 관련해 언론대응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된통 혼쭐이 났다고 한다. 주위에선 대변인 신고식을 너무 호되게 치르는 중이어서 개인시간 갖기조차 어려울 것이라고 안타까워하고 있다.
김진석 환경부 대변인은 신사로 통한다. 육사 출신이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유순한 데다 얼굴 붉히는 모습을 본 적이 없을 정도로 조용한 성격이다. 오죽하면 이만의 환경부 장관이 대변인으로 앉히면서 업무 때문에 상처받지나 않을지 걱정했다는 후문이다. 박종길 고용부 대변인은 달변으로 통한다. 출입기자들은 쉼 없이 대화를 쏟아내는 박 대변인을 ‘만물박사’ 또는 ‘기차화통’이란 별칭으로 부른다.
대변인들은 사회적 이슈나 부처가 언론에 거론될 때마다 늘 긴장할 수밖에 없다. 4대강 사업을 주관하는 김형렬 국토해양부 대변인은 쇄도하는 질문에 ‘바쁘다 바빠’ 란 말을 달고 지낸다. 기술고시 출신으로 공보부서 경험이 없어 초기 어려움이 없지 않았으나 요즘 자리를 잡았다는 평가다.
기자마다 취재하기 껄끄러운 부처가 있다. 그 중 하나가 문화부다. 이유는 다 공개된 자료인 데도 이런저런 이유로 협조를 구하기 어렵다고 하소연한다. 부처 이미지에 걸맞지 않게 폐쇄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기자들마저도 일반적인 자료 입수에 어려움을 겪기 일쑤다. 이런 부처 이미지 때문에 문화부 대변인은 혹평을 받기도 한다.
부처종합 유진상기자 js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