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 잃은 일본 청년들”...14%만 ‘앞으로 좋아진다’ 생각...한국은 34% [김태균의 J로그]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개국과 미국, 영국 및 인도 등 6개 국가 청년들을 대상으로 ‘자신과 국가의 미래’에 대해 물어본 결과 일본이 거의 전 항목에서 가장 비관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18일 일본매체 닛폰닷컴에 따르면 일본재단은 한국과 일본, 미국 등 6개 국가의 17~19세 청년 각 1000명씩 총 6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2월 실시한 ‘18세 의식’ 설문조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국가의 미래가 더 좋아질 것’이라고 한 응답자의 비율이 일본은 13.9%에 그쳐 6개국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가의 미래가 더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은 35.1%로 가장 높았다.
한국의 17~19세 응답자들은 ‘국가의 미래가 더 좋아진다’ 33.8%, ‘나빠진다’ 20.2%였으며 32.5%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중국은 95.7%가 국가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빠진다는 응답은 1.2%에 불과했다.
일본과 함께 선진 7개국(G7)에 속하는 미국과 영국은 ‘좋아진다’는 응답이 각각 36.1%와 39.1%로 한국과 비슷했다.일본 청년들의 경우 ‘남에게 자랑할 나만의 개성이 있다’,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다’, ‘공부, 일, 취미 등 무언가 열중할 수 있는 일이 있다’, ‘나의 인생에 목표나 방향성이 있다’ 등 개인의 상태에 대한 질문에서도 모두 6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일상생활에서 불안과 우울감을 느낀다는 응답률은 65.3%로 가장 높았다.
일본은 또 ‘일본이 국제사회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 ‘일본에 뛰어난 리더가 있다’, ‘내가 목표로 삼는 인물이 있다’ 등 국가에 대한 질문에서도 6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닛폰닷컴은 “일본은 세계 제3위 경제대국임에도 젊은이들이 희망 없는 폐색감 속에 살아가고 있다”며 “풍요롭고 안전하고 깨끗하고 교육수준도 높지만 장래에 대한 희망은 없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경제’, ‘과학기술’, ‘군사·방위’, ‘문화·예능’ 등 4개 분야에서의 ‘10년 후 국가 경쟁력’을 물은 결과에서도 일본은 ‘(경쟁력이) 높아진다’는 응답이 전체 국가 장래에 대한 항목과 마찬가지로 최하위였다.전통적으로 일본이 강점으로 자랑해 온 ‘경제’ 분야 경쟁력의 경우 ‘매우 높아진다’ 1.4%, ‘높아진다’ 9.5% 등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가 10명 중 1명꼴에 불과했다.
‘군사·방위’ 분야에서도 향후 경쟁력이 더 높아질 것이란 응답은 15.7%로 한국(39.7%)의 절반을 크게 밑돌았고, ‘문화·예능’(29.5%)도 한국(67.7%)에 크게 못미쳤다.
‘과학기술’ 분야의 경우 긍정적인 응답이 45.5%로 다른 항목보다 높았지만, 여타 5개국보다 크게 낮았다.
닛폰닷컴은 이러한 현상을 인구 감소와 ‘잃어버린 30년’으로 대표되는 장기 저성장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