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그룹, 2050년 ‘넷제로’ 선언… 주요 12개 그룹사 참여 ‘넷제로 얼라이언스’ 출범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은 기업의 핵심 의무로 자리 잡았으며, 국내외 이해관계자들은 KSSB(한국), ISSB(국제) 등 공시 기준에 기반한 투명한 정보 공개와 실질적인 감축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KT가 기후위기 대응과 글로벌 공시 기준에 발맞춰 그룹 연결 기준으로 2050년 탄소중립(넷제로)을 달성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이를 위해 KT는 주요 12개 그룹사가 참여하는 ‘넷제로 얼라이언스’(Net-Zero Alliance)를 지난달 30일 공식 출범하고 그룹 차원의 탄소중립 이행체계 구축에 나선다.
29일 KT그룹에 따르면 넷제로 얼라이언스는 탄소배출권거래제 대상 기업, 상장사 등 그룹 내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약 97%를 차지하는 핵심 계열사들로 구성됐다. 참여 그룹사는 KT를 비롯해 BC카드, kt skylife, kt estate, kt telecop, kt is, kt alpha, kt cs, kt nasmedia, kt service북부, kt service남부, kt cloud 등 총 12개사다.
이번 출범의 가장 큰 의미는 탄소중립 목표 기준이 기존 ‘KT 별도’에서 ‘그룹 연결’로 확대된다는 점이다. 이는 국내외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KSSB·ISSB·TCFD)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적 조치다. KT는 향후 그룹 차원의 연결기준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체계적인 이행 관리를 할 예정이다.
KT는 앞으로 그룹 차원의 넷제로 얼라이언스를 정기적으로 운영해 그룹사별 감축 이행현황 점검, 공동 감축과제 발굴, 성과 공유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KT는 2022년 별도 기준으로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수립한 이후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절감 활동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특히 목표 수립 이전인 2008년부터 통신사 최초로 화성송신소 등에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하고, 현재 전국 103개 사업장으로 확대해 재생에너지를 생산 중이다.
재생에너지 조달 분야에서도 선두에 서고 있다. KT는 2024년 국내 통신사 최초로 강원특별자치도 소재 태양광발전소와 전력거래계약(PPA)을 체결해 기반을 확보했다. 이어 2025년 1.65MWh급 추가 계약을 체결하며 KT원주연수원 등 6개 사옥에 재생에너지를 공급받기 시작했다. 현재 약 60개 사옥에 추가 PPA 계약을 추진 중이다.
KT는 이런 활동을 통해 매년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높여가고 있으며, 2025년에는 총에너지 사용량의 약 5%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할 예정이다.
삼일회계법인(삼일PwC)은 “KT는 탄소중립 목표를 별도기준에서 연결기준으로 확대해 글로벌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실효성 있는 이행체계를 구축했다”고 평가했다.
오태성(상무) KT ESG경영추진실장은 “탄소중립은 기업의 선택이 아닌 책무”라며 “KT그룹 넷제로 얼라이언스를 통해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그룹 전체의 이행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