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틀고 고기 굽다 머리 ‘핑’ 돌고 실신…‘일산화탄소 중독’ 주의보
일산화탄소 중독은 겨울철 가스보일러를 가동하는 실내나 캠핑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름철에도 적지 않게 발생한다.
폭염이 이어지면서 실내에서 하루 종일 에어컨을 켠 채 생활하기 십상인데, 밀폐된 공간에서 숯이나 연탄 등으로 요리하거나 장시간 또는 대용량을 요리할 경우 불완전 연소한 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해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일산화탄소는 탄소가 포함된 물질이 불완전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무색, 무취, 무미, 비자극성 가스로, 자신도 모르는 새 중독돼 순식간에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어 ‘침묵의 살인자’라 불린다.
일산화탄소에 중독되면 두통과 현기즘, 메스꺼움, 구토 등으로 시작해 머리가 움직이지 않고 손발의 근육이 무뎌지는가 하면 의식이 혼미해지고 호흡 곤란으로 이어진다.
공기 중 일산화탄소가 0.02% 이하인 경우 가벼운 두통에 그칠 수 있지만, 0.16% 이하인 경우 2시간 내 숨질 수 있으며 1.28%에 달하면 불과 1~3분만에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실내나 자동차, 텐트 등 환기가 되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서 일산화탄소에 노출될 때 일산화탄소 중독을 겪을 수 있다. 연탄이나 숯, 프로판가스, 자동차 배기가스, 가스보일러 등이 원인이 된다.
여름철에는 밀폐된 실내에서 에어컨을 켠 채 요리를 하다 일산화탄소 중독에 이르는 사고가 발생한다.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현재까지 이같은 사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근 수년 간 여름철 식당 등에서 이같은 사고가 종종 반복됐다.
2019년 8월에는 제주도의 한 숯불갈비 식당에서 손님 17명이 집단으로 일산화탄소 중독 의심 증상을 보여 병원에 긴급 후송됐다. 손님들은 어지러움과 메스꺼움, 가슴 통증 등을 호소했으며 이중 어린이 4명은 현기증을 호소하며 쓰러졌다.
조사 결과 손님들은 26㎡(7.8평) 크기의 식당 안쪽 방에서 창문을 모두 닫고 에어컨을 켠 채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환풍기 3개 중 1개가 고장나있었다. 당국은 숯불이 연소하면서 일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에 앞서 2018년 7월에는충북 청주의 한 장어구이 식당에서 손님 11명이 일산화탄소에 중독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식당 측은 에어컨을 켠 채 출입문과 창문을 모두 닫고 영업했는데, 경찰은 숯불을 사용해 요리하는 식당에서 환기를 제대로 시키지 않은 혐의로 식당 주인을 입건했다.
민경하 서울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일산화탄소 중독에서 가장 중요한 건 예방”이라면서 “밀폐된 실내에서 활동할 경우 창문을 열어 환기를 잘 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