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에 방탄헬멧 놔두고…‘사제총 사건’ 그냥 출동한 경찰관
‘인천 송도 사제총 살인 사건’ 발생 당시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들이 ‘방탄 장비 착용’ 지시에도 불구하고 차량에 비치된 방탄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5일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경찰 무전 녹취록에 따르면 사건 당일인 지난달 20일 오후 9시 35분께 연수경찰서 상황실은 경찰관들에게 테이저건, 방탄복, 방탄헬멧 착용을 지시했다.
이후 상황실이 방탄복·방탄헬멧 착용 여부를 묻자 지구대 팀장은 “방탄복을 입었는데, 방탄헬멧이 없다. 방패는 있는데 방탄 방패가 아니다”고 답했다.
이날 현장에 출동한 지구대 경찰관은 총 7명인데, 아무도 방탄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것이다. 이중 1명은 방탄 기능이 없는 안전모를 착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문제는 방탄헬멧이 이날 출동한 순찰차에 있었다는 점이다. 경찰장비관리규칙에는 지구대에도 방탄복과 방탄헬멧을 지급하도록 돼 있으며 통상적으로 순찰차에 2개의 방탄헬멧을 비치한다.
경찰 관계자 역시 “이날 출동한 순찰차마다 방탄헬멧이 있었다”고 인정했다. 이와 관련 인천경찰청은 사건 대응 전반에 걸쳐 감찰을 벌이고 있다.
피의자인 A씨는 지난달 20일 오후 9시 31분쯤 인천 송도의 한 아파트에서 사제 총기로 산탄 2발을 발사해 아들 B(33)씨를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곳은 B씨의 집으로 A씨의 생일잔치가 열리고 있었다. 당일에는 A씨와 B씨, B씨의 아내, B씨 자녀 2명, 외국인 가정교사 등 총 6명이 있었다. 경찰은 A씨가 B씨뿐만 아니라 나머지 가족들도 살해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고 살인미수 혐의도 적용했다.
A씨의 서울 도봉구 집에서는 시너가 담긴 페트병, 세제통, 우유통 등 인화성 물질 15개와 점화장치가 발견됐으며, 살인 범행 이튿날인 지난달 21일 정오에 불이 붙도록 타이머 설정이 돼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A 씨가 이혼 이후 고립돼 점점 망상과 착각에 빠져 범행을 저질렀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