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된 울산 ‘구 삼호교’도 내려앉았다…이례적 호우에 국가유산 피해 속출
최근 이례적인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인명, 재산 피해가 난 가운데 국가유산 피해도 속출했다.
국가유산청은 21일 오전 11시 기준 호우와 관련한 국가유산 피해가 총 14건 확인됐다고 밝혔다. 피해를 본 국가유산 유형을 보면 사적이 7건으로 가장 많았고 국가등록문화유산이 3건, 보물 2건, 국보·명승이 각 1건이었다. 지역으로는 충남이 4건, 경기 3건, 서울·전남 2건, 울산·경북·경남 1건씩이었다.
전체 피해 사례 가운데 토사가 유실된 사례는 7건이었고 수목 피해 4건, 시설물 파손 3건 등으로 파악됐다.
특히 1924년 지어진 것으로 알려진 국가등록문화유산 울산 구 삼호교는 일부 구간이 내려앉아 출입이 통제됐다. 울산에서는 지난 17∼19일 사흘간 최대 330m가 넘는 비가 쏟아졌다.
울산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 33분쯤 삼호교 일부가 무너졌다는 신고를 받아 소방 당국과 경찰이 확인한 결과 다리 가운데 약 20m 구간이 아래로 1~1.5m가량 내려앉은 상태였다. 인명피해는 없었다. 경찰은 즉시 다리와 다리 하부 산책로 등 주변의 통행을 제한한 상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조선왕릉 곳곳에서도 이번 호우로 피해가 발생했다. 남양주 광릉에서는 전나무 2그루와 소나무 2그루가 넘어졌고 왕릉 유적을 관리하는 관리동과 역사문화관, 관람객 화장실, 주차장 등이 침수됐다. 남양주 홍릉과 유릉에서는 소나무 1그루가 부러졌고, 서울 태릉과 강릉에서는 측백나무 1그루가, 서울 정릉에서는 참나무 1그루가 각각 쓰러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등록문화유산인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의 경우, 소나무가 전도되면서 법당 뒤쪽 추녀마루 기와가 훼손됐다.
국가유산청은 “2차 피해와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응급조치를 시행하는 한편, 피해 현황과 위험 지역을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