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도 안 속아?” 가짜 외국대사관 차려놓고 대사 행세한 인도男 덜미
인도의 한 남성이 대담하게도 가짜 외국 대사관을 차려놓고 외국 대사 행세를 하며 사기 행각을 벌이다가 덜미를 잡혔다.
2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AP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경찰은 하쉬바르단 자인(47)을 문서위조, 사칭, 불법 자금세탁 등의 혐의로 체포했다고 밝혔다.
자인은 수도 뉴델리 인근의 도시 가지아바드에 있는 한 주거용 건물을 임대해 가짜 외국 대사관을 차려놓고 외국 대사를 사칭하고 사람들을 속여 돈을 뜯어낸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자인은 ‘세보르가 공국’이나 ‘웨스타티카 공국’ 등 미니 국가(마이크로네이션)의 대사를 사칭했다.
마이크로네이션은 매우 작은 지역 내에 국가의 요소를 온전히 갖추지 못한 채 독립 국가를 선언한 주체를 가리킨다. 그러나 지역이 속한 국가나 인접국 등 국제 사회로부터 주권국가로 인정받지 못하며, 관광 등 상업적인 수단으로 활용되곤 한다.
세보르가 공국은 이탈리아 북부 리구리아주 임페리아현에, 웨스타티카 공국은 남극대륙에 각각 근거지를 주장하고 있다.
자인은 가짜 대사관을 운영하며 해외 취업 알선을 명목으로 사람들에게서 돈을 뜯어낸 혐의를 받고 있다. 또 해외에 세운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불법으로 자금을 세탁한 혐의도 있다.
경찰은 자인의 사기 행각이 최소 2017년부터 이어져 왔다고 보고 있다. 자인이 스스로를 ‘웨스타티카 공국 대사’라고 소개하기 시작한 때다.
웨스타티카 공국은 자인이 체포된 것과 관련해 성명을 내고 “자인이 권한도 없이 허가받지 않은 활동을 했다”고 밝혔다.
웨스타티카 공국은 성명에서 “아낌없는” 기부를 한 자인에 ‘인도 명예 영사’라는 직함을 부여한 바 있으나 대사의 직함이나 권한을 부여한 적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인도 사법당국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덧붙였다.
경찰은 자인이 운영한 가짜 대사관에서 여러 나라의 위조 여권 12개, 위조된 외교관 차량 번호판 20개, 이를 부착한 차량 4대를 압수했다.
또 세계 각국 지도자와 함께 찍은 것처럼 합성한 가짜 사진 여러 장과 인도 외교부를 비롯해 정부 부처 및 기관의 인장, 약 450만 루피(약 7173만원)에 달하는 현금 및 외화도 압수 목록에 올랐다.
생소한 마이크로네이션의 대사 직함을 이용하고, 각종 문서나 사진, 번호판을 위조한 것 외에도 자인이 사람들을 쉽게 속일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실제로 해외 경험이 풍부했기 때문이라고 경찰은 설명했다.
자인은 런던의 대학에서 MBA 학위를 취득했으며, 여러 나라에서 수상한 회사를 설립한 뒤 인도로 돌아오는 등 해외 경험이 풍부했다.
인도의 한 기업가의 아들인 자인은 2012년 인도에서 허가 없이 사용이 금지된 위성 전화를 소유한 혐의로 경찰에 입건된 전력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