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남계서원 세계문화유산 등재, 경남 세계유산 3건
경남 함양군 남계서원이 경북 안동 도산서원 등 전국 8개 서원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경남도와 함양군은 7일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지난 6일 열린 제43차 세계유산위원회 총회에서 함양 남계서원을 비롯한 ‘한국의 서원’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가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등재 결정된 한국 서원은 남계서원을 비롯해 경북 영주 소수서원, 안동 도산·병산서원, 경주 옥산서원, 대구 달성 도동서원, 전남 장성 필암서원, 전북 정읍 무성서원, 충남 논산 돈암서원 등 전국 9곳이다.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에 있는 남계서원(부지 4810㎡)은 우리나라에서 두번째 건립된 서원이다. 1552년(명종 7년) 개암(介菴) 강익 선생이 당시 함양군수 지원을 받아 일두 정여창(1450~1504)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했다. 정유재란때 불에 타 1612년(광해군 4년) 그 자리에 중건됐다.서원앞을 흐르는 시내 이름을 따 ‘남계’로 사액 받은 조선의 2번째 사액 서원으로 조선시대 서원 건축 유형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꼽힌다.
사당, 별사, 강당, 동·서재, 풍영루 등 모두 10동으로 이뤄져 있다. 제향, 강학, 교류공간을 종축에 배치한 최초의 서원이자 ‘전학후묘’ 전통서원의 건축유형을 대표하는 곳이다.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손되지 않고 원형이 잘 보존돼 1974년 경남 유형문화재 제91호로 지정된 뒤 2009년 사적 제499호로 지정됐다.
서춘수 함양군수는 “세계인류가 공동으로 지키고 전승해야 할 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은 남계서원의 세계유산 가치가 잘 보존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류명현 경남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이번 함양 남계서원 세계유산 등재에 이어, 2021년에는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한국 서원 세계문화유산 등재로 모두 14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가 1995년에 등재된데 뒤 창덕궁, 수원 화성이 1997년,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이 2000년 등재됐다. 이어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2007년), 조선왕릉(2009년),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2010년), 남한산성(2014년), 백제역사유적지구(2015년),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2018년) 등이 잇따라 등재됐다.
경남지역에는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과 양산 통도사, 남계서원 등 3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