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인천항 對北전진기지로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울산항과 인천항이 대북 지원화물 수송 및 물류 전초기지로 떠오를 전망이다.
울산지방해양수산청은 14일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경제교류가 더욱 활기를 띨 것으로 보고 대북 지원물자의 원활한 수송을 위해 울산항에 길이 200여m에 이르는 3만t급 1선석 규모의 북한화물 전용부두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울산해양청은 총사업비 300억원이 드는 이 계획을 국가사업으로 추진해줄것을 해양수산부에 건의한데 이어 자체 추진작업도 시작했다고 말했다.
울산항의 지난해 대북 물동량은 경수로 사업과 금강산 관광사업,대한적십자사의 비료지원사업 등으로 모두 42만t을 기록했다.이는 국내 대북 물동량의43%에 달하는 것으로 여수항 30만t,부산항 12만t,인천항 6만4,000t보다 훨씬 많은 것이다.
올해도 정부의 대북 비료지원 계획에 따라 전체 지원비료 20만t 가운데 울산항에 9만t이 배정됐다.이달 말까지 모두 10여차례로 나눠 비료가 북한에전달되는 등 지난해에 이어 지역 비료생산업체의 특수도 계속되고 있다.
인천항은 최대의 대북 교역창구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인천지부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4월말까지 우리나라 대북 교역 규모는 1억526만달러로,이 가운데 62%인 6,522만달러 규모의 수·출입이인천항을 통해 이뤄졌다. 이 기간 수출은 3,28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8.1%,수입은 3,242만달러로 60.3%가 각각 늘었다.수출의 경우 담배와 컬러TV,전자기기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수입은 의류,아연,농산물,한약재 등이다.
이처럼 인천항을 통한 대북 교역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북한으로 운항되고있는 일반화물 정기노선이 인천∼남포,부산∼나진 등 2개 노선에 불과한 가운데 인천-남포가 각각 남북한의 수도권에 위치해 있고 운항거리도 부산∼나진에 비해 5분의 1 정도로 짧기 때문이다.
울산 강원식·인천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