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직불금’ 부당수령 28만명 명단 국회로
감사원은 1일 쌀 소득보전 직불금 파문과 관련해 직업 및 소득별로 분류된 2006년도 직불금 부당수령 의혹자 28만여명의 명단을 국회 국정조사 특위에 제출했다.이들은 비료 구매 및 벼 수매 실적이 없는 사람들이다. 감사원이 제출한 명단은 쌀 직불금 수령자 105만명의 직업과 소득별로 분류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명단과 대조해 재작성한 자료다.명단은 USB 저장장치 형태로 제출됐다. 쌀 직불금 파문의 ‘뇌관’인 이 명단에서 직업이 확인된 사람은 17만 3599명으로 성명,주민등록번호,직장명,주소,월소득액 등이 명시돼 있다.직업별로는 공무원 3만 9978명,금융계 임직원 8520명,공기업 임직원 7878명,전문직 1949명,언론계 558명,임대업 52명,기타 1만 3323명 등이다.직업이 특정되지 않은 약 11만명은 성명과 주민등록번호,주소 등이 표시됐다.감사원이 제출한 자료는 지난해 감사과정에서 감사원이 작성한 부당수령 추정자 명단과 똑같은 것이다.다만 농림수산식품부 자료에서 직업을 가진 것으로 검색된 전체 인원 수가 늘어났기 때문에 당시보다 직업이 있는 인원이 102명 늘어났다. 이 명단은 한나라당과 민주당,선진과 창조의 모임 등 3개 교섭단체 간사들에게 배포됐다.특위위원들은 각 당 간사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민주당은 간사가 ‘외부에 유출하지 않는다.’는 각서를 받고 민주당 소속 위원들에게 배포했다. 민주당은 부당수령이 확인된 고위공직자,고소득 전문직은 명단을 공개하자고 주장하는 반면 한나라당은 국정조사가 끝날 때까지 명단 공개는 안 된다는 입장이어서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이와 함께 특위는 참여정부의 감사원 쌀 직불금 조사 은폐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관련자료를 공개해야 한다며 청와대 관계장관 대책회의 회의록 등 관련자료의 제출 요구안을 의결했다.요구안은 2일 본회의에서 처리된다. 직불금을 부당 수령한 공직자를 가려내기 위한 정부의 일제조사도 3일 마무리된다.행정안전부는 일제조사 결과를 특위에 제출한 뒤 추후 결과 발표 여부와 시기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강국진 김지훈기자 kj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