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북한군 수백 명 사상”…우크라軍, 불리한 전황 속 ‘협상 카드’ 지킬까 [핫이슈]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 쿠르스크주(州) 전선에서 러시아군과 북한군 최소 1개 중대 병력을 파괴했다고 주장했다.
AP통신은 8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전날 연설을 인용해 “쿠르스크 작전 지역에서 새로운 공격이 발생했다. 러시아군이 다시 한 번 북한군을 전선에 배치했다”면서 “적군 상당수가 파괴됐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군의 정확한 피해 규모를 언급하지 않았으나, 사상자가 수백 명에 달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47독립기계화여단도 같은 날 “러시아와 북한 군대가 쿠르스크주에서 또 다른 공격을 시작했다”면서 “47기계화여단 ‘마구라’와 그 동맹군이 러시아의 새로운 대규모 공격을 격퇴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에는 적군(러시아군)의 전술이 바뀌었다. 이전에는 주로 차량을 이용해 공격했으나, 현재는 보병을 보내고 있다”면서 “우크라이나군이 전선을 지키고 있으며 러시아군이 최소 1개 중대 규모의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다만 AP통신은 “러시아 국방부가 이튿날인 8일, 쿠르스크에서 우크라이나의 반격을 격퇴했다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불리한 전황 속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우크라이나우크라이나 영토의 약 20%를 점령한 러시아가 공세를 이어가는 만큼, 현재 전황은 우크라이나에게 매우 불리하다.
이런 상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재 아래 평화 협상이 시작된다면, 러시아의 요구 상당수가 관철될 가능성이 커진다.
우크라이나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대선에서 승리하기 전부터, 러시아 쿠르스크주(州) 점령과 방어에 힘써왔다. 우크라이나가 빼앗은 러시아 영토가 많을수록 평화 협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쿠르스크주 전황은 우크라이나에게 유리하지 않았다. 우크라이나는 지난해 8월 쿠르스크 지역을 기습 공격해 점령한 영토의 40% 이상을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상실했다. 쿠르스크 지역은 러시아로 파병된 북한군이 주둔하는 곳이다.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 점령지를 지키려 고군분투하는 사이, 러시아군은 인해전술을 앞세워 약해진 동부 전선을 공략했다.
러시아 국방부는 7일 동부 최전방 전선에 있는 토레츠크를 점령했다고 주장했다.
토레츠크는 동부전선에서 우크라이나군의 주요 병참로를 차단시킬 수 있는 요충지다. 토레츠크를 점령했다는 러시아군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이는 러시아가 병력과 병참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게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AP통신은 8일 “현재 우크라이나의 방어선이 삐걱거리고 있다”면서 “러시아군은 지난해 동부 아브디브카와 부흘레다르를 점령했고, 지난달에는 역시 동부전선의 밸리카 노보실카를 손에 넣는데 성공했다. 이 도시들은 우크라이나 동쪽 방어선의 일부이자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충지”라고 진단했다.
결국 우크라이나는 쿠르스크와 동부 전선에서 모두 손실을 보게 됐으며, 평화 협정이 곧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우크라이나가 현재의 전황을 바꿀만한 시간은 턱없이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푸틴과 전화 통화, 종전 논의”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취임하면 24시간 내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 있다고 공언했으나, 현재는 이 시간을 ‘취임 후 6개월 내’로 수정한 상태다.
전 세계의 관심이 트럼프의 행보에 쏠려 있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8일 뉴욕포스트와 가진 단독회견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면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에 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항상 푸틴 대통령과 좋은 관계를 맺어왔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확고한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으나, 종전 구상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 주 젤렌스키 대통령과 직접 만나 전쟁 종식에 관해 협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으나, 정확한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