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위/국감 증인채택 진통(정가 초점)
◎야 1백51명 신청에 여선 “대폭 축소” 앞서/법사위·내무위 등 이견차 커 타결 불투명
국정감사를 하루 앞둔 29일까지 여야는 상임위 증인채택문제를 매듭짓지 못해 진통을 겪고 있다.
국민회의등 야권이 1백51명의 증인,참고인을 무더기 신청한데 대해 신한국당은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지금까지 여야는 행정,농림해양수산,통상산업,통신과학기술,환경노동,건설교통 등 6개 상임위에 29명의 증인과 20명의 참고인 채택을 합의했다.
아예 증인채택요구가 없었던 운영,통일외무,국방,문화체육공보,보건복지,정보위 등 6개 상임위를 제외한 법사와 내무,재정경제,교육 등 4개 상임위가 난항을 겪고 있다.
때문에 이들 4개 상임위 간사들은 국감이 시작되는 30일에도 의견조율을 위한 접촉을 가질 예정이지만 여야간 견해차가 심해 전망은 불투명하다.
최대쟁점 상임위는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들이 맞물린 법사위와 내무위.법사위에서는 국민회의가 30여명의 증인채택을 요구하고 있다.
5·18및 비자금사건과 관련,전두환·노태우·최규하 전 대통령과 서울지검 김성호 특수2부장이,신한국당 강삼재 사무총장의 「20억원+α」사건을 수사한 서울지검 백순현 검사,이명박 의원의 전비서 김유찬씨 등이 포함됐다.
국민회의는 이가운데 최소한 10명선으로 줄여 협상에 임할 자세이지만 신한국당측은 『한사람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절대불가」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내무위도 사정은 비슷하다.야권은 그동안 4차례에 걸친 여야 간사회의에서 금호그룹의 30억원 정치자금기탁의혹(강삼재 사무총장·박정구 금호그룹회장 등 3명),4·11총선 부정시비(김유찬 전 비서 등 3명),효산콘도사건(현준희 전 감사관 등 4명) 등을 둘러싸고 증인채택을 강력 주장했다.
신한국당측은 그러나 『금호그룹건은 지난 임시국회에서 걸러졌던 문제이며 효산콘도건은 정치공세용』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재정경제위는 건영부도사건(엄상호 회장·손홍균 서울은행장) 등 경제파동과 관련된 10여명이 신청됐으나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교육위에서는 재단관련 분규가 잦은 계명대·청주대·경기대·수원대총장과 재단이사장을 증인으로 채택할지를 둘러싸고 여야간 절충이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