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ö
    2025-07-04
    검색기록 지우기
  • Ⱦ
    2025-07-04
    검색기록 지우기
  • Ӽ
    2025-07-0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82
  • 엥? 이렇게 심한 욕설이…황당하고도 우스운 세계의 욕

    엥? 이렇게 심한 욕설이…황당하고도 우스운 세계의 욕

    어떤 국가의 언어를 학습하든지 가장 빨리 습득하게 되는 것은 그 나라의 비속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이처럼 때로 욕설은 그 나라만의 정서와 문화를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해 주기도 한다. 최근 영국 항공사 ‘저스트 더 플라이트’(Just The Flight)는 세계 각국 욕설 중 다른 나라 국민들에게 황당하거나 우습게 들릴 수 있는 표현들을 골라 소개했다. 그 중 일부를 발췌해 옮겨 보았다. 다만 이들 표현은 현지인들에게 상당한 모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도록 하자. 스페인“Eres tan feo que hiciste llorar a una cebolla”‘넌 너무 못생겨서 양파가 너를 보고 울겠다’는 의미. 사람들을 울게 만드는 양파가 도리어 눈물을 흘릴 정도로 용모가 추하다는 뜻을 담는다. 프랑스“Parler français comme une vache espagnole”‘스페인 소(牛)가 프랑스어를 하는 것 같다’는 말로, 프랑스어 실력이 충분치 못한 사람을 조롱하는 말이다. 불가리아“Grozna si kato salata”대부분의 국가에서 ‘샐러드’는 그저 음식이름일 뿐이겠지만 불가리아에서는 사정이 조금 다르다. 이 표현은 ‘샐러드처럼 못생겼다’는 뜻을 가진다. 아르메니아“Eshoon noor oodel chi vayeler”‘멍청한 녀석이 석류를 먹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기란 힘든 일’이라는 뜻이다. 행동이 서투른 사람들을 모욕하는데 사용된다. 스웨덴“Gå och dra något gammalt över dig”‘가서 오래된 물건 밑에 숨어라’는 뜻으로, 멍청한 실수를 저지른 사람에게 쓰는 말이다. 허름한 물건을 뒤집어써서 지금의 멍청한 모습을 더욱 강조하라는 의미를 담는다. 소말리아“Futaada u sheeg”‘네 엉덩이에나 대고 그런 말을 하라’는 말이다. 전혀 동의할 수 없는 엉뚱한 소리를 하는 사람에게 하는 욕설이다. 러시아“Хоть кол на голове теши”‘저 사람 머리는 도끼날 가는데 써도 되겠다’는 의미로, 고집이 매우 강한 사람을 비난하는 표현이다. 중국“二百五”‘205’처럼 보이지만 중국어식 숫자표기상 ‘250’이란 의미로 우리말의 ‘푼수’ 혹은 ‘바보’와 유사하게 사용된다. 어원에 관련해 여러 가지 가설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과거 중국에서 은전 500개를 하나의 단위로 삼았던 것에 기인한다는 설이다. 이에 따르면 당시 은전 500개는 ‘일량’(一封), 250개는 ‘반량’(半封)으로 불렀는데, 이 때 ‘반량’의 발음이 ‘반쯤 실성한 자’라는 의미의 ‘반풍’(半疯)과 동일해 '250'이 바보라는 의미를 지니게 됐다. 영국“A face like a bag full of spanners”‘스패너로 가득 찬 가방 같은 얼굴’이라는 의미로, 안에 도구가 가득 차 울퉁불퉁해진 가방의 모습을 얼굴에 빗대어 모욕하는 표현이다. 아일랜드“As thick as manure and only half as useful”‘가축 대변만큼이나 우둔하지만(thick) 쓸모는 그 절반’이라는 의미다. Thick이라는 영단어에 ‘뻑뻑한’, ‘질척한’이라는 의미와 함께 ‘우둔한’, ‘미련한’이라는 뜻도 함께 포함된다는 점을 이용한 언어유희에 해당한다.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
  • [아하! 우주] 우주에서 가장 외로운 은하 ‘MCG+01-02-015’

    [아하! 우주] 우주에서 가장 외로운 은하 ‘MCG+01-02-015’

    은하는 태양 같은 별이 최대 수천억개 이상 모인 거대한 별들의 집단이다. 그러나 이 은하도 혼자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 은하는 안드로메다은하 등과 더불어 국부 은하군을 형성하고 있는데 사실 이 은하군도 더 거대한 은하단의 일부일 뿐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우리가 속한 국부 은하단 역시 초은하단의 일부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그런데 은하단은 우주에 균등하게 분포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지역에만 몰려 있다. 3차원적인 우주 공간을 만약 단면으로 잘라서 분포를 본다면 마치 거품이나 구멍이 많은 스위스 치즈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은하가 거의 없는 공간을 보이드(Void)라고 부른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보이드에도 별과 은하가 없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이런 아웃사이더 은하들은 보이드 은하(Void Galaxy)라고 불린다. 유럽우주국(ESA)의 과학자들이 가장 외로운 은하(the loneliest of galaxies)라고 명명한 MCG+01-02-015의 경우 특히 거대한 보이드인 목동자리 보이드(Boötes void) 한가운데 존재한다. 이 보이드는 지름이 무려 2.5억 광년에 달하는 거대한 보이드로 내부에는 몇 개의 은하 밖에는 존재하지 않는데, MCG+01-02-015가 그 가운데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은 이 은하의 모습을 생생하게 포착했다. 사진상으로는 평범한 은하처럼 보이지만, 사실 주변에 보이는 은하와 별은 모두 목동자리 보이드 밖에 존재하는 것으로 단지 방향이 같아서 하나의 사진에 담겼을 뿐이다. MCG+01-02-015 자체는 홀로 떨어진 외로운 은하다. 과학자들은 아마도 다른 은하와의 중력 상호 작용으로 본래 있던 위치에서 이 은하가 튕겨 나갔다고 생각하고 있다. 다만 정확한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이 넓은 우주에서 수억 광년 텅 빈 공간에 홀로 존재하는 외딴 은하가 있다는 사실은 흥미롭다. 고든 정 통신원 jjy0501@naver.com
  • “성범죄 피해남성 이곳으로”...세계 최초 전용병원 스웨덴서 오픈

    “성범죄 피해남성 이곳으로”...세계 최초 전용병원 스웨덴서 오픈

    성범죄에 피해를 입은 남성들을 위한 병원이 세계최초로 스웨덴에 개설됐다. 최근 스웨덴 현지언론은 수도 스톡홀름에 위치한 현지 최대 병원(Södersjukhuset)에 성범죄 피해자를 위한 남성전용병동이 문을 열었다고 보도했다. 화제의 이 병원은 성범죄의 피해를 입은 남성들을 위한 것으로 의료는 물론 상담, 심리 치료, 기타 지원까지 모든 서비스를 갖췄다. 현지에 이미 개설된 성범죄 피해 여성병원에 이어 남성전용으로는 세계최초라는 것이 현지언론의 설명. 스웨덴 자유당 대변인 라스무스 준룬드는 "스웨덴 최초, 세계 최초로 개설됐으며 양성평등의 취지에도 맞다" 면서 "여성들을 위한 같은 목적의 병동은 이미 운영 중으로 한해 600명 정도의 피해자가 찾고있다"고 밝혔다. 현지에서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이같은 병원이 개설된 것은 유럽 내에서 스웨덴의 성범죄 사건이 가장 많이 보고되기 때문이다. 지난 2011년 UN 통계에 따르면 스웨덴의 성폭행 건수는 10만명 당 69명 수준이다. 특히 이중 남자를 상대로 한 성범죄도 상당수를 차지하는데 스웨덴 범죄예방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 건수가 무려 370건에 달한다. 현지언론은 "남성 상대 성범죄는 특성상 경찰에 잘 신고되지 않으며 소년을 대상으로도 자주 일어난다" 면서 "병원은 24시간 오픈돼 무료로 운영되며 개인정보와 상담내용은 철저히 비밀에 부쳐진다"고 보도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세계 첫 ‘성범죄 피해 남성’ 병원 스웨덴서 오픈

    성범죄에 피해를 입은 남성들을 위한 병원이 세계최초로 스웨덴에 개설됐다. 최근 스웨덴 현지언론은 수도 스톡홀름에 위치한 현지 최대 병원(Södersjukhuset)에 성범죄 피해자를 위한 남성전용병동이 문을 열었다고 보도했다. 화제의 이 병원은 성범죄의 피해를 입은 남성들을 위한 것으로 의료는 물론 상담, 심리 치료, 기타 지원까지 모든 서비스를 갖췄다. 현지에 이미 개설된 성범죄 피해 여성병원에 이어 남성전용으로는 세계최초라는 것이 현지언론의 설명. 스웨덴 자유당 대변인 라스무스 준룬드는 "스웨덴 최초, 세계 최초로 개설됐으며 양성평등의 취지에도 맞다" 면서 "여성들을 위한 같은 목적의 병동은 이미 운영 중으로 한해 600명 정도의 피해자가 찾고있다"고 밝혔다. 현지에서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이같은 병원이 개설된 것은 유럽 내에서 스웨덴의 성범죄 사건이 가장 많이 보고되기 때문이다. 지난 2011년 UN 통계에 따르면 스웨덴의 성폭행 건수는 10만명 당 69명 수준이다. 특히 이중 남자를 상대로 한 성범죄도 상당수를 차지하는데 스웨덴 범죄예방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 건수가 무려 370건에 달한다. 현지언론은 "남성 상대 성범죄는 특성상 경찰에 잘 신고되지 않으며 소년을 대상으로도 자주 일어난다" 면서 "병원은 24시간 오픈돼 무료로 운영되며 개인정보와 상담내용은 철저히 비밀에 부쳐진다"고 보도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게시판] 성균관대, 대교그룹, 재능교육, 이화여대, 한성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한스위스대사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게시판] 성균관대, 대교그룹, 재능교육, 이화여대, 한성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한스위스대사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균관대학교(총장 정규상) 대학원 무역학과(FTA활용 비즈니스 전공)에서는 오는 15일 퇴계인문관 5층 31505호에서 제93회 ‘성균무역포럼’ (대표: 박명섭 교수)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서는 류청로 한국어촌어항협회 이사장이 “FTA시대의 어촌 및 어항”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며, 성균관대학교 인문캠퍼스 퇴계인문관 5층 31505호(SWIP) 강의실에서 오후 1시45분부터 1시간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대교그룹 강영중 회장이 사단법인 한국조각가협회가 개최한 ‘서울국제조각페스타’에서 대한민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공로패를 수상했다. 강영중 회장은 지난 2000년부터 현재까지 ‘대교 국제대학(원)생 조각 심포지엄’을 개최하며 꾸준히 신진 조각가들을 후원 및 양성해 온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특히 국내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창작 지원을 아끼지 않으며 젊은 예술가들의 창작 의욕을 고취시킴으로써, 미래 조각가 발굴과 조각예술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교육전문기업 재능교육(대표 박종우)은 지난 13일 재능문화센터(JCC) 관장으로 안순모 씨를 선임했다. 신임 안순모 관장은 재능문화센터 운영 방안 수립, 공연 전시 기획 프로그램 검토, 문화센터 카페 등 공간 용도 및 네이밍 작업, 문화센터 전반 환경정비 등을 담당하고 있다. 재능문화센터는 오는 15일 건축 공로자와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행사, 16일 그룹 임직원을 위한 문화행사, 27일 그랜드 오픈 등을 앞두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총장 최경희)는 오는 15일 오후 2시 교내 ECC 이삼봉홀에서 ‘MIT 스타트업 바이블 포럼’을 개최한다. 이화여대 기업가센터가 주관하고 중소기업청 및 창업진흥원이 주최하는 이번 포럼은 재학생을 비롯한 교내외 구성원을 대상으로 글로벌 마인드와 혁신적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미국을 대표하는 창업 선도대학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관계자를 초청, 마련된다. 이날 포럼에서는 오억수 이화여대 기업가센터장이 개회사를, 박영일 이화여대 대외부총장이 축사를 맡아 포럼 개최의 의미를 소개하고 이화여대의 전폭적 창업 지원 의지를 강조할 예정이다. ●한성대학교(총장 강신일)는 14일 한성대 공간정보웹기술연구실 이기원 교수 연구팀에서 개발한 ‘모바일 웹 매핑 솔류션(MowMas)’이 국내 대학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연구 성과로는 최초로 한국정보화진흥원(NIA)으로부터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버전 3.1 상호 호환성 인증(모바일 솔류션 분야, 지난 8월31일)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김영수 원장은 오는 15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주한영국문화원과 한국영어평가학회가 공동주최하는 영어평가 국제콘퍼런스 「New Directions 2015」에서 ‘New Directions in English Language Assessment of Korea: Educational Policies & Practices’를 주제로 기조연설한다. 본 기조연설에서는 1차에서부터 7차에 이르는 영어과 교육과 정의 변화를 살펴보고 영어과 교수·학습 및 평가 측면에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주한스위스대사관과 주니어앰배서더는 오는 16일과 19일 양일간 각각 구룡중학교와 목일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로 찾아가는 ‘드리밍 앰배서더 스쿨’ 프로그램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주한스위스대사관 초청 내한 공연을 위해 우리나라를 방문할 예정인 스위스 출신 아티스트들의 특별한 강연과 공연이 마련될 예정이다. 이번 드리밍 앰배서더 스쿨 프로그램 강사로 나서는 소냐 뢰슬리(Sonja Rösli)와 토비아스 슈미트(Tobias Schmidt)는 다양한 스위스 전통 악기에 능통한 전문 무용가들로 스위스의 문화와 전통을 알리기 위해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전역을 돌며 공연을 펼치고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STEPI, 원장 송종국)은 오는 15일 오전 10시30분부터 한국과총 12층 SC컨벤션홀에서 ‘과학기술 글로벌화와 세계과학정상회의’를 주제로 제392회 과학기술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오는 19일부터 대전에서 세계과학정상회의가 11년 만에 개최된다.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과학계가 주목하고 있는 정상회의를 맞이하여 이번 포럼에서는 여러 가지 글로벌 문제에 대해 선행적으로 살펴보고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아이디어를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이명선 전문기자 mslee@seoul.co.kr
  • [포토] 세계 최강 악취 음식 ‘수르스트뢰밍’ 먹은 사람들 반응?

    [포토] 세계 최강 악취 음식 ‘수르스트뢰밍’ 먹은 사람들 반응?

    삭힌 홍어보다 강하다는 ‘수르스트뢰밍’(Surströmming)을 접한 사람들의 반응은 과연 어떨까? 2일(현지시간) 허핑턴포스트코리아는 미국 온라인 미디어 버즈피드가 제작한 세계 최강의 악취 음식인 ‘수르스트뢰밍’ 시식 반응 영상을 기사와 함께 소개했다. 영상에는 버즈피드 에이터들이 출연해 스웨덴의 ‘수르스트뢰밍’을 시식한다. ‘수르스트뢰밍’은 발트해에서 잡은 청어를 두 달 이상 발효시켜 통조림에 담은 것으로 국내의 복불복쇼에서 처음 소개된 세계 최고의 악취 음식이다. 시식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수르스트뢰밍’ 통조림 따개를 열기 시작부터 냄새로 고전을 면치 못한다. 참가자들은 먹을 엄두조차 내지 못하거나 헛구역질을 해댄다. 한편 저명한 발효학자이자 음식탐험가인 ‘맛없어?’의 저자 고이즈미 다케오는 수르스트뢰밍에 대해 “그 냄새는 은행알을 밟아 짓뭉갰을 때의 냄새에다 말린 고등어 즙을 뿌리고 똥냄새를 더한다. 또한 거기에 강렬한 생선 젓갈 냄새를 뒤섞은 것 같은 냄새다”라고 표현한 바 있다. 사진·영상= BuzzFeedVideo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세계 최강 악취 음식 ‘수르스트뢰밍’ 먹은 사람들 반응?

    세계 최강 악취 음식 ‘수르스트뢰밍’ 먹은 사람들 반응?

    삭힌 홍어보다 강하다는 ‘수르스트뢰밍’(Surströmming)을 접한 사람들의 반응은 과연 어떨까? 지난 2015년 7월 2일(현지시간) 허핑턴포스트코리아는 미국 온라인 미디어 버즈피드가 제작한 세계 최강의 악취 음식인 ‘수르스트뢰밍’ 시식 반응 영상을 기사와 함께 소개했다. 영상에는 버즈피드 에이터들이 출연해 스웨덴의 ‘수르스트뢰밍’을 시식한다. ‘수르스트뢰밍’은 발트해에서 잡은 청어를 두 달 이상 발효시켜 통조림에 담은 것으로 국내의 복불복쇼에서 처음 소개된 세계 최고의 악취 음식이다. 시식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수르스트뢰밍’ 통조림 따개를 열기 시작부터 냄새로 고전을 면치 못한다. 참가자들은 먹을 엄두조차 내지 못하거나 헛구역질을 해댄다. 한편 저명한 발효학자이자 음식탐험가인 ‘맛없어?’의 저자 고이즈미 다케오는 수르스트뢰밍에 대해 “그 냄새는 은행알을 밟아 짓뭉갰을 때의 냄새에다 말린 고등어 즙을 뿌리고 똥냄새를 더한다. 또한 거기에 강렬한 생선 젓갈 냄새를 뒤섞은 것 같은 냄새다”라고 표현한 바 있다. 유튜브에 게재된 이 영상은 현재 837만 9400여 건의 조회수를 기록 중이다. 사진·영상= BuzzFeedVideo youtube 영상팀 seoultv@seoul.co.kr
  • 식빵 하나 굽는 데 자전거 페달을 이만큼?

    식빵 하나 굽는 데 자전거 페달을 이만큼?

    독일의 한 사이클 선수가 토스터로 이색 도전을 펼쳐 눈길을 끌었다. 영국 매체 사이클링 위클리(Cyclingweekly)의 4일자 보도에 따르면, 독일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로베르트 푀르스테만(Robert Förstemann)은 사이클의 페달을 밟아 토스터를 작동시키는 이색 도전에 참가했다. 식빵 한 조각을 구워내는 전기를 만들려면 사이클의 페달을 얼마나 밟아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다. 도전이 시작되고 둘레 74cm 허벅지의 소유자 푀르스테만은 폭발적인 힘으로 평균 시속 50킬로미터를 유지하며 토스터를 작동시킨다. 식빵 하나를 노릇하게 구워내는 데는 생각보다 많은 양의 힘이 필요해 보인다. 푀르스테만은 온 힘을 다해 사이클 페달을 밟다가 도전에 성공하자마자 땅바닥에 드러눕는다. 이날 푀르스테만이 만들어낸 전기는 21Wh. 사이클링 위클리는 결과만 놓고 보자면 차 한 대를 움직이는 데는 18명의 푀트스테만이, 비행기를 움직이는 데는 4만 3천 명의 푀르스테만이 필요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영상은 “너무 쉽게 전기를 쓰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하게끔 한다”는 누리꾼들의 호평 속에 현재 111만 건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다. 사진·영상=Olympic Cyclist Vs. Toaster: Can He Power It?/유튜브 영상팀 seoultv@seoul.co.kr
  • 1만 피트 상공서 분실한 액션캠에는 어떤 영상이?

    1만 피트 상공서 분실한 액션캠에는 어떤 영상이?

    스카이다이빙 도중 분실한 액션캠에 담긴 영상이 누리꾼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데일리뉴스는 스웨덴의 한 스카이다이버가 1만 피트 상공에서 낙하하던 중 분실한 액션캠을 찾은 이후, 당시 상황이 담긴 영상을 공개해 화제를 불러 모으고 있다고 전했다. 영상을 보면, 스카이다이버 여러 명이 헬기에서 뛰어내리자 탁 트인 시야가 펼쳐진다. 액션캠을 머리에 매단 스카이다이버가 다른 스카이다이버 틈으로 다가가는 순간, 액션캠은 다른 스카이다이버의 몸과 충돌하면서 분리되어 떨어져 나간다. 결국, 액션캠은 엄청난 속도로 한참 동안을 회전하며 떨어지다가 잔디밭 위에 착지한다. 약 1분 40여 초 간 떨어지는 액션캠은 스카이다이빙이 펼쳐진 상공이 얼마나 높은지 짐작하게 한다. 지난 3일 유튜브에 게재된 해당 영상은 현재 227만 건 이상의 매우 높은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다. 사진·영상=Kristoffer Örstadius/유튜브 영상팀 seoultv@seoul.co.kr
  • 5300년 전 석기시대 미라는 왜 온몸에 문신을 했을까

    5300년 전 석기시대 미라는 왜 온몸에 문신을 했을까

    지난 1991년 알프스 빙하지대에서 온몸이 꽁꽁 언 채 죽은 소위 '아이스맨' 이 발견돼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바로 5,300여 년 전인 석기시대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미라 외치(Ötzi)다. 최근 이탈리아 볼자노에 위치한 '유럽아카데미 미라 및 아이스맨 연구소'(EURAC)측은 "파장을 이용한 새로운 영상기술로 외치를 스캔한 결과 숨겨져 있던 문신 총 61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문신들은 가슴과 등 아래, 다리 등 곳곳에서 발견됐으며 각각의 크기는 20-25mm로 확인됐다. 이번 문신 발견이 의미가 있는 것은 5300년 전 인류도 문신을 했다는 가정이 사실일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과거에 전문가들은 고대 인류에게 발견되는 문신같은 이 흔적을 치료 후 남은 것으로 생각해 왔다. 연구를 이끈 알베르트 징크 박사는 "외치에게 이처럼 많은 문신들이 있을 것이라 상상도 못했다" 면서 "어떤 방식으로 문신을 했는지, 또 어떤 목적으로 문신을 했는지 향후 밝혀내야 할 과제" 라고 설명했다. 한편 ‘외치’는 150cm 키에 40대 후반의 남자로 왼쪽 어깨 부근에 화살을 맞고 피를 많이 흘려 죽은 것으로 추정돼 왔다. 그러나 지난 2013년 EURAC측은 외치의 뇌 조직에서 추출된 단백질과 혈액 세포를 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외치가 죽기 직전 머리에 타박상을 입어 사망했다는 결론를 내렸다. 여전히 외치의 사인은 명확치 않지만 ‘유럽 최초의 피살자’란 별명은 외치에게 꼬리표처럼 따라다니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아이스맨의 저주설’도 회자되는데 이는 ‘외치’를 처음 발견한 등산가 헬무트 시몬이 2004년 등반 도중 사망하고 이후 발굴과 연구에 참여했던 6명이 사고나 질병으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사커는 추억이다] 한국축구의 유일한 영구결번 ‘김주성’

    [사커는 추억이다] 한국축구의 유일한 영구결번 ‘김주성’

    2015년은 K리그가 출범한지 32년이 되는 해입니다. K리그가 아시아 축구의 중심이 되었던 80년대 초창기 시절부터 최전성기인 90년대를 거쳐, J리그와 C리그의 강력한 도전을 받으며 자웅을 겨루고 있는 지금까지 정말로 많은 선수들이 K리그를 빛내주었습니다. 포항의 주포 황선홍, 전북과 성남에서 큰 족적을 남긴 김도훈, LG와 안양 그리고 수원에서 활약했던 ‘날쌘돌이’ 서정원, 부산 대우 로얄즈에서 90년대 K리그의 흥행을 이끌었던 안정환까지. 30년 동안 수많은 레전드들이 K리그를 질주했습니다. 그들의 노력과 헌신이 있었기에 우리의 K리그는 턱없이 부족한 자본과 인프라 속에서 일본과 중국에게 강력한 도전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AFC챔피언스리그에서 총 10회의 우승을 차지하면서 아시아의 맹주로 호령할 수 있는 것이겠지요. 이런 수많은 K리그의 레전드 중에서도 화려한 족적을 남긴 원조 꽃미남이자 야생마였던 ‘김주성’ 선수를 기억하십니까? 그는 1989년부터 1991년까지 3회 연속으로 아시아 축구 연맹이 선정한 아시아 올해의 축구 선수로 뽑혔습니다. 당시의 올해의 아시아 선수상은 기자단 투표로 선정하는 방식이었습니다. 1994년부터 연맹에서 선정하는 식으로 바뀌었으나, 지금까지도 3번 연속 이 상을 수상한 선수는 없었습니다. 김주성은 유일하게 3연속으로 이 상을 수상하면서 K리그를 아시아의 최고로 만드는데 일등공신의 역할을 했습니다. 김주성은 대학 시절부터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조선대학의 간판 스트라이커로서 폭발적인 스피드와 화려한 개인기로 축구팬들을 열광시켰습니다. 잘생긴 외모까지 갖춘 터라 언론에서도 주목했습니다. 1985년, 대통령배 국제 축구 대회에서 A대표팀에 처음으로 뽑힌 그는 데뷔전부터 첫 골을 넣으며 선수생활을 화려하게 시작했습니다. 대표팀 최연소로 발탁된 1986년 월드컵에서는 조별예선 세 경기에 모두 출전하며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을 빛낼 예비스타 10인’에까지 선정될 정도로 뛰어난 재능을 선보였습니다. 월드컵 이후에는 홈에서 펼쳐진 86아시안게임에서 대표팀을 우승시켰습니다. 그 덕에 당시에는 받기 어려웠던 병역혜택까지 받아 훗날 독일로 진출할 수 있었습니다. (바로 진출할 수 없었던 이유는 당시 ‘병역 혜택 해당 종목에서 5년간 국내리그에서 봉사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1987년 대우 로얄즈에 입단한 뒤, 그 해 K리그 우승에 크게 공헌하여 신인상(28경기 10골 기록)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때의 K리그는 흥행의 최전성기였습니다. 지금 프로야구가 800만 관중을 유치할 정도로 열풍이 불고 있는 것처럼, 당시의 K리그는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관중수를 자랑하는 리그였습니다. 근래의 야구 열풍에도 여성 관중들을 빼놓고는 얘기할 수 없는 것과 같이 그때의 K리그에도 여성관중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이 중심에는 찰랑찰랑한 긴 머릿결을 아이콘으로 하여 빠른 스피드로 여학생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김주성이 있었지요. (김주성이 긴 장발로 인기를 얻자 이때부터 국내 축구계에도 장발족들이 하나 둘씩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1991년 팀의 두 번째 리그 우승을 이끈 김주성은 해외에서도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보고 싶었습니다. 마침 독일 분데스리가의 보쿰에서 이적제의가 오자 그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그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 1992년 여름의 일입니다. 하지만 ‘아시아인은 유니폼 팔이’란 편견이 남아있던 당시의 유럽무대에서 김주성은 중용되지 못했습니다. 차범근이 독일 무대에서 성공적으로 활약했었기 때문에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서는 분데스리가가 편견이 조금 덜 했으나, 차별이 아예 없을 순 없었습니다. 92/93시즌 결과 팀은 16위로 2부 리그로 강등되고 말았습니다. 김주성은 힘 한번 써보지도 못하고 팀이 강등당하는 것을 보고만 있어야 했습니다. ‘이환위리(以患爲利)’라는 말이 있습니다. 위기를 잘 넘기면 곧 새로운 기회가 찾아 온다는 뜻입니다. 김주성의 인생에 있어서도 이는 다르지 않았습니다. 2부 리그에 내려간 것이 오히려 김주성에게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2부 리그에서 그의 활약은 돋보였습니다. 아니 독보적이었다고 말해도 무방할 정도였습니다. 팀의 주전 윙 포워드로 활동하면서 '10월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는 등 유럽 이적 후 최고의 활약을 선보이며 팀을 2부 리그의 정상에 올려놓았고, 최종적으로 팀을 1부 리그로 승격시켰습니다. 당시 슈뵈른트(Schwörend) 보쿰 감독은 김주성의 플레이를 높게 평가했습니다. 키커지를 통해 그를 “한국에서 내려온 보석”이라고 인터뷰하기도 했으니까요. 하지만 그는 근본적으로 아시아 축구 자체를 얕잡아보던 닫힌 사고를 지닌 감독이었습니다. 팀이 2부 리그로 떨어지자 핵심 선수들이 주급 문제로 타 클럽으로 이적했고 그래서 김주성을 사용했던 것이었죠. 1부 리그로 돌아오자 슈뵈른트 감독은 늘어난 재정을 바탕으로 다른 공격수를 영입했고 김주성은 다시 벤치로 돌아가야만 했습니다. 혼신의 힘을 다해 뛰어서 팀을 1부 리그로 승격시켰지만 그에 걸맞은 대우를 받지 못하자 김주성은 국내 복귀를 결심하게 됩니다. 한국 축구를 더 널리 알리기 위해 K리그의 수많은 팬들을 뒤로하고 독일 행을 택했던 그였지만, 그것은 축구에 대해 좋은 기억만 가지고 있던 그에게 절망을 안겨주었습니다. 2004년, 모 스포츠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독일행 실패 이후 은퇴까지 고려했었다”고 말했을 정도니까요. 1994년 친정팀 부산 대우 로얄즈로 복귀한 그는, 1995년 6월 17일 유공전부터 수비수로 보직을 변경하여 출전하였습니다. 독보적인 스피드와 해외에서 경험하고 온 노련미까지 더해지자 K리그의 수비수들은 그를 감당하기 어려웠습니다. 1997년 자신의 K리그 통산 3번째 우승과 함께 K리그 MVP를 받으며 최고의 한 시즌을 보냅니다. '독일 시절, '차별'을 체험하면서 축구가 싫어졌던 그는 자신이 은퇴하기엔 축구가 너무 하고 싶다는 것 또한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가 독일에서 축구에 대해 느꼈던 절망과 회의감은 K리그에서 다시 사랑을 받아야만 치유가 되는 병과 같았던 것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그는 K리그 복귀 이후에 더 열심히 뛰었고, 결국 97년도 MVP를 받으며 화려하게 부활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김주성은 1999년 시즌을 끝으로 자신의 영원한 친정팀인 부산 대우 로얄즈에서 은퇴했습니다. 팀은 그를 기리기위해 그의 백넘버 16번을 영구 결번으로 결정했습니다. 한국 축구에서 ‘영구 결번’(永久缺番, retired number)이란 개념이 나온 것 자체가 처음이었습니다. 비교하기는 어려운 면이 있지만, 굳이 비교하자면 AC밀란의 ‘프랑코 바레시’나 인테르나치오날레의 ‘주세베 베르고미’가 받은 영구 결번보다 더 값진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영구 결번에 대한 개념 자체가 있었던 상태에서 꾸준함과 성실함 그리고 팀에 대한 애정을 인정받아 선택된 선수들이었습니다. 그러나 김주성은 영구 결번이란 개념이 없었던 한국의 K리그에 처음으로 ‘영구 결번’이라는 제도를 생각하게 만들 정도로 화려한 업적을 보여준 셈이니까요. 실제로 그가 K리그에서 보여준 업적과 팬들에게 얻었던 인기는 대단했습니다. 1999년 11월 25일, 김주성은 속초시에서 은퇴 경기를 가졌는데, K리그에서 은퇴 경기가 열린 것도 이때가 최초였습니다. 그가 없었다면 우리나라에 영구 결번이란 개념이 들어오게 되기까지는 몇 십 년이 더 걸렸을지도, 아니 아직까지 들어오지 않았을 수도 있겠지요. 은퇴 후 행정가로서의 길을 걸으며 지금은 동아시아축구협회(EAFF, East Asia Football Federation)의 사무총장을 맡고 있는 그는, 32년사 K리그를 통틀어 최고의 레전드로서 앞으로도 자국리그의 발전을 위해 영원히 노력하는 영원한 '부산 대우의 16번'으로 기억될 것입니다. 김용표 인턴기자 nownews@seoul.co.kr
  • 5300년 된 냉동 미라 ‘외치’서 문신 61개 발견 (伊 연구팀)

    5300년 된 냉동 미라 ‘외치’서 문신 61개 발견 (伊 연구팀)

    지난 1991년 알프스 빙하지대에서 온몸이 꽁꽁 언 채 죽은 소위 '아이스맨' 이 발견돼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바로 5,300여 년 전인 석기시대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미라 외치(Ötzi)다. 최근 이탈리아 볼자노에 위치한 '유럽아카데미 미라 및 아이스맨 연구소'(EURAC)측은 "파장을 이용한 새로운 영상기술로 외치를 스캔한 결과 숨겨져 있던 문신 총 61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문신들은 가슴과 등 아래, 다리 등 곳곳에서 발견됐으며 각각의 크기는 20-25mm로 확인됐다. 이번 문신 발견이 의미가 있는 것은 5300년 전 인류도 문신을 했다는 가정이 사실일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과거에 전문가들은 고대 인류에게 발견되는 문신같은 이 흔적을 치료 후 남은 것으로 생각해 왔다. 연구를 이끈 알베르트 징크 박사는 "외치에게 이처럼 많은 문신들이 있을 것이라 상상도 못했다" 면서 "어떤 방식으로 문신을 했는지, 또 어떤 목적으로 문신을 했는지 향후 밝혀내야 할 과제" 라고 설명했다. 한편 ‘외치’는 150cm 키에 40대 후반의 남자로 왼쪽 어깨 부근에 화살을 맞고 피를 많이 흘려 죽은 것으로 추정돼 왔다. 그러나 지난 2013년 EURAC측은 외치의 뇌 조직에서 추출된 단백질과 혈액 세포를 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외치가 죽기 직전 머리에 타박상을 입어 사망했다는 결론를 내렸다. 여전히 외치의 사인은 명확치 않지만 ‘유럽 최초의 피살자’란 별명은 외치에게 꼬리표처럼 따라다니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아이스맨의 저주설’도 회자되는데 이는 ‘외치’를 처음 발견한 등산가 헬무트 시몬이 2004년 등반 도중 사망하고 이후 발굴과 연구에 참여했던 6명이 사고나 질병으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어어어’ 언덕길 구르던 아기 태운 유모차 세운 영웅男

    ‘어어어’ 언덕길 구르던 아기 태운 유모차 세운 영웅男

    가파른 언덕길을 굴러 내려오던 유모차를 낚아채 2살 난 아이를 극적으로 구한 남성이 화제다. 16일 호주 언론 ‘나인 MSN’의 보도에 따르면 최근 터키 항구도시 보드롬의 한 언덕길에서 2살 난 아이가 타고 있던 유모차가 굴러 내려가는 사고가 발생했다. 아이의 부모가 잠깐 한눈을 판 사이 벌어진 일이었다. 더욱이 언덕길 끝에는 차들이 다니는 도로와 낭떠러지가 있기에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아찔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기적과도 같은 일이 발생했다. 언덕 아래에서 전화 통화를 하고 있던 남성이 빠른 속도로 굴러오고 있는 유모차를 발견, 반사적으로 몸을 날려 유모차를 세운 것. 당시 사고 순간이 기록된 영상을 보면 이 남성이 민첩하게 유모차를 잡아채는 순간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때 유모차에 타고 있던 아이가 앞으로 튕겨져 나간다. 그러자 남성은 바닥에 떨어진 아이를 즉시 끌어안으며 다친 곳이 없는지 살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해당 언론에 따르면 놀랍게도 아이는 큰 상처 없이 치명적인 사고를 극적으로 피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사진·영상=Ibrahim köroğlu 문성호 기자 sungho@seoul.co.kr
  • 버스와 전력질주 대결한 남성, 결과는?

    버스와 전력질주 대결한 남성, 결과는?

    한 스웨덴 남성이 버스와의 전력 질주 대결을 펼쳐 화제가 되고 있다. 스웨덴에서 시스템 개발자로 근무하고 있는 그의 이름은 마이클 존슨(28). 미국의 전설적인 육상 영웅 마이클 존슨과 동명이인인 그는 “매일 회사에서 앉아만 있어서 여가시간에는 좀 뛰어보고 싶었다”면서 세 정류장이나 되는 거리를 달려 버스를 따라잡는 조금은 무모해보이는 도전을 감행했다. 영상을 보면, 마이클 존슨이 스웨덴 스톡홀름 외곽 순드뷔베리의 한 정류장에서 버스에 올라탄다. 버스 안에서 달릴 준비를 마친 그는 다음 정류장에서 버스에서 내리더니 전력질주를 시작한다. 도로를 가로지르고 육교와 들판을 지나는 등 약 5분간 숨을 헐떡거리며 페이스를 유지하던 마이클 존슨은 결국 애초 설정해놓은 세 정류장 후 목적지에 다다른다. 목적지에는 때마침 승객들을 태우기 위해 잠시 정차해 있는 버스가 보인다. 마침내 그는 방금 전 내렸던 버스에 다시 올라타며 버스 따라잡기 도전에 성공한다. 영상을 접한 누리꾼들은 “멋진 도전이다”, “육상선수 마이클 존슨이랑 착각했네”라는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지난 12일 유튜브에는 영국의 한 남성이 런던 지하철 순환선 맨션하우스 역에서 캐넌스트리트 역까지 구보로 지하철을 따라잡는 영상이 올라와 조회 수 400만 건 이상을 기록하는 등 누리꾼들의 주목을 끌었다. 버스와 전력질주 대결을 펼친 마이클 존슨도 이 영국 남성의 영상에 감명을 받아 버스 따라잡기에 도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영상=Michael Jönsson/유튜브 김형우 인턴기자 hwkim@seoul.co.kr
  • 900년 전 신비의 바이킹 문자 해독해보니…“키스해줘”

    900년 전 신비의 바이킹 문자 해독해보니…“키스해줘”

    수백 년간 베일 속에 묻혀있던 신비의 문자가 최근 해독돼 네티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온라인 매체 허핑턴 포스트는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 언어학자 요나스 노르디비가 지난 900년 간 수수께끼였던 바이킹 문자 해독에 성공했다고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문자는 일명 ‘Jötunvillur 코드’라 불리며 지난 900년 간 언어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바이킹들이 사용했던 고대 룬 문자로 적혀져있는 이 코드는 특유의 난해성으로 해독이 쉽지 않았다. 최근 오슬로 대학 언어학자이자 룬 문자 해독 전문가인 요나스 노르디비는 스칸디나비아 반도는 물론 유럽 타 지역 룬 문자 형태까지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조합한 끝에 해당 코드를 밝혀내는데 성공했다. 뜻은 생각보다 로맨틱한 “키스해줘”였다. 노르디비는 “기존 룬 문자에서 ‘K’로 발음됐던 문자가 이 코드에서는 ‘Kaun’으로, ‘F’ 발음은 ‘Fe’, ‘E’ 발음은 ‘N’과 같은 방식으로 변형돼 해독이 까다로웠던 것”이라며 “흔히 룬 문자가 심오한 뜻을 담고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렇듯 연애편지가 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룬 문자는 초기 게르만민족이 1세기경부터 사용했던 특수한 문자로 ‘비밀’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유래는 게르만족의 일파인 마르코만니 족이 그리스문자와 북부 에트루리아, 알프스지방의 문자를 합해 변형시켰다는 것이 유력하다. 고트어, 아이슬란드어, 고대 영어 등에 영향을 끼쳤고 주로 비석이나 유물 표면에서 발견된다. 판타지 문학에서는 엘프 등이 사용하는 신비의 언어로 자주 등장하며 J. R. R. 톨킨의 ‘호빗’, ‘반지의 제왕’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해당 코드가 적힌 비문은 독일 보데 박물관과 스웨덴 시그툰 박물관에 나뉘어 전시되어있다. 사진=Jonas Nordby/허핑턴 포스트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5300살 ‘아이스맨 외치’ 진짜 사망원인 알고보니

    5300살 ‘아이스맨 외치’ 진짜 사망원인 알고보니

    5300년된 아이스맨 외치(Ötzi)의 진짜 사망원인이 무엇일까. 독일 과학자들은 외치(Ötzi)의 사인이 치명적인 화살이 아니라 머리의 부상 때문이라고 주장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독일 연구자들이 밝힌 외치의 사인은 2001년 오스트리아 과학자들이 제기한 머리 손상 이론을 재확인 시켜주고 있다. 외치가 1991년 9월 등산을 즐기던 부부에 의해 알프스 빙하속에서 발견된 후 과학자들은 이 아이스맨이 어떻게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국경지대에서 5300년 이상 묻히게 됐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많은 실험을 진행 시켜 왔다. 가장 오래된 미이라 ‘외치’는 발견된 지역명을 따 붙여졌다. 외치는 사망 당시 45살로 추정 됐다. 그의 얼굴, 음식, 옷 과 게놈등이 재구성 됐다. 치명적인 화살이 동맥을 뚫어 그의 어깨에 부상을 입힌 사실이 확인됐다. 위에선 소화가 안된 음식물이 검출돼 그가 매복 기습 공격을 받아 사망 한 것으로 추정했다. 그후 2001년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 대학의 과학자들이 외치의 전신을 컴퓨터 기술을 이용해 스캔했다. 그 결과 미이라의 대뇌 뒷부분에 흑점이 발견됐다.이것으로 볼때 외치가 외부 공격을 맞서 싸우다가 두개골 뒷부분에 일격을 당해 머리 손상을 입은 것으로 판단 했다. 최근 독일 EURAC(the European Academy of Bolzano/Bozen) 연구진은 아이스맨은 머리 충격을 받아 뇌손상을 앓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미생물학자 프랭크 맥시너(Frank Maixner) 동료 과학자 안드레 쏠레이(Andreas Tholey)는 컴퓨터를 이용한 내시경술을 사용해 미이라에서 핀(PIN)머리 크기의 작은 뇌세포 두개를 추출했다.이 샘플의 분석에 프로테옴(proteomes)라고 불리는 복합 단백질 혼합물 연구 방법이 동원됐다.이 연구진은 미이라의 두뇌 조직에서 추출된 단백질과 혈액 세포를 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응고된 혈액을 발견 했다.이 혈액의 응고로 봐서 아이스 맨이 죽기직전 머리의 타박상을 앓았고, 그것으로 그가 사망했다는 결론를 내렸다. 그러나 신석기 시대의 살인 미스터리는 아직까지 명확히 풀리지 않고 있다. 외츠의 뇌 손상이 화살에 맞아 추락해서 발생했는지, 머리 위를 강타 당해서 발생했는지 명확히 밝혀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저널 ‘세포 및 분자 생명과학’(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에 이번 아이스맨 외츠연구의 자세한 분석방법과 결과가 실려 있다. 사진=AP/IVARY 장상옥 기자 007jang@seoul.co.kr
  • 매머드 상아로 만든 4만여년 전 ‘最古 피리’ 발견

    무려 4만년 전 초기 인류가 사용한 피리가 발견됐다. 현재까지 발굴된 악기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초기의 인간들도 피리를 연주하고 노래를 부르는 예술적인 활동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독일 튀빙겐 대학 연구팀은 최근 “슈바벤 지방의 가이센클로스털레(Geißenklösterle) 동굴에서 매머드의 상아와 새의 뼈로 만든 피리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의 분석결과 4만 2000년~4만 3000년 전 것으로 알려진 이 피리는 과거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 피리보다 1만년 이상은 오래돼 역대 최고(最古)의 피리로 평가된다. 연구팀을 이끈 닉 코나드 교수는 “가이센클로스털레 동굴은 이 지역 몇개의 동굴 중 하나” 라면서 “당시 인간의 예술적, 신화적, 음악적 활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샘플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지역이 인간의 이동과 기술적 진화의 중심지라는 가설을 또다시 증명했다.” 면서 “초기 인류가 노래하고 연주하는 예술적 활동의 시기가 이번 발견으로 더 거슬러 올라갔다.”고 설명했다. 이번 피리가 발견된 슈바벤 지방 일대의 동굴에서는 과거 인류의 장신구, 치아, 도구 등 다양한 유물들이 계속 발견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8일 저널 ‘인간진화’(the Journal of Human Evolution)에 게재됐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밤하늘이 초록빛으로” 초절정 신비현상 눈길

    “밤하늘이 초록빛으로” 초절정 신비현상 눈길

    밤하늘을 초록빛으로 물들인 신비한 자연현상이 포착돼 많은 이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영국인 작가 스테판 베터는 두 달 전 아이슬랜드 최대의 빙하호 이외퀼사우를론(Jökulsárlón)에 펼쳐진 거대한 오로라를 사진으로 생생하게 담아냈다. 사진에는 거대한 초록빛 원형이 호수를 품에 끌어안듯 밤하늘에 드리워진 풍경이 담겼다. 또 맑은 호수가 하늘빛을 그대로 반사하는 장면은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이 작품은 ‘별이 빛나는 밤’(A Starry Night)이라는 제목으로 ‘2011 지구와 하늘 사진 콘테스트’에 출품돼 천체풍경 부문에서 우승을 거머쥐었다. 사진은 “초록빛으로 물든 드넓은 호수와 하늘이 동화 같은 아름다움으로 표현됐다.”는 호평을 이끌어냈다. 한편 오로라는 북반구와 남반구 고위도 지방에서 이따금씩 목격되는 현상으로, 태양에서 방출된 대전입자(플라스마)의 일부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 공기분자와 반응해 빛을 내는 것을 이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는 내년은 태양 극대기(Solar Maximum)로 50년 만에 가장 강하게 빛나는 오로라를 목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예견했다. 역대 기록됐던 것 가운데 가장 빛났던 오로라는 1958년 멕시코에서 목격된 것이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강경윤기자 newsluv@seoul.co.kr  
  • [화보] 2011 기네스북 ‘진기명기’ 퍼레이드

    [화보] 2011 기네스북 ‘진기명기’ 퍼레이드

    세계의 진귀한 기록들은 모은 책인 기네스북 2011년판이 17일 영국 현지에서 출간됐다. 기네스북은 1955년 영국에서 처음 출판된 이후 가장 권위있는 세계기록 보유 수단이 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1억1500만부가 팔렸다.   다음은 기네스북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예전 기록을 포함한 최신판으로 ‘현존하는’ 가장 신기한 기록들을 모아봤다.   1.가장 키 작은 남자 올해 스물네살인 콜롬비아 출신의 에드워드 니노 헤르난데스(Edward Nino Hernandez). 몸무게 10kg의 그는 현존하는 성인 남성 중 가장 작은 키 70.21cm다. 하지만 곧 만 18세 성인이 되는 몸무게 4.5kg, 키 56cm인 세계 최단신 청소년 카겐드라 타파 마가르에게 자리를 내줄 것으로 보인다. 2.가장 키 큰 남자. 2009년에 기네스북에 올랐던 터키 앙카라에 사는 술탄 코센(Sultan Kösen). 현존하는 사람 중 가장 큰 그는 신장 246.5cm이다. 3.가장 혀 긴 개 미국 텍사스에 살고 있는 10살짜리 페키니즈 ‘퍼기(Puggy)’. 혀의 길이는 자그만치 11.43cm다. 4.가장 작은 소 영국 북부 웨스트요크셔의 한 농장에 살고 있는 11살짜리 암소 ‘스왈로우’. 이 소는 가장 작은 덱스터종으로 엉덩이까지의 길이가 84cm로 왠만한 양보다 작다. 5.가장 코 큰 남자 터키의 오지 마을 알트빈에 사는 예순한 살의 메멧 오쥬렉(Mehmet Ozyurek)은 코등 길이만 8.78cm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6.가장 많은 스머프 기념품을 모은 사람 영국의 스테판 파키스(Stephen Parkes)는 어린시절부터 스머프 기념품을 모았고, 지난 1월 28일까지 총 1061개를 모아 기네스북에 올랐다. 7.가장 긴 오이 영국 옥스퍼드 탬즈에 사는 프랭크 딤모크가 키운 104.78cm 짜리 오이. 8.림보 게임 최고 기록자 미국의 쉬미카 샤를즈(Shemika Charles)는 높이 21.5cm 의 림보를 통과해 2011 기네스북에 올랐다. 9.가장 긴 맥주바 1989년 미국 오하이오주 사우스베스섬 풋인베이에 오픈한 술집 ‘비어 배럴 살롱’에 있는 맥주바는 123.7m로 세상에서 가장 긴 맥주바에 올랐다. 맥주 축제를 위해 건립됐던 이 바에는 맥주 꼭지가 50개가 달려있고, 160석의 좌석이 배치돼 있다. 10.가장 긴 뱀 ‘플루피(Fluffy)’라는 이름의 비단구렁이는 몸 길이는 7.3m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사진=기네스북 공식 홈페이지 서울신문 나우뉴스 윤태희기자 th20022@seoul.co.kr
  • 아이슬란드 화산재, 쇼핑몰서 인기리 판매

    아이슬란드 화산재, 쇼핑몰서 인기리 판매

    유럽의 하늘을 마비시킨 아이슬란드의 화산재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인기상품에 등극했다. 생활용품부터 이색 용품까지 다양한 물품들을 파는 아이슬란드의 온라인 쇼핑몰 ‘nammi.is’의 대표는 화산이 폭발한 에이야프얄라요쿨(Eyjafjallajökull)지역의 화산재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작고 투명한 용기에 든 아이슬란드 화산재 160g의 가격은 3900크로나, 우리 돈으로 약 4만 원 정도다. 이 쇼핑몰의 대표인 소퍼 구스타프슨은 “쇼핑몰을 찾는 사람들의 반응이 엄청났다. 약 60개국에 화산재를 파는데 성공했고, 133개국에서 문의를 해왔다.”면서 “화산재를 팔기 시작한 이후 약 100만 명의 사람들이 쇼핑몰을 다녀갔다.”고 주장했다. 구스타프슨 사장이 화산재를 팔게 된 계기는 화산재를 구해 달라는 한 외국인 수집가의 요청이었다. 화산재를 사겠다는 사람을 만난 뒤 ‘대박 확신’을 갖게 된 그는 곧 문제의 화산 인근에 사는 아버지에게 화산재를 모아달라고 부탁하고, 곧장 배송을 시작했다. 그는 쇼핑몰에 “엄청난 항공대란을 일으킨 이 화산재는 역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면서 “화산재를 판매금은 피해를 입은 화산 인근 주민들에게 기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쇼핑몰 캡처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import'http://intranet.sharptravel.co.kr/INTRANET_COM/worldcup.css';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