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
    2025-07-07
    검색기록 지우기
  • þ
    2025-07-07
    검색기록 지우기
  • ռ
    2025-07-07
    검색기록 지우기
  • JTBC
    2025-07-0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46
  • 선명한 사진으로 공개된 신비한 ‘타이탄의 바다’

    선명한 사진으로 공개된 신비한 ‘타이탄의 바다’

    태양계 내에서 가장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꼽혀온 타이탄의 바다 모습을 담은 선명한 사진이 공개됐다. 최근 미국 칼텍 공대 카시니호 레이더팀 안토니 루카스 박사는 과거 공개된 사진보다 훨씬 선명한 타이탄 바다의 모습을 언론에 공개했다. 이 사진은 과거 미 항공우주국(NASA)의 카시니호(號)가 촬영한 사진을 새로운 기술로 보정한 것이다. 사진 속 바다는 타이탄에서 두 번째로 큰 ‘리지아 바다’(Ligeia Mare). 한 눈에 보기에도 과거보다 훨씬 선명한 화질을 갖게된 것은 프랑스 연구팀이 개발한 소위 '얼룩제거'(despeckling) 기술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 기술은 이미지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는 카시니가 무선전파를 타이탄에 반사시켜 그 표면을 이미지화 하는 것과 관계가 깊다. 루카스 박사는 "반점 만한 노이즈 하나라도 사진 판독에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면서 "이 기술은 장차 타이탄을 탐사하는데 있어 중요하고 정확한 자료를 얻는데 도움을 줄 것" 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들어 타이탄은 언론의 주목을 듬뿍받고 있다. NASA 측이 본격적으로 타이탄 탐사에 대한 청사진을 공개했기 때문이다. 최근 NASA는 “오는 2040년 내에 타이탄에 1톤 규모의 잠수함을 실은 로켓을 발사할 계획을 갖고있다”고 발표했다. 마치 SF영화에서나 볼 법한 이같은 프로젝트는 제법 현실성이 높다. NASA는 이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실제 타이탄을 누빌 ‘우주 잠수함’ 의 콘셉트 디자인도 함께 공개했기 때문이다. 커다란 안테나가 장착된 이 잠수함은 자체 추진체로 초당 1m를 운행하며 -179 °C를 견딜 수 있게 설계됐다.   그렇다면 왜 NASA는 현재 화성에서 탐사 중인 큐리오시티같은 로버에 만족하지 못하고 타이탄에 잠수함까지 보내는 것일까? 이는 타이탄의 ‘특별함’ 때문이다. 그간 타이탄을 탐사해 온 카시니의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타이탄 표면에는 ‘리지아 바다’를 포함 서로 분리된 3개의 바다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타이탄의 바다는 물로 이루어진 지구와는 달리 액체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같은 특성 때문에 태양계의 어떤 천체보다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주목 받아왔다. NASA 측은 “잠수함의 탐사지는 타이탄에서 가장 큰 ‘크라켄 바다’(Kraken Mare)로 깊이가 대략 300m로 추정된다” 면서 “전기 추진 방식으로 90일 이상 바닷속을 샅샅이 조사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 한편 토성의 최대 위성인 타이탄은 위성으로는 특이하게 대기가 있으며, 이 성질이 원시지구의 대기와 유사해 지구 생명 탄생의 비밀을 풀어줄 열쇠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와우! 과학] 맛있는 팝콘은 왜 튀길때 ‘팡 팡~’ 소리를 낼까?

    [와우! 과학] 맛있는 팝콘은 왜 튀길때 ‘팡 팡~’ 소리를 낼까?

    왜 연구를 했는지 모를 재미있는 연구결과 나왔다. 최근 프랑스 최고 엘리트 교육기관인 에콜 폴리테크니크 출신의 두 공학자가 팝콘에 대한 흥미로운 논문을 내놔 관심을 끌고있다. 우리가 흔히 즐기는 팝콘을 열역학, 생체역학, 음향학적 관점에서 분석한 이 연구는 어떻게 옥수수 알갱이가 '팡' 소리를 내면서 화려한 팝콘으로 '변신' 하는지를 분석했다. 먼저 연구팀은 옥수수 알갱이의 변신을 지켜보기 위해 초당 2900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는 초고속 카메라를 설치했다. 이후 연구팀은 본격적으로 팝콘 만들기에 들어갔다. 먼저 옥수수 알갱이의 변신은 온도가 100°C에 달했을 때 일어났다. 알갱이 내부의 습기가 증기로 기화되기 시작한 것. 이후 온도가 180°C에 달하자 2번째 변신이 시작됐다. 대기의 10배에 달하는 압력을 견디지 못한 알갱이의 껍질이 터진 것. 그러나 맛있는 팝콘으로의 진화는 이제 시작 단계다. 그 다음 알갱이 내부 전분 성분이 팽창해 마치 사람 다리처럼 몸체에서 삐죽 튀어나오고 그와 동시에 수증기가 방출되면서 '팡' 하는 소리를 낸다. 이후 그 힘으로 공중에서 회전한 알갱이는 완벽한 팝콘으로 변신한다. 물론 이는 눈 깜짝할 새인 90밀리세컨드(참고로 millisecond=1000분의 1초) 내에 일어난 일이다. 연구를 이끈 엠마뉴엘 비오트 박사는 "팝콘에는 흥미로운 물리학적 법칙이 숨어있다" 면서 "옥수수 알갱이의 임계 온도는 180°C로 이는 크기와 모양과는 상관없다" 고 밝혔다.이어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팡' 소리를 내는 방식인데 이는 수증기 때문이지 팝콘의 독특한 점프 자체와는 상관없다" 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 왕립학회 학술지인 ‘로열소사이어티 인터페이스 저널’(Journal of the Royal Society Interface)에 발표됐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NASA 토성 위성 ‘타이탄’ 바다에 ‘잠수함’ 보낸다

    NASA 토성 위성 ‘타이탄’ 바다에 ‘잠수함’ 보낸다

    미 항공우주국(NASA)이 토성의 위성 '타이탄'(Titan)에 잠수함을 보내는 '꿈' 같은 계획을 밝혀 관심을 끌고있다. 최근 NASA 측은 "오는 2040년 내에 타이탄에 1톤 규모의 잠수함을 실은 로켓을 발사할 계획을 갖고있다"고 발표했다. 마치 SF영화에서나 볼 법한 이같은 프로젝트는 그러나 제법 현실성이 높다. NASA는 이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실제 타이탄을 누빌 '우주 잠수함' 의 콘셉트 디자인도 함께 공개했기 때문이다. 커다란 안테나가 장착된 이 잠수함은 자체 추진체로 초당 1m를 운행하며 -179 °C를 견딜 수 있게 설계됐다.   그렇다면 왜 NASA는 현재 화성에서 탐사 중인 큐리오시티같은 로버에 만족하지 못하고 타이탄에 잠수함까지 보내는 것일까? 이는 타이탄의 '특별함' 때문이다. 그간 타이탄을 탐사해 온 카시니호(號)의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타이탄 표면에는 서로 분리된 3개의 바다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타이탄의 바다는 물로 이루어진 지구와는 달리 액체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같은 특성 때문에 태양계의 어떤 천체보다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주목 받아왔다. NASA 측은 "잠수함의 탐사지는 타이탄에서 가장 큰 ‘크라켄 바다’(Kraken Mare)로 깊이가 대략 300m로 추정된다" 면서 "전기 추진 방식으로 90일 이상 바닷속을 샅샅이 조사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 한편 토성의 최대 위성인 타이탄은 위성으로는 특이하게 대기가 있으며, 이 성질이 원시지구의 대기와 유사해 지구 생명 탄생의 비밀을 풀어줄 열쇠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신비한 타이탄의 호수가 어떻게 생성되었는지, 오늘날까지 어떻게 존재하는 지는 지금까지도 밝혀진 바 없어 타이탄은 우주 생물학자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천체 중 하나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인류 만든 ‘최초의 세포’, 달에 묻혀있을 가능성 높다”

    “인류 만든 ‘최초의 세포’, 달에 묻혀있을 가능성 높다”

    지구에서 생명을 탄생시킨 초기의 세포들이 달에까지 날아가 땅 속에 묻혀 있을 수 있다는 놀라운 가설이 영국 과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어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고 30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이 보도했다. 과학자들은 생명의 기원이 달의 고대 용암류 아래 묻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세포 분자가 달에까지 날아간 것은 후기 소행성 대포격 시대에 지구 물질들이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면서 그 일부가 달에 안착했을 거라는 추론에 근거하고 있다. 이 같은 주장은 화성의 암석이 지구에서 발견되는 사례에 비추어보았을 때 충분한 개연성이 있는 가설로 평가받고 있다. "지구와는 달리 달은 지질학적으로 지난 수십억 년 동안 동면 상태에 있는 거나 마찬가지다. 따라서 생명체 기원의 증거물들이 손상되지 않은 채 보존되고 있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라고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리처드 매튜먼 교수가 밝혔다. 지구상에 생명이 출현한 것은 약 40억 년 전이다. 그러나 지구의 지질학적 기록을 추적할 수 있는 것은 38억 년에 불과하다. 그 이전에 출현했던 세포와 유기분자들은 이른바 판구조론이 말하는 지각이 형성, 이동하는 과정에서 모두 사라지고 말았다. 과학자들이 그 사라진 생명 기원들을 찾고 있는 것은 유기분자가 어떻게 하여 생명으로 진화해갔는가를 알려주는 결정적인 단서들이 그 속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4월, 과학자들은 미생물 화석이 포함된 암석을 우주로 발사해 월면에 충돌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 결과 손상되지 않은 완벽한 화석은 없었지만, 복구 가능성이 높아 과학자들에게 여전히 희망을 안겨주었다. 어쨌든 최근의 연구는 이러한 미생물 화석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에 이르렀으며, 과학자들은 그 화석들이 달에서 얼마나 오래 보존될 수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달의 용암류가 그러한 화석을 오래 보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매튜먼 교수는 밝혔다. 임페리얼 칼리지 연구진은 달 표면의 토양 성분과 비슷한 광물질인 JCS-1을 첨가해서, 단순한 형태의 유기 화합물과 복합 탄수화물 중합체를 진공 속에서 700°C까지 가열해보았다. JCS-1이 없을 경우에는 유기물질들이 파괴되었지만, JCS-1을 첨가했을 때는 고열에서도 파괴되지 않는다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 어쨌든 지금까지 달에서 지구 운석을 발견한 사례는 없다. 그러나 달의 응고된 용암류 아래에서 지구 운석을 발견할 수만 있다면 최초의 생명체 존재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매튜먼 교수는 자신감을 표한다. 이광식 통신원 joand999@naver.com
  • [아하! 우주] “’인류 최초 세포’, 달 용암속에 묻혀 있다”

    [아하! 우주] “’인류 최초 세포’, 달 용암속에 묻혀 있다”

    지구에서 생명을 탄생시킨 초기의 세포들이 달에까지 날아가 땅 속에 묻혀 있을 수 있다는 놀라운 가설이 영국 과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어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고 30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이 보도했다. 과학자들은 생명의 기원이 달의 고대 용암류 아래 묻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세포 분자가 달에까지 날아간 것은 후기 소행성 대포격 시대에 지구 물질들이 우주 공간으로 방출되면서 그 일부가 달에 안착했을 거라는 추론에 근거하고 있다. 이 같은 주장은 화성의 암석이 지구에서 발견되는 사례에 비추어보았을 때 충분한 개연성이 있는 가설로 평가받고 있다. "지구와는 달리 달은 지질학적으로 지난 수십억 년 동안 동면 상태에 있는 거나 마찬가지다. 따라서 생명체 기원의 증거물들이 손상되지 않은 채 보존되고 있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라고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리처드 매튜먼 교수가 밝혔다. 지구상에 생명이 출현한 것은 약 40억 년 전이다. 그러나 지구의 지질학적 기록을 추적할 수 있는 것은 38억 년에 불과하다. 그 이전에 출현했던 세포와 유기분자들은 이른바 판구조론이 말하는 지각이 형성, 이동하는 과정에서 모두 사라지고 말았다. 과학자들이 그 사라진 생명 기원들을 찾고 있는 것은 유기분자가 어떻게 하여 생명으로 진화해갔는가를 알려주는 결정적인 단서들이 그 속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4월, 과학자들은 미생물 화석이 포함된 암석을 우주로 발사해 월면에 충돌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 결과 손상되지 않은 완벽한 화석은 없었지만, 복구 가능성이 높아 과학자들에게 여전히 희망을 안겨주었다. 어쨌든 최근의 연구는 이러한 미생물 화석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에 이르렀으며, 과학자들은 그 화석들이 달에서 얼마나 오래 보존될 수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달의 용암류가 그러한 화석을 오래 보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매튜먼 교수는 밝혔다. 임페리얼 칼리지 연구진은 달 표면의 토양 성분과 비슷한 광물질인 JCS-1을 첨가해서, 단순한 형태의 유기 화합물과 복합 탄수화물 중합체를 진공 속에서 700°C까지 가열해보았다. JCS-1이 없을 경우에는 유기물질들이 파괴되었지만, JCS-1을 첨가했을 때는 고열에서도 파괴되지 않는다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 어쨌든 지금까지 달에서 지구 운석을 발견한 사례는 없다. 그러나 달의 응고된 용암류 아래에서 지구 운석을 발견할 수만 있다면 최초의 생명체 존재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매튜먼 교수는 자신감을 표한다. 이광식 통신원 joand999@naver.com
  • 금성 대기에 비행선 띄워 ‘하늘 도시’ 건설 계획 (NASA)

    금성 대기에 비행선 띄워 ‘하늘 도시’ 건설 계획 (NASA)

    인류의 과학은 어찌보면 모두 허무맹랑한 '상상'에서 시작되는 것 같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NASA)이 지구와 가장 인접한 행성인 금성에 인류의 정착지를 만드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공개해 관심을 끌고있다. '하복'(High Altitude Venus Operational Concept·HAVOC)이라고 명명된 이 프로그램은 아직 콘셉트 단계로 구체적인 개발 방식과 일정 등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상상에서 시작해 현실로 이어지는 과거의 사례에 비추어 본다면 이 또한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태양에서 2번째 위치한 금성은 표면온도가 평균 462℃에 이를만큼 뜨거워 사람은 커녕 미생물도 살기 힘든 조건이다. 그러나 하늘 위로 올라가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약 50km 상공 위의 금성은 지구보다 약간 중력이 낮은 수준이며 온도 역시 75°C 정도로 같은 위치의 지구 최고 온도보다 17°C 더 뜨겁다. 또한 두터운 대기 덕분에 방사능 수치 역시 지구처럼 낮은 편이라는 것이 NASA측의 설명. NASA는 이 금성 대기에 태양열로 발전하는 비행선을 띄워 장기적으로 인류가 거주하는 일종의 '하늘 도시'를 만들 계획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지구와 같은 헬륨으로 가득한 비행선을 금성 대기에 띄울 수 있을까? 방법은 어찌보면 간단(?)하다. 먼저 특수 제작된 우주선을 금성으로 발사해 대기에 진입하면 선체에 설치된 낙하산이 펴진다. 이후 선체 내부에 장착된 외피가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면서 129m에 달하는 비행선으로 변신한다. 현재까지는 동영상으로만 제작된 정도지만 큰 기술적 장애는 없어보인다. NASA 측 관계자는 "만약 이 프로그램의 예산안이 통과된다면 최초 무인탐사선을 보내 기본적인 환경을 조사할 것" 이라면서 "이후 2명의 우주비행사가 30일, 이후 1년 등 기간을 늘려가면서 금성 하늘 위에 인류 거주지를 만들 것" 이라고 밝혔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화성 꿈 이룰 ‘오리온’이 포착한 ‘격동의 지구’ 모습

    화성 꿈 이룰 ‘오리온’이 포착한 ‘격동의 지구’ 모습

    지난 5일(이하 현지시간) 시험 발사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무사히 지구로 귀환한 미국의 차세대 우주선 ‘오리온’이 자체 촬영한 이미지가 공개됐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같은날 오리온의 발사 순간부터 최고 고도 5800㎞ 상공까지 치솟은 후 지구 대기로 재진입하는 다양한 순간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들은 모두 오리온에 자체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된 것으로 만약 실제 우주인이 탑승했다면 직접 볼 수도 있는 장면이다. 여러 사진 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지구 대기에 강력한 화염이 일고있는 장면을 포착한 것이다. 오리온은 무려 3만 2000km/h 속도로 2,200°C의 열을 뚫고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만약 오리온에 우주인이 탔다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다녀온 소유즈 우주선의 거의 2배에 달하는 8.2의 중력 가속도를 경험했을 것이라는 것이 NASA 측의 설명. 이날 오리온은 델타 Ⅳ 로켓에 실려 플로리다 주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됐다. 발사 4분 뒤 성공적으로 로켓을 분리한 오리온은 3시간 만에 목표로 설정한 5800㎞ 상공에 도달한 후 약 4시간 30분 만에 멕시코 서부 바하 칼리포르니아 해안에서 600마일 떨어진 해상에 무사히 안착했다. 미 언론 뿐 아니라 세계에서 오리온 발사에 주목하는 이유는 이 우주선이 인류의 화성 정복 꿈을 실현할 희망이기 때문이다. 오리온의 정식 명칭은 오리온 다목적 유인우주선(Multi-Purpose Crew Vehicle)으로 달과 소행성은 물론 화성 탐사를 목적으로 개발됐다. 외형만 보면 과거 아폴로 우주선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점과 발사과정 중 문제가 발생하면 우주인을 보호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이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찰스 볼든 NASA 국장은 발사 직후 “오리온의 유인 우주선 계획에 한 발짝 다가갔다”며 “화성 시대의 첫날이 시작됐다”며 기뻐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시험발사 성공 ‘오리온’ 지구 촬영 이미지 공개

    시험발사 성공 ‘오리온’ 지구 촬영 이미지 공개

    지난 5일(이하 현지시간) 시험 발사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무사히 지구로 귀환한 미국의 차세대 우주선 ‘오리온’이 자체 촬영한 이미지가 공개됐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같은날 오리온의 발사 순간부터 최고 고도 5800㎞ 상공까지 치솟은 후 지구 대기로 재진입하는 다양한 순간을 담은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들은 모두 오리온에 자체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된 것으로 만약 실제 우주인이 탑승했다면 직접 볼 수도 있는 장면이다. 여러 사진 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지구 대기에 강력한 화염이 일고있는 장면을 포착한 것이다. 오리온은 무려 3만 2000km/h 속도로 2,200°C의 열을 뚫고 다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만약 오리온에 우주인이 탔다면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다녀온 소유즈 우주선의 거의 2배에 달하는 8.2의 중력 가속도를 경험했을 것이라는 것이 NASA 측의 설명. 이날 오리온은 델타 Ⅳ 로켓에 실려 플로리다 주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됐다. 발사 4분 뒤 성공적으로 로켓을 분리한 오리온은 3시간 만에 목표로 설정한 5800㎞ 상공에 도달한 후 약 4시간 30분 만에 멕시코 서부 바하 칼리포르니아 해안에서 600마일 떨어진 해상에 무사히 안착했다. 미 언론 뿐 아니라 세계에서 오리온 발사에 주목하는 이유는 이 우주선이 인류의 화성 정복 꿈을 실현할 희망이기 때문이다. 오리온의 정식 명칭은 오리온 다목적 유인우주선(Multi-Purpose Crew Vehicle)으로 달과 소행성은 물론 화성 탐사를 목적으로 개발됐다. 외형만 보면 과거 아폴로 우주선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점과 발사과정 중 문제가 발생하면 우주인을 보호하는 비상 탈출 시스템이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찰스 볼든 NASA 국장은 발사 직후 “오리온의 유인 우주선 계획에 한 발짝 다가갔다”며 “화성 시대의 첫날이 시작됐다”며 기뻐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 ‘미소천사’ 정일우, 발리서 따뜻함 품은 댄디보이의 ‘그윽한 눈빛’

    ‘미소천사’ 정일우, 발리서 따뜻함 품은 댄디보이의 ‘그윽한 눈빛’

    배우 정일우(28)가 bnt뉴스와 함께한 발리 화보를 공개했다. 발리 물리아 리조트에서 진행된 이번 촬영은 정일우의 하루 속 자연스러운 모습을 담고 있다. 국내의 추운 날씨와 상반되는 따뜻함을 가득 품고 있는 이번 발리 화보는 찬바람 부는 추위에 지친 팬들에게 따뜻한 선물이 된 것. 정일우는 네추럴한 올블랙 니트 의상을 입고 강렬한 레드컬러의 스포츠카에 탄 채 당장이라도 여행을 떠나고 싶게 만드는 자유로움을 연출하는가 하며 룸 내부에서 진행된 촬영에서는 보다 좋은 화보를 위해 상의탈의를 하는 등 화보에 대한 진지한 태도와 함께 은근한 섹시미를 발산하기도 했다. 또한 댄디한 슈트를 입고 카리스마 있는 눈빛으로 카메라를 응시하며 내면의 깊은 감정을 표현해 현장 스태프들로부터 찬사를 받았다는 후문이다. 35°를 웃도는 현지의 무더운 날씨에 진행된 장시간 촬영에 지칠 법도 한데 시종일관 웃는 얼굴로 촬영에 임한 정일우. 사진작가와 콘셉트를 상의하고 장소와 의상에 맞는 다양한 포즈를 연출해내 “역시 정일우”라는 감탄을 자아내기도. 발리 물리아리조트를 비롯해 게와카 파크, 울루 와투 사원 등 다양한 곳에서 진행된 화보에 어느 장소가 가장 기억에 남는지 묻자 “울루 와투 사원에서 촬영할 때 석양이 졌는데, 그 모습이 너무 예뻐서 기억에 남아요. 분위기도 너무 좋고~”이어 “너무 예뻐서 (팬들에게) 보여주고 싶었어요(웃음)”라며 SNS에 올린 절벽 영상을 보여주는 모습에 영락없는 ‘팬바보’의 면모를 드러냈다. 또한 ‘꽃보다 누나’에 출연하고 싶다는 말에 이유를 묻자 “선배님들과는 드라마나 작품 할 때 뵈는 게 다예요. 촬영장 이외에서 개인적으로 만날 기회가 많지 않죠. ‘꽃보다 시리즈’처럼 선배님들과 동행하며 많은 얘기도 나누고 배우고 싶어서 참여해보고 싶더라고요. 인생 이야기도 배우고 연기에 대해서 조언도 구하고. 오랫동안 가슴에 남을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 같아요”라며 뜻깊은 생각을 전하기도. 한편 정일우의 화보와 함께 진행된 인터뷰는 [스타들의 수다] 25편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아하! 우주] 목성의 거대한 뽀루지 ‘대적점’ 미스터리 풀렸다!

    [아하! 우주] 목성의 거대한 뽀루지 ‘대적점’ 미스터리 풀렸다!

    나사(NASA)의 전문가들은 목성의 대적점(목성의 남위 20°부근 붉은색으로 보이는 타원형의 긴 반점)은 목성 상층부 대기가 햇빛에 의해 분해된 단순 화학물질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즉 쉽게 말해 '햇빛에 탄 부분'이라는 이 같은 결론은 목성 대적점의 근원에 대한 기존의 학설, 곧 대적점의 붉은 화학물질은 '목성 구름층 아래에서 나온 것'이라는 이론을 뒤집는 것이다. 나사 제트추진연구소 카시니팀의 켈빈 베인즈 박사는 "우리 모델이 보여주는 바로는 실제로 대적점의 대부분은 붉은색을 띤 물질로 된 상층부 구름 아래의 연한 색깔"이며 "햇빛을 받아 붉어 보이는 그 아래쪽의 구름은 사실 흰색이거나 회색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베인즈와 그의 동료 과학자 밥 칼슨, 탐 모머리는 2000년 카시니 호가 목성의 중력 보조 비행을 할 때 보내온 데이터와 일련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이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이들은 실험실에서 암모니아와 아세틸렌 가스(목성 구름 성분)에 자외선을 쬔 가운데 폭발하는 실험을 했다. 자외선 조사는 태양이 목성 최상층부 구름에 미치는 효과를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서였다. 그 결과 붉은빛을 띤 물질이 생성되었다. 과학자들은 이것을 가지고 카시니의 가시광 및 적외선 분광기(VIMS)가 보내온 대적점 데이터와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그들이 조작해낸 붉은 물질과 대적점의 물질이 똑같은 빛의 산란 현상을 보임으로써 그들의 대적점 모델이 정확함을 입증했다. 목성 대적점은 붉은빛을 띤 물질이 구름의 최상층부에서 거대한 사이클론 같은 형태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판명된 것이다. 구름의 상층부에 나타나는 이 붉은색 매개물 이론은 구름의 심층부에서 생성된 화학물질이 대적점의 원인이라고 보는 기존의 학설을 부정하는 것이다. 만약 붉은 물질이 아래로부터 위로 이동한다면 그것은 분명 다른 고도에서 더욱 붉게 보일 게 틀림없다. 목성은 거의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행성으로 다른 원소는 극소량이 있을 뿐이다. 그런 목성이 대체 어떤 원소의 결합으로 목성 구름 같은 색깔을 만들어내는지 과학자들은 크게 궁금해하고 있다. 그 원인을 알게 되면 거대 행성인 목성의 생성 비밀을 뚜렷이 밝혀낼 수도 있을 거라고 그들은 믿고 있다. 목성은 세 개층의 구름으로 둘러싸여 있다. 가장 높은 고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부터 말하자면 암모니아, 암모니아 수황화물, 그리고 물 구름이다. 진한 붉은색이 대적점과 기타 조그만 점들에서만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는 고도가 그 해답의 열쇠를 갖고 있을 거라고 과학자들은 생각하고 있다. "대적점이 특히 엄청나게 크죠" 하고 베인즈가 설명한다. '대적점의 구름이 다른 어떤 구름보다 고도가 높습니다.' 연구자들은 대적점의 높은 고도가 붉은 색조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바람이 암모니아 얼음 알갱이들을 대기권 상층부로 불어 올리면 알갱이들은 태양의 자외선에 더욱 많이 노출되는 것이다. 더욱이 대적점의 소용돌이가 얼음 알갱이들의 탈출을 막음으로써 대적점의 구름 상층부는 비정상적으로 진한 붉은 색조를 띠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목성의 다른 부분은 오렌지색과 갈색, 어두운 적색이 뒤섞인 팔레트처럼 보인다. 목성 상공에는 밝고 엷은 구름이 덮인 부분이 있는데, 그 구름을 통해서 보면 대기층 깊숙이 더욱 다채로운 물질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고 베인즈는 밝힌다. 목성의 대적점은 격렬한 폭풍의 일종이다. 태양계에서 가장 큰 이 폭풍의 눈은 옅은 노란색과 오렌지색, 흰색의 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폭풍권 안에서 부는 바람의 속도는 시간당 수백 마일에 달한다고 나사의 과학자는 말한다. 사진= 위에서부터 목성의 대적점은 지구 크기의 두 배다. 북미대륙을 대적점 옆에다 놓으면 껌딱지처럼 보인다. 두번째 사진은 목성의 대적점만 포착한 모습. 목성 상층부 대기가 햇빛에 의해 분해된 단순 화학물질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광식 통신원 joand999@naver.com
  • 발밑은 2154m 절벽…세계서 가장 위험한 ‘등산로’ 화제

    발밑은 2154m 절벽…세계서 가장 위험한 ‘등산로’ 화제

    발 한번 잘못 내딛으면 2000m가 넘는 낭떠러지로 추락하는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등산코스 영상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은 스릴을 즐기는 한 산악전문가가 촬영한 중국 화산(Hua Shan Mountain)의 아찔한 등반코스를 2일(현지시간) 소개했다. 계단이라고 부르기가 민망할 정도로 90° 수직에 가까운 철제계단을 아슬아슬하게 오른다. 그 다음에는 코앞에 거대바위가 나타나며 길이 끊긴다. 어디로 가야하나? 고민하는 사이 카메라는 폭이 불과 발 하나 간신히 놓을만한 공간의 판자가 오밀조밀 연결된 좌측 길을 비춘다. 놀랍게도 해당 코스는 판자 외에 추락을 방지할 어떤 버팀목도 없다. 바위벽에 박혀있는 체인로프에 몸을 묶고 이동하면 되지만 발 한번 잘못 내딛으면 2000m 절벽에 대롱대롱 매달려야하는 상황이 그리 유쾌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해당 구간은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등반코스 중 하나인 화산의 장공잔도(長空棧道)다. 이 영상은 산악 전문 하이커, 에릭 테스크에 의해 촬영된 것이다. 그는 해발 2154m에 달하는 중국 화산의 각종 아찔한 등산코스를 모두 카메라 안에 담았다. 특히 장공잔도를 걸으며 “몸이 줄에 묶여있는데 뭐가 무섭나?”라며 펄쩍펄쩍 뛰는 모습은 보는 이들의 가슴을 섬뜩하게 만든다. 한편, 중국 화산은 시안(西安)과 정저우(鄭州)의 중간지점인 화인 시(华阴市)에 위치하며 친링 산맥(秦嶺山脈)의 한 줄기다. 최대높이는 2437m의 바위산으로 산세가 매우 험악해 중국 5대 거악(巨嶽)에 꼽힌다. 가장 험한 지형은 영상 속에 등장했던 장공잔도(長空棧道)로 이곳은 화산 남봉의 산허리를 뚫어 만든 약 100m 구간으로 등반 필수코스는 아니다. 하지만 스릴을 맞보고 싶은 용감한 등산객들의 도전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중이다.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금융 특집] 신한카드

    [금융 특집] 신한카드

    2200만명 고객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가 비슷한 남녀 각각 9개씩 고객 중심의 상품 개발 체계를 보유한 신한카드가 실용적인 직장인을 위한 신용카드 23.5°와 체크카드인 S-Line체크를 출시했다. 23.5°는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다. 자전축이 기울어져 많은 자연현상의 변화가 일어나듯 젊은 세대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했다. 전월 이용한도, 적립한도 등의 제한이 없어 새롭고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많은 사회 초년생, 감각적 소비와 호기심이 많은 여성에게 적합하다. 커피전문점, 편의점 등 생활 친화 가맹점에서 쓴 금액에 대해 1%를 포인트로 적립해 주고 3개월 이상 일정 금액 이상을 쓰면 포인트를 추가 적립해 준다. 후불교통카드 기능도 있어 교통요금에 대해 하루에 200원씩 할인해 준다. S-Line체크는 합리적 가격을 중시하며 계획적 소비를 즐기는 합리적 소비군과 여가를 즐기는 전문직 독신 여성을 위한 상품이다. 포인트 적립과 할인 서비스를 강화했다. 전월 이용금액이 30만원 이상이면 모든 가맹점에서 포인트를 0.2%, 3개월 이상 연속 50만원을 이용하면 0.5%씩 적립해 준다. 후불교통카드를 선택하면 월 최대 5000원까지 이용금액의 5%가 할인된다. 신한은행, 신한금융투자 등 신한금융그룹의 다른 서비스를 받을 때도 혜택이 제공된다.
  • 한 겹만 입어도 따뜻…히터 내장 ‘난방 셔츠’ 개발

    한 겹만 입어도 따뜻…히터 내장 ‘난방 셔츠’ 개발

    어느 덧, 10월 중순에 들어서며 쌀쌀해진 날씨만큼 사람들이 껴입는 옷가지 숫자도 늘고 있다. 특히 한 겨울이 되면 내복부터 점퍼까지 거동이 불편할 만큼 많은 옷을 껴입는 경우도 부지기수며 평균기온이 영하 30°에 달하는 강원·경기도 전방부대 군인들은 경계근무 전 핫팩, 손난로 등의 보온 기구를 군복 안에 내장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런 불편함을 해결해줄 기발한 발명품이 등장했다. 타이완 일간지 중시전자보(中时电子报)는 안에 히터가 내장돼 한 겹만 입어도 따뜻함이 유지되는 난방 셔츠 ‘포즈 기어(Podz Gear)’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14일(현지시간) 소개했다. ‘포즈 기어’는 총 6개에 달하는 열화학 주머니가 추위에 민감한 혈관부분 위치에 맞게 장착되어있다. 엉덩이, 어깨, 위장 부분 각각 2개씩에 위치한 이 열화학 주머니는 자체적으로 온열효과를 내 가혹한 추위 속에서도 몸이 따뜻함을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가장 추위에 민감하면서 동시에 순환성이 가장 좋은 위치에 열 주머니가 장착되어있어 이동성과 가벼움 그리고 열 유지 효과는 극대화되는 반면 불편함은 최소화 된 것이 특징이다. 동명의 미국 켄터키 기반 개발업체에 따르면, 해당 열화학 주머니는 슈퍼마켓 등에서 흔히 구매할 수 있는 손난로 등의 보온 기구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바깥에서 이 셔츠를 입을 때는 열화학 주머니를 30분간 사용 후 최소 5분간 빼 놨다가 다시 사용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는 셔츠가 고온으로 망가지거나 인체에 해를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피부가 민감할 경우는 지속시간을 줄이는 것이 좋다고 업체는 권장한다. 현재 해당 제품은 소셜 펀딩 사이트 킥 스타터를 통해 초기 생산 및 유통자금을 유치 중이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주문이 가능하다. 가격은 74.95달러(약 7만 9천원)다. 사진·영상=Podz Gear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샤넬, 뮤즈 지젤번천과 함께한 N°5 새 광고 영상 선봬

    샤넬, 뮤즈 지젤번천과 함께한 N°5 새 광고 영상 선봬

    마를린 몬로, 까뜨린느 드뇌브, 캐롤 부캐, 니콜 키드먼 등의 뒤를 이어 N°5 의 새로운 모델로 선정된 슈퍼 모델 지젤 번천(Gisele Bündchen)이 출연해 눈길을 모으는 이 광고는 영화 감독 바즈 루어만(Baz Luhrmann)이 제작, 각본, 감독을 맡았으며, 프로덕션 디자인은 오스카상 수상자인 캐서린 마틴(Catherine Martin)이 담당해 환상적인 영상을 만들어 자랑한다. 특히 바즈 루어만 감독은 2004년 니콜 키드먼이 출연한 N°5 광고 영상을 제작한 감독으로, 리들리 스콧, 뤽 베송, 장 피에르 주네 등 위대한 감독들의 뒤를 이어 역대급 N°5 광고를 탄생시켰다. 이번 새로운 단원에서는 향수 그 자체를 뛰어넘는 N°5의 스토리가 전개된다. 10년 전 N°5는 구속에서 벗어나 현실로 돌아오고자 하는 여성의 향수로 묘사된 반면 오늘날에는 바즈 루어만의 시각을 통해 자신, 가족, 커리어, 사랑 이 모든 것에 시간을 할애하기 위해 노력하는 현대 여성의 스토리를 담아냈다. 감독은 “샤넬 여성은 해변에서 혼자 시간을 보내거나 혹은 아이와 함께 있을 수도 있거나 야심차고 만족스러운 커리어를 가짐과 동시에 진실된 관계와 로맨스를 누릴 수 있다. 그리고 결국에 샤넬 여성은 사랑을 택하게 된다”고 전한다. 영상의 주인공이자 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향수, 샤넬 N°5는 1921년 코코 샤넬이 천재 조향사 에르네스트 보(Ernest Beaux)에게 현대 여성성에 대한 자신의 비전을 담은 향수의 제작을 부탁하며 탄생하게 되었다. 샤넬 N°5라는 전설적인 이름은 샤넬 여사에게 5가 행운의 숫자임과 동시에 이 향수가 제작 당시 시제품 중 다섯 번째였기에 더욱 큰 의미를 갖는다. 한편, 이 영상은 CHANEL 공식 웹사이트 및 SNS, 그리고 유튜브 (http://www.youtube.com/embed/8asRWe5XNw8?rel=0) 등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한 겹만 입어도 추위 걱정無…히터 내장 ‘난방 셔츠’ 등장

    한 겹만 입어도 추위 걱정無…히터 내장 ‘난방 셔츠’ 등장

    어느 덧, 10월 중순에 들어서며 쌀쌀해진 날씨만큼 사람들이 껴입는 옷가지 숫자도 늘고 있다. 특히 한 겨울이 되면 내복부터 점퍼까지 거동이 불편할 만큼 많은 옷을 껴입는 경우도 부지기수며 평균기온이 영하 30°에 달하는 강원·경기도 전방부대 군인들은 경계근무 전 핫팩, 손난로 등의 보온 기구를 군복 안에 내장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런 불편함을 해결해줄 기발한 발명품이 등장했다. 타이완 일간지 중시전자보(中时电子报)는 안에 히터가 내장돼 한 겹만 입어도 따뜻함이 유지되는 난방 셔츠 ‘포즈 기어(Podz Gear)’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14일(현지시간) 소개했다. ‘포즈 기어’는 총 6개에 달하는 열화학 주머니가 추위에 민감한 혈관부분 위치에 맞게 장착되어있다. 엉덩이, 어깨, 위장 부분 각각 2개씩에 위치한 이 열화학 주머니는 자체적으로 온열효과를 내 가혹한 추위 속에서도 몸이 따뜻함을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가장 추위에 민감하면서 동시에 순환성이 가장 좋은 위치에 열 주머니가 장착되어있어 이동성과 가벼움 그리고 열 유지 효과는 극대화되는 반면 불편함은 최소화 된 것이 특징이다. 동명의 미국 켄터키 기반 개발업체에 따르면, 해당 열화학 주머니는 슈퍼마켓 등에서 흔히 구매할 수 있는 손난로 등의 보온 기구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바깥에서 이 셔츠를 입을 때는 열화학 주머니를 30분간 사용 후 최소 5분간 빼 놨다가 다시 사용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는 셔츠가 고온으로 망가지거나 인체에 해를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피부가 민감할 경우는 지속시간을 줄이는 것이 좋다고 업체는 권장한다. 현재 해당 제품은 소셜 펀딩 사이트 킥 스타터를 통해 초기 생산 및 유통자금을 유치 중이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주문이 가능하다. 가격은 74.95달러(약 7만 9천원)다. 사진·영상=Podz Gear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사고예측 땐 자체 조종…‘인공지능 카’ 곧 나온다

    사고예측 땐 자체 조종…‘인공지능 카’ 곧 나온다

    사고 여부를 미리 예측해 자동적으로 운전자를 보호하는 차세대 인공지능 자동차 시스템이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져 화제를 모으고 있다. 미국 자동차 전문 매거진 모터 트렌드는 스웨덴 기반 세계적 자동차 제조업체 볼보(Volvo)사가 사고를 미리 예측해 안전성을 최대화한 차세대 자동차 시스템을 2020년까지 개발 완료할 예정이라고 최근 보도했다. 볼보 측에 따르면, 이는 카메라, GPS(위성항법장치), 레이더가 통합된 컴퓨터 감지 시스템이 차에 내장된 형태로 360°로 회전하며 차의 안과 밖 상황을 수시로 점검한다. 세부적인 작동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주위 교통상황이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자동차 컴퓨터 시스템이 감지하면 스스로 핸들을 조종해 안전한 방향으로 자동차를 이동시키거나 브레이크를 자체적으로 동작해 멈춘다. 만일 외부에 화재, 낙석 등이 발생하면 가장 효율적인 탈출경로를 파악해 운전자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해당 자동차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보행자, 자전거를 비롯해 다른 차량들의 움직임까지 파악해 사고가 발생할지, 발생하지 않을지를 5초 내로 분석해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만일 급박한 사고 발생 경고를 전달해도 운전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했다면 자체적으로 대처할 수도 있다. 말 그대로 안전에 특화된 인공지능 자동차 시스템인 것이다. 해당 시스템은 볼보 사에서 추진 중인 무사고 차량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사고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경우의 수를 시나리오화해 시스템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개발 중이다. 볼보 측에 따르면, 이와 유사한 시스템이 이미 볼보 트럭에 적용중이지만 이는 ‘경고성’이 강하며 해당 시스템은 경고에 그치지 않고 자체적으로 회피해내는 동적인 성격이 강하다. 특히 다양한 사고 사례뿐 아니라 운전자 별로 각기 다른 드라이빙 스타일에 대응해내는 기술도 함께 개발 중이다. 볼보 측은 해당 사고 예측 시스템이 장착된 차세대 자동차 생산 시점을 2020년으로 예상 중이다. 사진·영상=Volvo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사고 미리 예측하는 ‘인공지능 車’…10년 내 출시

    사고 미리 예측하는 ‘인공지능 車’…10년 내 출시

    사고 여부를 미리 예측해 자동적으로 운전자를 보호하는 차세대 인공지능 자동차 시스템이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져 화제를 모으고 있다. 미국 자동차 전문 매거진 모터 트렌드는 스웨덴 기반 세계적 자동차 제조업체 볼보(Volvo)사가 사고를 미리 예측해 안전성을 최대화한 차세대 자동차 시스템을 2020년까지 개발 완료할 예정이라고 최근 보도했다. 볼보 측에 따르면, 이는 카메라, GPS(위성항법장치), 레이더가 통합된 컴퓨터 감지 시스템이 차에 내장된 형태로 360°로 회전하며 차의 안과 밖 상황을 수시로 점검한다. 세부적인 작동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주위 교통상황이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자동차 컴퓨터 시스템이 감지하면 스스로 핸들을 조종해 안전한 방향으로 자동차를 이동시키거나 브레이크를 자체적으로 동작해 멈춘다. 만일 외부에 화재, 낙석 등이 발생하면 가장 효율적인 탈출경로를 파악해 운전자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해당 자동차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보행자, 자전거를 비롯해 다른 차량들의 움직임까지 파악해 사고가 발생할지, 발생하지 않을지를 5초 내로 분석해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만일 급박한 사고 발생 경고를 전달해도 운전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했다면 자체적으로 대처할 수도 있다. 말 그대로 안전에 특화된 인공지능 자동차 시스템인 것이다. 해당 시스템은 볼보 사에서 추진 중인 무사고 차량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사고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경우의 수를 시나리오화해 시스템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개발 중이다. 볼보 측에 따르면, 이와 유사한 시스템이 이미 볼보 트럭에 적용중이지만 이는 ‘경고성’이 강하며 해당 시스템은 경고에 그치지 않고 자체적으로 회피해내는 동적인 성격이 강하다. 특히 다양한 사고 사례뿐 아니라 운전자 별로 각기 다른 드라이빙 스타일에 대응해내는 기술도 함께 개발 중이다. 볼보 측은 해당 사고 예측 시스템이 장착된 차세대 자동차 생산 시점을 2020년으로 예상 중이다. 사진·영상=Volvo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왜 물을 만지면 ‘축축함’이 느껴질까? (연구)

    왜 물을 만지면 ‘축축함’이 느껴질까? (연구)

    우리가 물을 만질 때 느껴지는 ‘축축함’은 어떤 작용으로 인해 감각으로 전환되는 것일까? 최근 액체가 피부로 전해질 때 느껴지는 감각을 과학적으로 해석한 연구결과가 나와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의학전문매체 메디컬 엑스프레스는 영국 러프버러 대학, 프랑스 옥실란 연구센터가 피부가 액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온도’와 ‘질감’의 변화가 우리가 평소 느끼는 ‘축축함’으로 나타난다는 견해를 밝혔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진은 남성 실험참가자 13명을 대상으로 각각 차가운 물(25°C), 미지근한 물 (30°C), 따듯한 물(35°C)을 만진 뒤, 느껴지는 습함(축축함) 정도를 보고하게 했다. 참고로 연구진은 실험 중 다양한 변수를 적용했는데 첫째는 참가자들의 혈압을 신경블록요법을 이용해 임의적으로 차단했고, 둘째는 털이 나있는 팔뚝 피부와 털이 없는 손가락 끝 피부에 각각 물을 묻히도록 주문했다. 이는 각기 다른 환경에서 사람들이 물을 어떻게 느끼는지 비교해보기 위해서다. 결과는 흥미로웠다. 사람들은 물 온도가 낮을수록 습함을 더욱 크게 느꼈고 혈압이 차단됐을 때는 물에 덜 민감히 반응했다. 또한 의외로 맨 피부보다는 털이 있는 피부가 더욱 물의 축축함을 강하게 인식했다.연구진들에 따르면, 우리가 물을 만질 때 느껴지는 축축함은 실제가 아닌 ‘지각적 착각(perceptual illusion)’ 작용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우리 뇌가 온도 차이, 피부 질감에 따라 ‘물이란 이런 느낌 일 것’으로 추측해 감각화 시킨다는 것이다. 각 변수에 따라, 참가자들이 물에 대한 감각을 다르게 느꼈다는 실험결과가 이를 뒷받침해준다. 연구진은 “이는 우리 뇌가 물을 만졌을 때 느껴지는 미세한 느낌을 상당히 합리적인 방식으로 추론해 신경세포로 전달해준다는 것을 알려주는 연구결과”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신경생리학 저널(Journal of Neurophysiology)에 발표됐다.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터미네이터 T-1000 현실화…스스로 복구하는 액체금속 개발

    터미네이터 T-1000 현실화…스스로 복구하는 액체금속 개발

    자유자재로 형태를 변화해내는 영화 터미네이터2 속 액체로봇 T-1000을 보고 놀란 것은 주인공 존 코너(에드워드 펄롱 분)뿐 아니라 1991년 당시 일반 관객들도 마찬가지였다. T-1000이 등장하는 영화 속 모든 장면은 컴퓨터그래픽 영상기술을 한 차원 높인 업적으로 전문가들에게 평가받고 있는데 이 놀라운 액체로봇의 구성 물질은 ‘유동금속합금’이라는 가상 소재였다. 그런데 최근 영화에서만 존재했던 ‘유동금속합금’과 매우 흡사한 ‘변형액체금속’이 실제로 개발돼 화제다. 미국 과학전문 온라인매체 Io9.com은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 화학·생체분자학과 연구진이 영화 터미네이터2 속 액체금속과 매우 유사한 ‘변형액체금속(shape-shifting liquid metal)’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진은 금속원소 갈륨(gallium)과 인듐(indium)을 합성해 온도제어에 따라 고체-액체를 넘나드는 액체유동금속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갈륨은 알루미늄과 흡사한 화학적 성질을 지녔지만 녹는점이 낮고(29°C) 물에 침식되지 않으며 공기 중에서 안정성을 유지하며 인듐은 상온에서 안정을 유지하는 고체금속 중 가장 연해(칼로 자를 수 있을 정도)를 자유자재로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는데, 연구진은 이런 두 가지 금속의 각기 다른 성질을 규합해 영화 속에나 볼법한 특수합금을 제작해냈다. 이 변형금속은 평상 시 온도에서는 단단한 구 형태를 유지하나 1볼트 미만의 낮은 전압을 가해주면 즉시 액체처럼 변화하는데 이는 해당 합금이 전압에 따라 변화하는 표면장력을 지녔기 때문이다. 연구진이 공개한 영상을 보면 이런 특징이 더욱 뚜렷한데 영화처럼 다양한 공간형태에 무리 없이 침투해내는 액체금속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액체에서 다시 고체로 변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난 7월,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기계공학·응용수학 연구진이 폴리우레탄 발포 고무를 이용한 유동소재를 개발한 바 있지만 이번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 연구진의 ‘액체금속’은 실제 영화 속 T-1000에게 사용된 소재와 매우 유사하다는 측면에서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 화학·생체분자학과 마이클 디키 교수는 “1볼트 미만의 낮은 전압으로 형태 변화를 자유자재로 이끌어낼 수 있는 유동금속의 개발은 무척 놀라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연구진은 이 유동금속이 지금보다 혁신적인 전자회로, 생체의료기기 개발은 물론 실제 T-1000과 같은 액체로봇 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발표됐다. 조우상 기자 wscho@seoul.co.kr
  • ‘토품달’ 28일 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서 만나요

    ‘토품달’ 28일 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서 만나요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사장 김선동) 산하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는 28일 ‘달과 토성의 숨바꼭질’이라는 주제로 ‘2014년 3차 보들 별잔치’를 연다. 이번 행사에서는 정오에 달이 토성을 가리는 엄폐현상을 직접 관측할 수 있다. 달에 의한 토성 엄폐현상은 토성이 달의 공전궤도에 놓임으로써 달 뒤로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천문현상이다. 일식을 ‘해를 품은 달’이라고 표현한다면, 토성 엄폐현상은 ‘토성을 품은 달’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가상 천문대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달과 토성이 만들어내는 이번 엄폐현상은 28일 낮 12시부터 토성이 달 뒤로 숨기 시작해 1분 뒤에는 달 뒤로 완전히 사라진다. 이후 오후 1시 7분부터 달 뒤를 통과한 토성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해, 오후 1시 8분 완전히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예측된다. 달과 토성의 숨바꼭질은 천체망원경을 이용해 집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토성 엄폐현상을 관찰하고 싶다면 오전 11시 59분 전까지 천체망원경을 달에 맞춘 후 달의 중심부 하단을 관찰하면 된다(서울 기준 방위/고도: +129°13′19″/+19°26′13″). 토성이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을 포착하고 싶다면 오후 1시 7분 달의 우측 중앙을 관찰하면 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토성 엄폐현상 관측활동뿐만 아니라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외계행성 연구에 대한 강연도 진행된다. 보들 별잔치 참가비는 무료이며 선착순으로 참가자를 모집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홈페이지(www.nysc.or.kr)에서 확인하면 된다. 전라남도 고흥에 위치한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는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 위탁 운영하는 5개 국립청소년수련시설 중 하나로, 국내 최초 우주과학 체험시설이다. 김주혁 선임기자 happyhome@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