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연합훈련은 제한적
    2025-07-13
    검색기록 지우기
  • TV
    2025-07-13
    검색기록 지우기
  • A
    2025-07-1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2
  • 코로나 바이러스에 軍 연합훈련 고심…“지켜보며 결정”

    코로나 바이러스에 軍 연합훈련 고심…“지켜보며 결정”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늘어가는 가운데 군 당국이 올해 계획된 연합훈련 진행 여부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연합훈련에 제한은 없다면서도 확산 추이를 지켜보며 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6일 군 당국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 탓에 대부분의 국내 야외 기동훈련은 대부분 제한을 받고 있다. 대규모 훈련이나 장거리 행군은 되도록 하지 않고 주둔지 근처에서 제한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행군 훈련을 할 때는 주민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고자 야간에 시행한다. 부대별 계획된 소규모 야외훈련도 현장 지휘관 판단에 따라 주둔지 훈련으로 바뀌거나 잠정 연기하고 있다. 이와 달리 다른 국가와 함께 진행하는 연합훈련은 고심을 거듭하는 모습이다. 우선 태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코브라골드’는 당초 이달 25일부터 진행될 계획이었으나 아직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해당 훈련에 중국 인민해방군이 참가하는 만큼 감염 위험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코브라골드는 외교적인 문제도 얽혀 있어 우리가 먼저 참가 취소를 결정하기란 어려운 일”이라고 전했다. 올해 3월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도 일단 예정대로 준비하고 있다. 지휘소연습(CPX) 형태로 진행되는 한미 연합훈련은 실내에서 진행해 야외 기동훈련이 없어 신종 코로나의 위협을 덜 받는다. 일각에서는 훈련 참가자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훈련을 진행하는 모습도 연출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군 관계자는 “아직은 영향이 없다고 보여 계획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라며 “확산 추이를 지켜본 뒤 어떤 방안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군 당국은 올해 연합훈련을 지난해와 같이 조정된 방식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계획 중이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조정된 형태로 진행한다는 부분은 변함이 없다”며 “구체적인 것은 결정이 되면 밝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 군은 올해 예비군 훈련을 4월 이후로 연기했다. 육군은 충남 논산 육군훈련소와 현역병 입영문화제를 부대 내부 행사로만 개최하고 외부 인원의 출입은 통제하기로 하는 등 신종 코로나의 여파가 크게 미치는 모습이다. 한편 국방부는 지난달 25일 국내 17번 확진자와 대구에서 식사를 함께한 것으로 확인돼 격리 조치된 해군 군무원 A씨가 검사 결과 음성으로 판정됐다고 밝혔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 대화 잦아진 한·미·일 軍 수뇌부…연합훈련은 제한적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추가 배치, 미국 미사일방어(MD)체제 편입, 한·미·일 군사동맹 등 세 가지 정책을 추진하지 않는다는 이른바 ‘3NO 정책’에 이어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일 한·미·일 군사동맹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힘에 따라 현재의 한·미·일 군사협력 수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한·미·일 3국 간 군사협력의 강도와 빈도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이 고도화되면서 증대 및 확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 군 수뇌부 간 논의가 잦아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하와이에서는 정경두 합참의장, 조지프 던퍼드 미 합참의장, 가와노 가쓰토시 일본 통합막료장 간 3국 합참의장 회의가 열렸다. 미 측 초청으로 이뤄진 이날 회의에서 3국 합참의장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3국 간 정보 공유와 대비 태세 등 안보 분야의 다양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한·미·일 국방장관회의도 수시로 열리고 있다. 지난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대화’에 이어 지난달 필리핀 클라크에서 개최된 ‘아세안확대 국방장관회의’에서 3국 국방장관은 북핵 대응책 등을 별도 논의했다. 활발한 논의와는 달리 3국 간 연합훈련은 제한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3국이 함께 실시하는 연합훈련은 연간 2~3차례의 미사일경보(탐지) 훈련과 대(對)잠수함훈련 등에 국한된다. 그나마 미국이 앞장서서 성사됐다. 대북 공조를 뛰어넘는 일본과의 군사협력 확대에 대한 우리 측의 거부감이 작용한 탓으로 풀이된다. 일본의 우경화, 군사대국화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반감도 일본을 포함한 한·미·일 군사동맹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문 대통령도 이 점을 지적했다. 박홍환 전문기자 stinger@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