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핫이슈 기사

한은 기준금리 0.25%p 인상

관련 주요 기사 3
  • 한은, 6 연속 기준금리 인상…속도는 ‘베이비스텝’

    한은, 6 연속 기준금리 인상…속도는 ‘베이비스텝’

    한국은행이 여전히 5%대에 이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잡기 위해 24일 사상 처음 여섯 차례 연속(4·5·7·8·10·11월)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다만 미국의 통화 긴축 속도 조절 가능성, 안정된 원달러 환율, 자금·신용경색 위험, 경기 침체 등을 고려해 보폭은 지난달 빅스텝(기준금리 0.50% 포인트 인상)에서 이달 베이비스텝(0.25% 포인트 인상)으로 좁혔다. ● 기준금리 0.25% 포인트 상승연이은 인상 행진…물가 오름세 여전한 영향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3.00%인 기준금리를 3.25%로 0.25% 포인트 올렸다. 앞서 지난 2020년 3월 16일 금통위는 코로나19 충격으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낮추는 이른바 ‘빅컷’(1.25→0.75%)에 나선 바 있다. 이어 같은해 5월 28일 추가 인하(0.75→0.50%)를 통해 2개월 만에 0.75% 포인트나 금리를 빠르게 내렸다. 이후 아홉 번의 동결을 거쳐 지난해 8월 26일 15개월 만에 0.25% 포인트 높였다. 기준금리는 이후 같은 해 11월, 올해 1·4·5·7·8·10월과 이날까지 약 1년 3개월 사이 0.25% 포인트씩 일곱 차례, 0.50% 포인트 두 차례, 모두 2.75% 포인트 올랐다. 금통위가 인상 행진을 멈추지 않은 것은 아직 물가 오름세가 뚜렷하게 꺾이지 않았다고 봤기 때문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109.21)는 지난해 같은달보다 5.7% 올랐다. 상승률이 7월(6.3%) 정점 이후 8월(5.7%), 9월(5.6%) 떨어지다가 석 달 만에 다시 올랐다. 앞으로 1년의 물가 상승률 전망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일반인)은 11월 4.2%로 10월(4.3%)보다 낮아졌다. 그러나 7월 역대 최고 기록(4.7%) 이후 다섯 달째 4%대를 유지하고 있다.● 한미 금리차 0.75% 포인트로 일단 줄어다음달 1.25% 포인트로 커질 전망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이례적 4 연속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으로 최대 1% 포인트까지 벌어진 한국(3.00%)과 미국(3.75∼4.00%)의 기준금리 차이도 인상의 주요 배경이다. 이날 베이비스텝으로 미국과의 격차는 0.75% 포인트로 좁혀졌다. 그러나 다음달 연준이 최소 빅스텝만 밟아도 격차는 1.25% 포인트로 다시 확대된다. 이처럼 6 연속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했으나 한은은 10월에 이어 연속 빅스텝을 밟지는 않았다. 최근 1300원대 초중반에서 비교적 안정된 원달러 환율, 아직 불안한 자금·신용 경색 상황,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 경기 침체를 반영한 결정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나라 시각으로 이날 이른 오전 공개된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11월 정례회의 의사록 내용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읽힌다. 의사록에 따르면 지난달 자이언트스텝 결정 당시 다수의 FOMC 위원들은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에 동의했다. 이에 따라 다음달 13∼14일(현지시간) FOMC에서 연준이 자이언트스텝보다는 빅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 한은 ‘빅스텝’ 대신 ‘베이비스텝’ … 기준금리 3.25%로

    한은 ‘빅스텝’ 대신 ‘베이비스텝’ … 기준금리 3.25%로

    한국은행이 사상 첫 6연속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다만 지난 10월 0.50%포인트를 인상하는 ‘빅스텝’을 했던 한은은 원·달러 환율이 진정되고 자금시장 경색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0.25%인상에 머물며 속도 조절에 나섰다.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이날 오전 9시 열린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현재 연 3.00%인 기준금리를 3.25%로 인상했다. 앞서 한은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기준금리를 0.50%까지 내렸지만 지난해 8월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초저금리 시대’의 종결을 알렸다. 이어 지난해 11월, 올해 1·4·5·7·8·10월과 이날까지 1년 3개월 동안 기준금리를 끌어올렸다. 특히 올해 들어 7월과 10월 ‘빅스텝’을 단행하며 긴축의 강도를 높였다. 한은 금통위가 6연속 금리 인상을 이어간 것은 여전히 5%대 물가상승률 고공행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10월 소비자물가지수(109.21)는 전년 동기 대비 5.7% 올라, 7월(6.3%) 정점을 찍은 뒤 여전히 5%대 중후반에서 머물고 있다. 유럽연합(EU)의 대 러시아 에너지 제재로 국제 에너지 가격이 추가로 올라 물가를 추가로 끌어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 역시 기준금리를 “예상보다 높게, 기간은 길게” 이어갈 것임을 시사하면서 고강도 긴축이 상당 기간 동안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과 미국 간의 기준금리 격차는 0.75%포인트 좁혀졌으나, 연준이 다음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하면 기준금리 격차는 1.25%포인트로 벌어진다. 다만 한은은 2연속 ‘빅스텝’ 대신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으로 속도 조절에 나섰다. 지난달 평균 1420원대였던 원달러 환율이 이달 들어 1310~1350원대로 진정되면서 빅스텝을 해야 할 유인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긴축의 속도를 다소 늦출 것이라는 전망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10월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이 둔화되면서 ‘인플레이션 정점론’이 고개를 들며 다음달 FOMC에서 자이언트 스텝 대신 빅스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1.7% 한국 역시 ‘7월 물가 정점론’이 대두되는 가운데,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전망을 내놓고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8월(5.2%)에서 0.1%포인트 낮춘 5.1%로 제시했다. 내년도 물가상승률 전망치 역시 8월(3.7%)보다 낮은 3.6%로 하향 조정했다. 또 한은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8월(2.1%)보다 0.4%포인트 낮춘 1.7%로 제시했다. 국제신용평가회사 피치(1.9%),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 한국개발연구원(KDI·1.8%)보다는 낮고 한국금융연구원(1.7%)과 같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출 부진과 금리 인상으로 인한 내수 부진, 부동산 경기 침체 등 한국 경제에 닥친 복합 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 한은 “외환 리스크 완화·자금시장 위축에 0.25%포인트 인상”

    한은 “외환 리스크 완화·자금시장 위축에 0.25%포인트 인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사상 첫 6연속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도 ‘빅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 대신 ‘베이비 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으로 속도 조절에 나선 것은 원·달러 환율이 진정되고 단기 자금시장 위축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 금통위는 2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을 통해 “높은 수준의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어 물가안정을 위한 정책 대응을 이어갈 필요가 있다”면서도 “경기 둔화 정도가 8월 전망치에 비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외환부문의 리스크가 완화되고 단기금융시장이 위축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0.25%포인트가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3.25%로 조정했다. 금통위는 세계 경제가 높은 인플레이션과 주요국의 긴축 기조,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경기 둔화가 이어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로 위험 회피심리가 일부 완화되면서 미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고 장기시장금리가 하락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국내경제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약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8월(2.6%)을 유지하면서도 내년 전망치는 8월(2.1%)에서 0.4%포인트나 끌어내린 1.7%로 제시했다. 금통위는 또 소비자물가에 대해 “기저효과와 경기 둔화 영향 등으로 상승률이 다소 낮아지겠지만 5% 수준의 높은 오름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하며 올해 및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8월(5.2%·3.7%)에서 각각 0.1%포인트 낮춘 5.1% 및 3.6%로 제시했다. 이어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국내외 경기 둔화 정도, 전기·가스요금 인상폭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금통위는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면서 “국내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지겠지만 물가가 목표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당분간 금리인상 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