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위너
    2025-09-09
    검색기록 지우기
  • 이영자
    2025-09-09
    검색기록 지우기
  • 청혼
    2025-09-09
    검색기록 지우기
  • 이세영
    2025-09-09
    검색기록 지우기
  • 혁명
    2025-09-09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핫이슈 기사

미국, 삼성·SK 반도체장비 중국 반출 연간 허가 검토

관련 주요 기사 1
  • “美, 삼성‧SK 중국 공장에 ‘미국산 반도체 장비’ 허용 검토”

    “美, 삼성‧SK 중국 공장에 ‘미국산 반도체 장비’ 허용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대해 미국산 반도체 제조 장비의 중국 공장 반출을 허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 통신은 7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주 미국 상무부가 중국 내 한국 반도체공장에 대해 매년 장비 수출 물량을 승인해주는 방식으로 반출을 허용할 수 있다고 한국 정부에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그간 중국에 있는 한국 기업의 반도체공장은 미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의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명단에 포함돼 미국산 장비 반입에 문제가 없었다. VEU는 일정한 보안 조건을 충족할 경우 별도의 허가 절차나 기간 제한 없이 미국산 장비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예외적 지위를 말한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VEU 명단에서 삼성과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을 제외했다. 새 제도가 도입될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 내 공장 운영이 가능해지지만, 매년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행정적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고장에 대비해 미리 12개월간 필요한 부품을 보내야 할 수도 있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불확실성이 다소 줄어들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중국 내 생산 고도화를 제한하려는 미국 정책 기조가 이어지고 있어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중국 수출 길이 막힌) 미국 장비 업체들의 불만을 의식한 조치로 보인다”면서 “연간 허가를 받으면 한국 기업 입장에서는 숨통이 조금 트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주 목적은 중국 반도체 산업 발전을 제약하는 것이므로, 규제가 근본적으로 완화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