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핫이슈 기사

이재명, 이래경 사퇴에 "무한책임 지는 게 대표"

관련 주요 기사 4
  • 이재명, 이래경 사태에 “대표는 결과에 무한 책임”

    이재명, 이래경 사태에 “대표는 결과에 무한 책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7일 당 혁신기구 위원장으로 내정했다 사퇴한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이사장 관련 논란에 대해 “결과에 대해서 언제나 무한 책임지는 것이 당 대표가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당에서 벌어진 일에 대해서 당 대표가 언제나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당 대표가 권한을 가진 만큼 내부 논의를 충분히 했든 안 했든 충분히 다 논의하고 하는 일”이라고 했다. 다만 그는 천안함 관련 실언으로 논란이 이는 권칠승 수석대변인의 거취, 사과 계획 등 구체적인 책임 방식을 묻는 말엔 침묵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5일 오전 이 이사장을 당 혁신기구 위원장으로 선임했지만, 이 이사장은 각종 과거 행적, 발언 논란으로 발표 9시간 만에 사퇴했다. 이를 놓고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명(비이재명)계 간의 네 탓 공방으로 당은 분열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특히 지도부에서조차 쓴소리가 나왔다. 송갑석 최고위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장고 끝에 악수’라는 말의 전형적인 예가 드러난 것”이라며 “지도부나 이 대표가 보안 쪽을 많이 생각했던 것 같은데 적어도 조금 더 전에 (논의)해서 생각해 볼 여지를 줬더라면 인사 참사도 방지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든다”고 비판했다. 송 최고위원의 지적은 최고위원들이 이 대표가 최고위원회의에서 혁신위원장 인선을 발표하기 바로 전날 관련 내용을 처음 접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에게 이 이사장을 추천한 인사는 함세웅 신부인 것으로 전해졌다. 송 최고위원은 “함세웅 신부를 비롯한 민주화운동 원로분들 추천이 있었다. 그분(이래경)도 처음에는 굉장히 망설이고 고사했지만 ‘함세웅 신부 등이 이래경 씨를 설득했다’라는 이야기를 이재명 대표가 직접 했다”고 말했다.
  • 민주 이상민 “이재명 한계, 퇴진해야”… 비명계, 당 지도부 맹폭

    민주 이상민 “이재명 한계, 퇴진해야”… 비명계, 당 지도부 맹폭

    비명(비이재명)계인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이재명 대표가 지명한 혁신위원장이 논란으로 사퇴한 것을 두고 이 대표의 ‘한계’를 거론하며 퇴진을 요구했다. 이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혁신위 자체도 처음부터 이렇게 돼서 그 권위가 제대로 리더십이 발휘가 될까 (의문이다)”라며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 쪽부터 자신의 결함이 안고 출발을 했고 그 이후 여러 가지 리더십 발휘하는 중요 대목에서 제대로 발휘도 못 했다. 그게 이 대표의 결함과 한계이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려면 이 대표 스스로가 퇴진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민주당이 이 대표의 퇴진 이후 박광온 원내대표 대행체제로 운영될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 친낙(이낙연)계로 분류되는 박 원내대표 체제로 당이 운영되면 당내 분열 양상이 격화될 수 있다는 지적에는 “부인할 수 없다”면서도 “내부 분열이나 갈등을 오히려 최소화하는 그런 쪽으로 지혜와 역량을 모으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역시 비명계인 김종민 의원도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혁신위원장 인선을 보면 혁신을 지난 1년 동안의 ‘이재명의 민주당’, 이 대표를 지지하는 팬덤 지지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혁신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강성 지지층의 지지는 더 강화될 수 있지만 국민의 일반 여론이나 중도층, 더 넓은 국민 지지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이사장의 페이스북 글을 봤더라도 문제가 뭔지 안 보였을 가능성이 높다. 더 강력한 개혁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추천받고 수용한 것 같다”며 “그랬다면 이분이 한 여러 얘기들이 오히려 민주당에 필요한 얘기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 이래경 “‘천안함 자폭’ 과잉 표현…‘원인불명’이 제 입장”

    이래경 “‘천안함 자폭’ 과잉 표현…‘원인불명’이 제 입장”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에 임명됐다가 극단적 성향의 발언이 논란이 돼 결국 9시간여만에 사퇴한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이사장이 자신이 과거에 썼던 ‘천안함 자폭’이란 표현이 다소 과했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 이사장은 7일 연합뉴스에 보낸 입장문에서 “‘자폭’이라고 한 것은 전문가가 아닌 기업인 출신인 제가 순간적으로 과잉 표현한 것으로, 정확하게 ‘원인 불명 사건’이라는 것이 제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 이사장은 지난 2월 중국의 정찰 풍선이 미국 영공에서 격추됐을 당시 페이스북에 “자폭된 천안함 사건을 조작해 남북관계를 파탄 낸 미 패권 세력이 이번에는 궤도를 벗어난 기상측정용 비행기구를 국가 위협으로 과장했다”고 한 바 있다. 그러자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은 SNS에 ‘현충일 선물 잘 받았다’면서 이재명 대표가 ‘천안함 자폭’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이 이사장을 당 혁신위원장에 지명한 것에 항의하는 글을 올렸다. 그러자 같은 날 권칠승 당 수석대변인은 최 전 함장을 겨냥해 “무슨 낯짝으로 그런 이야기를 하는 거냐. 부하들 다 죽이고 어이가 없다”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이 이사장은 입장문에서 “‘원인불명인 천안함 사건을 북한의 폭침으로 단정한 미 패권’이라고 했어야 한다”며 “미중 간 대화 분위기가 형성되자 (미국) 매파와 네오콘이 비행기구를 추락시켜 여론을 ‘반중’으로 몰아간 것을 지적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과거 한 매체에 보낸 기고문에 ‘코로나 진원지의 방향이 미국을 향하고 있다’고 한 것을 두고는 “(중국)우한이 코로나를 전 세계로 확산시킨 ‘ecocenter’라는 것은 분명하다”며 “그러나 확산의 중심지와 바이러스 진원지는 분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 정보기관의 대선 개입설을 주장한 데 대해선 “(2019년) 윤석열씨가 검찰총장 취임 직후 미국 중앙정보국(CIA) 수장인 지나 해스펠이 극비리에 방한해 윤 총장을 면담했다”며 “이후 윤 총장은 대통령도 무시하는 안하무인의 행보를 보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런 맥락에서 미 정보기관의 용산 대통령실 도청 사례는 미 패권이 한국 정치의 배후에 깊숙이 개입해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대선 당시 항간에는 서울에만 1000명 단위의 미국 휴민트(인적 첩보)가 활동한다는 소문이 돌았다”라고도 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전범으로 낙인찍는 것은 위선’이라고 쓴 기고문과 관련해 이 이사장은 “푸틴이 전범이면 이라크를 침공한 ‘아들 부시’, 중동의 테러 위험 인사의 암살을 지시한 오바마도 같은 취급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 “부적절 표현” 권칠승, ‘천안함장 낯짝’ 발언 사과

    “부적절 표현” 권칠승, ‘천안함장 낯짝’ 발언 사과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이 7일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에 대한 자신의 발언을 사과했다. 지난 5일 당 혁신위원장으로 임명됐다가 9시간여 만에 사퇴한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이사장의 ‘천안함 자폭’ 발언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최 전 함장을 향해 “무슨 낯짝으로 그런 이야기를 하는 거냐. 부하들 다 죽이고 어이가 없다”라고 비난한 바 있다. 최 전 함장이 페이스북에 “현충일 선물 잘 받았다”면서 이재명 대표가 ‘천안함 자폭’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이 이사장을 당 혁신위원장에 지명한 것에 항의하는 글을 올리자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다. 권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공당 대변인으로서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천안함 장병 유족들을 비롯해 마음의 상처를 받았을 모든 분에게 깊은 유감의 말씀을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아울러 저는 국회 장관 청문회 과정에서 천안함 사건은 북한의 소행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음을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그가 언급한 ‘국회 장관 청문회’란 2021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뜻한 것으로 보인다. 권 수석대변인은 ‘대변인직을 계속 수행하느냐’, ‘국민의힘의 징계 요구에는 어떤 입장이냐’, ‘최 전 함장을 만날 것이냐’ 등의 취재진 질문에는 답하지 않고 자리를 떠났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