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홍준표
    2025-07-15
    검색기록 지우기
  • 김현중
    2025-07-15
    검색기록 지우기
  • 현충원
    2025-07-15
    검색기록 지우기
  • MBC 파업
    2025-07-1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핫이슈 기사

한은 '기준금리 인상' 발표에 코스피 소폭 하락

관련 주요 기사 3
  • 치솟는 물가 잡는다…한은, 15년 만에 두 달 연속 기준금리 인상

    치솟는 물가 잡는다…한은, 15년 만에 두 달 연속 기준금리 인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지난달에 이어 또다시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금통위가 15년 만에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걷잡을 수 없이 오르는 물가를 잡는 게 시급하다고 판단해서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대 문턱에 다다랐고, 기대인플레이션율도 3%대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긴축에 따른 한미 금리차 역전에 대한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통위는 26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1.50%인 기준금리를 연 1.75%로 0.25% 포인트 인상했다. 금통위가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2007년 7~8월 이후 약 15년 만이다. 2020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기 위축 우려로 같은해 5월 연 0.5%까지 낮아진 기준금리는 지난해 7월까지 유지됐다. 이른바 ‘제로금리’ 시대는 지난해 8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막을 내렸다. 올해 1월과 4월에 이어 이달까지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9개월 만에 기준금리는 1.25% 포인트나 오르게 됐다. 금통위가 금리를 인상한 것은 치솟는 물가의 영향이 크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8%로, 1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 일반 국민들이 예상하는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기대인플레이션도 3.3%로, 9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지면 임금 결정, 상품 가격과 투자 결정 등에 영향을 미치고, 최종적으로는 실제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앞으로도 물가 상승 압력은 지속될 것이라는 얘기다. 한은은 이날 수정 경제전망에서 기존 3.1%였던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5%로 크게 올려잡았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3.0%에서 2.7%로 낮춰 잡았다.
  • 9개월 새 기준금리 0.5%→1.75%…1인당 이자 부담 80만원 넘게 늘어

    9개월 새 기준금리 0.5%→1.75%…1인당 이자 부담 80만원 넘게 늘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15년 만에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대출자의 이자 부담이 갈수록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8월부터 9개월간 기준금리가 다섯 차례나 오르면서 이미 1인당 평균 이자액은 80만 5000원 정도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물가를 잡으려면 금리 인상은 당분간 불가피한 상황이라 다중채무자,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채무 부실화 우려도 나온다. 금통위는 26일 만장일치로 연 1.50%인 기준금리를 연 1.75%로 0.25% 포인트 인상했다. 금통위가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2007년 7~8월 이후 약 15년 만이다. 2020년 5월 연 0.5%까지 낮아진 기준금리는 지난해 7월까지 유지됐지만, 같은해 8월과 11월 두 차례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제로금리’시대는 막을 내렸다. 이어 올해 1월과 4월, 이달까지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9개월 만에 기준금리는 1.25% 포인트 오르게 됐다.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은행 등 금융사의 조달 비용이 늘고, 소비자에게 적용하는 금리도 오르게 된다. 대출금리가 지난 9개월간 기준금리 인상 폭만큼 오르면 대출자의 이자 부담은 17조원 정도 불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한은은 지난해 9월 기준으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상되면 연간 가계의 이자 부담이 3조 2000억원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추산하면 지난 9개월 동안 기준금리가 1.25% 포인트 오르면서 대출자 1인당 평균 이자액은 289만 6000원에서 370만 2000원으로 80만 5000원 정도 증가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가계의 이자 부담은 3조, 기업의 이자 부담은 2조 7000억원 정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높은 물가 전망 속에 금통위가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시장에서는 올해 남은 4번의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2~3차례 정도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연말이면 현재 연 1.75%인 기준금리가 연 2.25~2.50%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 총재도 ‘연말 기준금리 2.25~2.50% 전망이 합리적이냐’는 질문에 “인플레이션 전망치가 높아졌기 때문에 당연히 시장의 기대가 올라간 것은 합리적 기대”라고 답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 수개월간 물가를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할 것”이라며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보다는 물가 상방 압력을 걱정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리면 기대심리까지 포함해 물가에 2년간 0.1%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5번의 금리 인상으로 물가에 0.5% 정도 영향을 미쳤는데, 결코 적은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 [속보] 한은, 기준금리 연 1.75%로 인상…15년 만에 두 달 연속 올려

    [속보] 한은, 기준금리 연 1.75%로 인상…15년 만에 두 달 연속 올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6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려 연 1.75%로 결정했다. 이는 지난 1월(1%→1.25%)과 4월(1.25%→1.5%)에 이어 올해 들어 3번째 금리 인상이다. 두 달 연속 금리를 올린 것은 2007년 7~8월 이후 약 15년 만에 처음이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