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핫이슈 기사

신규 코로나19 나흘 확진 127명

관련 주요 기사 3
  • “핼러윈 앞두고 재확산 우려”...코로나19 신규 확진 127명(종합)

    “핼러윈 앞두고 재확산 우려”...코로나19 신규 확진 127명(종합)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이어지면서 31일 일일 신규 확진자수가 127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8~30일(103명→125명→114명)에 이어 신규 확진자수는 나흘 연속 세 자릿수로 확인됐다. 특히 이날 ‘핼러윈 데이’가 있는 만큼 방역당국은 긴장하고 있다. 지난 5월 이태원발(發) 집단감염과 같은 코로나19 확산의 새로운 기폭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서울 이태원과 강남, 홍대 등지의 대규모 인기 클럽은 감염 확산을 우려해 일제히 문을 닫았지만, 서울 이외 클럽이나 감성주점·헌팅포차 등으로 젊은이들이 몰리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신규 확진 127명...서울 방문교사·지인 모임 등 감염 이어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27명 늘어 누적 2만6511명이라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127명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96명, 해외유입이 31명이다. 확진자가 나온 지역을 보면 서울 51명, 경기 23명, 인천 3명 등 수도권이 77명이다. 수도권 이외에는 대구 9명, 충남 4명, 세종 3명, 부산 2명, 경남 1명이다. 전날 낮 12시 기준으로 대구 서구 대구예수중심교회 관련 확진자가 하루 새 12명이 늘어나면서 누적 22명이 됐다. 서울 은평구에서는 방문 학습지도를 하는 교사가 지난 27일 확진된 이후 수강생과 수강생 가족·지인 등 12명이 추가로 양성 판정을 받아누적 확진자가 13명으로 늘었다. 또한 서울 강남구 럭키사우나(누적 28명), 서울 구로구 일가족(46명), 강남·서초 지인모임(31명), 경기 용인시 동문 골프모임(54명), 경기 포천시 추산초등학교(16명), 경기 남양주시 행복해요양원(74명), 경기 광주시 SRC재활병원(147명) 등에서도 추가 감염자가 나와 집단발병 규모가 계속 커지고 있다. 해외 유입 확진 31명...사망자 1명 늘어 해외유입 확진자는 31명으로, 전날(21명)보다 10명 늘었다. 확진자 31명 가운데 25명은 공항이나 항만 입국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고 나머지 6명은 경기(4명), 서울·충남(각 1명)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하던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역발생과 해외유입(검역 제외)을 합치면 서울 52명, 경기 27명, 인천 3명 등 수도권이 82명이다. 전국적으로는 8개 시도에서 확진자가 새로 나왔다. 한편, 사망자는 전날보다 1명 늘어 누적 464명이 됐다. 코로나19로 확진된 이후 상태가 위중하거나 악화한 ‘위중증’ 환자는 3명 늘어 54명이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 [속보] “나흘 연속 세 자릿수”...코로나19 신규 확진 127명

    [속보] “나흘 연속 세 자릿수”...코로나19 신규 확진 127명

    중앙방역대채곤부는 31일 0시 기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27명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누적 확진자는 2만6511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8일부터 30일(103명→125명→114명)에 이어 나흘 연속 세 자릿수를 기록했다. 이날 신규 확진자 127명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96명, 해외유입이 31명이다. 이달 들어 신규 확진자는 40명대까지 떨어지기도 했지만, 가족·지인 모임 등 산발적 감염이 잇따르면서 연일 100명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 미국 코로나19 환자 900만명 넘어…“확산 끝이 보이지 않는다”

    미국 코로나19 환자 900만명 넘어…“확산 끝이 보이지 않는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최단기간에 100만명 증가 미국 내 코로나19 환자가 30일(현지시간) 누적 900만명을 넘어섰다. 미국 내 코로나19 확산 이후 최단기간 100만명이 증가한 것으로, 이 추세대로라면 누적 1000만명대도 조만간 현실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 존스홉킨스대학은 이날 미국의 누적 코로나19 확진자 수를 900만 7298명, 사망자 수를 22만 9293명으로 집계했다. 지난 16일 800만명을 넘긴 지 14일 만으로, 미국 내 신규 환자 100만명 증가 속도로 최단기간이다. 미국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전 세계 확진자(4536만여명)의 19.9%, 사망자 수는 전 세계 사망자(118만 5000여명)의 19.3%에 해당한다. 미국은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감염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나라로, 그 뒤를 인도(808만 8000여명), 브라질(549만 4000여명), 러시아(158만 8000여명), 프랑스(132만 7000여명)가 차례로 잇고 있다. 존스홉킨스대 통계를 기준으로 미국에서는 1월 20일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뒤 100만명(4월 28일)을 넘길 때까지 98일이 걸렸다. 그러나 이후 43일 만에 200만명(6월 10일)을 넘었고, 다시 28일 만에 7월 8일 100만명이 더 늘어났다. 이후 불과 15일 만인 7월 23일 400만명을 넘겼고, 8월 9일 500만명, 8월 31일 600만명, 9월 25일 700만명, 10월 16일 800만명을 기록한 데 이어 14일 만에 다시 100만명이 늘었다. 첫 환자 발생일로부터 284일 만이다. 미국에서는 가을철인 10월로 접어들면서 코로나19 재확산이 본격화했다. 지난 16일 하루 신규 환자가 6만 9165명으로 7만명에 근접하더니 23일에는 8만 3747명, 24일에는 8만 3730명으로 치솟았고, 29일에는 코로나19 사태 후 최고치인 8만 8521명을 기록했다. 문제는 걷잡을 수 없이 악화하는 사태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국 내 보건 전문가들은 앞으로 가을·겨울이 이어지며 몇 달간 사태가 더 악화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하루 신규 환자 10만명을 넘기는 것도 시간 문제란 진단이 잇따르고 있다. 스콧 고틀립 전 미 식품의약국(FDA) 국장은 최근 “아마도 앞으로 몇 주 내에 언젠가 우리는 (하루) 10만명 감염을 넘길 것”이라며 “만약 모든 주가 제때 보고한다면 이번 주에 그럴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아시시 자 브라운대학 공중보건대학원 학장도 하루 신규 환자가 “10만명으로 늘더라도 나는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미네소타대학 전염병연구정책센터 소장 마이클 오스터홀름도 23일 CNN에 출연해 “(코로나19) 환자 수에서 쉽게 여섯 자리 숫자에 도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직까지 코로나19 사망자는 급증세를 나타내고 있진 않다. 그러나 이 역시 시간 문제다. 미국 내에서 사망자 증가는 통상 감염자 발생 뒤 4~5주의 시차를 두고 이어지기 때문이다. 워싱턴대 의과대학 보건계량분석연구소(IHME)는 내년 1월 중순쯤이면 미국에서 하루 2250명이 코로나19로 사망할 것이라면서, 내년 2월 1일까지 누적 사망자 수를 39만 9100여명으로 예측했다. 이는 앞으로 석 달 새 약 17만명이 추가로 숨질 것이란 얘기다. 조너선 라이너 조지워싱턴대학 의학교수 역시 “우리가 현재의 행동을 계속한다면 (신규 환자 상승) 곡선이 반대로 내려가기 시작할 때쯤에는 50만명이 숨져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은 코로나19 방역과 대처 문제가 정치적으로 엮이면서 대선을 앞두고 불신과 혼란이 더욱 가중되는 상황이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