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대한의사협회
    2025-07-04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핫이슈 기사

北, 임진강 황강댐 3차례 무단 방류

관련 주요 기사 2
  • 北 황강댐 무단 방류에 통일부 “불행한 일”…7월 이후 벌써 세차례

    北 황강댐 무단 방류에 통일부 “불행한 일”…7월 이후 벌써 세차례

    통일부가 4일 북한의 황강댐 무단 방류에 대해 남북관계 경색으로 자연재해 분야 합의까지 지켜지지 않은 “불행한 일”이라고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측이 올해 들어 7월부터 이달 3일까지 황강댐 수문을 세차례 방류한 것으로 확인된다”며 “북측이 이번에 수문을 개방하면서 우리 측에 사전통보한 조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4일 오전 7시 필승교 수위는 약 3m로 우려할 만한 단계는 아니다”라며 “정부는 관계기관과 협조하며 상황공유 등 대응 체계를 철저하게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고 했다. 임진강 상류에 위치한 황강댐은 저수용량 총 3억5000만t 규모다. 지난 2009년엔 북한이 사전 통보 없이 무단 방류하면서 임진강에서 우리측 야영객 6명이 급류에 휩쓸려 숨지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이후 남북은 실무회담을 열고 북한의 황강댐 방류시 사전통보하기로 합의했지만 북한은 2013년부터 최근까지 통보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측은 2010년부터 홍수 조절댐인 군남댐을 가동해 대비하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남북은 2009년 10월 임진강수해방지 관련 실무회담서 북측이 황강댐을 방류할 경우 사전 통보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며 “현재 정치군사적 냉각국면으로 자연재해 부문 협력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어 불행한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남북 간 합의 사항은 반드시 이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남북관계가 복원되면 재해 분야서 남북간 협력을 본격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 “북한, 7월부터 세 차례 통보없이 황강댐 무단 방류”

    “북한, 7월부터 세 차례 통보없이 황강댐 무단 방류”

    북한이 임진강 상류의 황강댐 수문을 지난달부터 통보 없이 세 차례 열어 강물을 무단 방류한 것으로 파악됐다. 통일부는 4일 황강댐 수문 개방과 관련해 “북한이 올해 7월부터 지난 3일까지 세 차례에 걸쳐 방류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사전통보 여부에 대해 “북한이 수문을 개방하면서 우리 측에 사전통보 조치를 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다만 이날 오전 7시 기준으로 “우리 측 필승교 수위가 2.99m로 우려할만한 단계가 아니다”라면서 “정부는 여러 기관과 긴밀히 협조하면서 상황 공유 등 대응 체계를 철저하게 구축해 운용 중”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2009년 9월 황강댐 물을 예고 없이 방류해 경기도 연천군 주민 6명이 사망한 것을 계기로, 같은 해 10월 임진강 수해방지 관련 남북 실무회담에서 북한이 황강댐 방류 시 남측에 사전 통보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후 세 차례에 걸쳐 황강댐 방류 사실을 남측에 알렸지만, 2013년 이후 최근까지 단 한 차례도 사전에 통보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자는 북한이 합의를 어긴 데 대해 “정부는 남북 간 합의사항은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남북관계가 복원되면 재난·재해 분야에서 남북 간 협력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아갈 것”이라며 “현재 정치·군사적 냉각 국면으로 자연재해 협력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은 불행한 일”이라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