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구글
    2025-07-06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핫이슈 기사

미국 코로나19 확진자 15만명 돌파

관련 주요 기사 4
  • 美 확진자 몰린 뉴욕으로 향한 의료진…분투 앞두고도 환한 미소

    美 확진자 몰린 뉴욕으로 향한 의료진…분투 앞두고도 환한 미소

    세계 최대 코로나19 감염국으로 떠오른 미국,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온 뉴욕으로 의료진이 속속 집결하고 있다. 27일(현지시간)에는 애틀랜타 의료진 29명이 뉴욕으로 향했다. 코로나19 최전선에서 목숨을 건 분투를 앞두고 있었지만 이들은 하나같이 밝은 표정이었다. 사우스웨스트항공 대변인은 30일 CNN에 “비행기에 탄 의료진은 모두 환한 미소를 보여줬다. 도움이 필요한 곳에서 제 역할을 하고 싶어 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 승무원들이 찍은 사진을 보기 전까지는 이렇게 많은 의료진이 뉴욕으로 향하고 있는 줄 몰랐다”고 덧붙였다.<!-- MobileAdNew center -->31일 현재 뉴욕주 코로나19 확진자는 6만7325명, 사망자는 1342명이다. 미국 내 감염자의 40%가 몰려있는, 그야말로 사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환한 미소와 함께 손으로 하트를 만들어 보이는 의료진의 모습은 감동을 넘어 숙연함마저 들게 한다. AP통신은 애틀랜타 지역 병원 소속인 이들이 코로나 사태 진압을 위해 뉴욕 라과디아공항으로 이동하는 중이었다고 전했다. 항공사 측은 “우리 모두 코로나19 팬더믹(세계적 대유행) 영향권에 있지만, 의료 전문가들에게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는 잘 모른다”면서 “이 용감한 사람들은 엄청난 위험에 노출될 것을 알면서도 자신보다 환자를 우선에 두고 있다. 그들의 사심 없는 희생은 어두운 시간을 지나고 있는 우리에게 등불과도 같다”고 박수를 보냈다.<!-- 광고 right --><!-- MobileAdNew center -->또 “의료진의 용기가 나와 내 가족, 친구와 동료, 이웃 그리고 더 많은 사람에게 싸울 기회를 부여한다”라고 고마움을 표했다. 그러면서 “(뉴욕행이) 쉬운 일이었다면 누구든 했을 것이다. 우리는 이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안다. 매일 같이 뉴욕 의료현장의 최전선에서 싸우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감사를 전한다”라고 밝혔다. 코로나19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뉴욕주는 현재 휴교령과 외출금지령 등 봉쇄 조치를 취하고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뉴욕시 명소인 센트럴파크에는 코로나19 환자를 수용하기 위한 임시 병원이 들어섰으며, 1000개 병상과 12개 수술실을 갖춘 미 해군의 병원선 ‘컴포트’호도 가동에 들어갔다. 한편 미전역의 코로나19 환자는 16만4253명이며, 사망자는 3167명으로 집계됐다.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 뉴욕 냉동트럭 안에는 코로나로 사망한 시신들만 즐비

    뉴욕 냉동트럭 안에는 코로나로 사망한 시신들만 즐비

    미국 인터넷뉴스 버즈피드는 지난 29일(현지시간) 뉴욕의 한 간호사가 찍은 충격적인 사진을 공개했다. 38살로 맨해튼의 병원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는 29일 아침 병원 건물의 구급차 구역에 갔다가 거대한 냉동 트럭이 코로나19 사망자를 옮기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트럭으로 다가가서 자물쇠를 열고 비닐로 싸인 시체들이 놓여 있는 트럭 내부를 촬영했다. 이름을 밝히기를 거부한 남성 간호사는 응급실에서 근무하며 “우리가 맞닥뜨린 섬뜩한 현실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다”라고 사진을 찍은 이유를 말했다. 버즈피드 측은 시체를 싼 비닐에 적힌 사망자의 성명은 모자이크 처리했다. 사진이 불러올 파장을 우려해 이름과 근무 병원을 알리지 않은 간호사는 “나는 사람들이 마지막 숨을 거둘 때까지 곁에 앉아 임종을 지킬 만한 인내심이 없는데, 한 여성의 카디건과 잠옷이 맘에 들어 그녀를 좀 더 알고 싶다는 생각에 곁을 지켰다”며 이 여성의 시신이 냉동트럭에 있었다고 설명했다. 대부분의 코로나 사망자는 바이러스 감염 위험 때문에 친구와 가족 없이 홀로 세상을 떠나는 경우가 많다. 간호사는 자신이 임종을 지킨 여성의 나이는 71살로 건강한 상태였다고 밝혔다.그녀는 약 일주일 전 코로나 양성 반응이 나왔으나 집으로 보내졌고, 28일 호흡 곤란으로 병원에 왔으나 하루새 사망했다. 간호사는 미국 의료진이 처한 열악한 현실과 의료장비 부족 상황도 토로했다. 한 개의 일회용 마스크와 한 개의 일회용 가운으로 5번의 12시간 근무를 버텨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는 “만약 의료진이 코로나 양성이라도 일단 증상이 없다면 계속 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게다가 의료 원칙도 매일 새롭게 바뀌고 있어 의료진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일주일 전만 해도 일할 때는 마스크를 벗으라고 교육받았는데 이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라는 지침이 내려왔다고 토로했다. 간호사는 마지막으로 “만약 유대인이라면 냉동트럭에서 본 장면은 유대인 대학살인 홀로코스트와 비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슬퍼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TV나 먼 나라에서 보던 일이 우리나라에서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지난 일주일 동안 TV에서 냉동 트럭 여러 대가 병원으로 들어오는 모습을 계속 지켜보고 있었다. 시체가 너무 많아 처리하지 못해 트럭까지 동원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코로나19에 걸려 숨진 시체를 보관하기 위해 서 있는 트럭 행렬은 로즈가든만큼 길었다. 차량 안 검정색 가방을 보면 병원 보급품이라고 생각하겠지만 그 가방은 물건이 아니라 사람이다. 이런 일은 이전에 본 적 없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미국의 31일 기준 코로나 사망자 숫자는 3040명으로 중국이 밝힌 사망자 3305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 [속보] 미국 코로나 사망자 3000명 넘어, 확진자 수 세계최대

    [속보] 미국 코로나 사망자 3000명 넘어, 확진자 수 세계최대

    미국의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사망자 숫자가 30일(현지시간) 3000명을 넘었다고 존스 홉킨스 대학을 인용해 AFP통신이 31일 보도했다. 30일 기준 미국 확진자 숫자는 16만 3429명, 사망자는 3008명을 기록 중이다. 미국의 확진자 숫자는 10만명을 넘은 이탈리아, 각 8만명 수준인 스페인과 중국보다 훨씬 많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9일 4월 말까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연장하겠다고 밝혀 4월 12일 부활절에는 경제활동을 재개하겠다는 계획을 취소한 바 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 백악관 당국자 “완벽 대응해도 미국민 20만명 사망 가능성”

    백악관 당국자 “완벽 대응해도 미국민 20만명 사망 가능성”

    미국이 코로나19에 거의 완벽하게 대응한다고 해도 자국민 20만명이 사망할 수 있다고 백악관의 코로나19 핵심 당국자가 직접 언급했다. 미국인이 전면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을 철저하게 지킨다고 해도 사망자가 10만∼20만명에 이를 수 있다는 게 미 보건당국의 인식인 셈이다. 데비 벅스 백악관 코로나19 태스크포스(TF) 조정관은 30일(현지시간) 오전 미 N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장이 어제 미국에서 수백만명이 감염되고 10∼20만명이 사망할 수 있다고 했다. 동의하느냐’는 질문을 받자 “거의 완벽하게 대응해도 그 정도가 사망할 수 있다”고 답했다. 벅스 조정관은 160만명에서 220만명이 사망할 수 있다는 전망은 확산 방지를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전망이라며 “우리가 다함께 거의 완벽하게 (대응)한다면 10만∼20만의 사망자 범위에 이를 것이지만 우리는 그런 상황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진행자가 “모든 것이 잘 작동하고 사람들이 하라는 대로 잘했을 때의 10만∼20만명이 사망하는 것이라니 숨이 멎을 지경”이라고 하자 벅스 조정관은 “최선의 시나리오는 미국인 100%가 필요한 일을 정확히 하는 것인데 모든 미국인이 서로를 보호하기 위해 일치된 대응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미국 각지에서 여전히 사회적 거리두기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모습이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는 가운데 빠른 속도로 감염 환자가 늘고 있는 상황을 지적한 것이다. 벅스 조정관은 “이제 모두가 5명에서 50명, 500명, 5000명으로 매우 빨리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거라고 본다”면서 미국의 모든 도시에 대해 아주 걱정스럽다고 덧붙였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