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핫이슈 기사

NHN, 3분기 영업익 276억…흑자전환

관련 주요 기사 3
  • 반도체 훈풍에 3분기 수출 1850억불 ‘역대 최대’

    반도체 훈풍에 3분기 수출 1850억불 ‘역대 최대’

    올해 3분기 수출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가 ‘슈퍼 사이클’에 올라탄 결과다. 국가데이터처가 10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 결과(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수출액은 1850억 달러(약 269조원)로 1년 전보다 6.5% 늘었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대치다. 수출액은 지난 2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증가 흐름이다. 반도체가 성장세를 이끌었다. 재화 성질별로 보면 반도체가 주를 이루는 자본재 수출액이 11.2% 늘어 1110억 달러를 기록했다. 역시 역대 가장 많은 수출액이다. 자동차가 중심이 되는 소비재 수출은 4분기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끊고 4.9% 증가한 239억 달러였다. 원자재 수출액은 화학공업 제품, 섬유류, 철강 및 금속제품 등을 중심으로 1.9% 줄어든 500억 달러였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수출액이 5.1% 증가한 1223억 달러를 기록하며 2015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찍었다. 대기업 수출은 원자재와 소비재에서 줄었지만, 자본재에서 늘었다. 중견기업은 자본재·소비재·원자재 수출이 고루 늘어 7.0% 증가한 323억 달러였다. 역시 역대 최대 수출액이다. 대기업은 반도체, 중견기업은 반도체 부품·장비 수출 증가의 영향이 크다는 게 데이터처 설명이다. 중소기업도 소비재·원자재·자본재 순으로 늘어나 수출액이 11.9% 증가한 298억 달러였다. 3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이며, 전(全) 분기를 통틀어 역대 네 번째로 높은 수치다. 대기업·중견기업 수출액은 2분기 연속, 중소기업은 7분기 연속 증가하고 있다. 대기업 수출이 늘면서 상위 10개 기업의 수출액 비중을 뜻하는 ‘무역 집중도’는 1년 전보다 2.6% 포인트 증가한 40.0%를 기록하며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상위 100대 기업 무역집중도는 0.2% 포인트 떨어진 67.6%였다. 대미 수출액은 3.9% 감소한 293억 달러로, 2023년 3분기 이후 처음으로 300억 달러를 밑돌았다. 3분기 연속 마이너스 흐름이다. 3분기 수입액은 1624억달러로 1년 전보다 1.5% 늘었다. 대기업(-0.9%)에서는 줄었지만 중견기업(4.6%), 중소기업(8.5%)에서는 늘었다.
  • 반도체 호조에 3분기 수출 역대 최대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본격화하면서 올해 3분기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가 10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 결과(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수출액은 1850억 달러(약 269조원)로 1년 전보다 6.5% 늘었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대 규모다. 수출액은 지난 2분기(2.1%)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증가했다. 성장세를 이끈 건 반도체였다. 재화 성질별로 보면 반도체가 주를 이루는 자본재 수출액이 11.2% 늘어 1110억 달러를 기록했다. 역시 역대 가장 많은 수출액이다. 자동차 중심의 소비재 수출은 4분기 연속 감소세를 끊어내고 4.9% 증가한 239억 달러였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수출액이 5.1% 증가한 1223억 달러를 기록하며 2015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를 기록했다. 대기업 수출은 원자재와 소비재에서 줄고 자본재에서 늘었다. 중견기업은 자본재·소비재·원자재 수출이 고루 늘며 7.0% 증가한 323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 또한 역대 최대 규모다. 데이터처는 “대기업은 반도체, 중견기업은 반도체 부품·장비 수출 증가의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 수출액도 298억 달러를 기록하며 11.9% 증가했다. 3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이자 전 분기를 통틀어 네 번째다. 대기업·중견기업 수출액은 2분기째, 중소기업은 7분기째 증가했다. 대기업 수출이 늘면서 상위 10개 기업의 수출액 비중인 ‘무역 집중도’는 1년 전보다 2.6% 포인트 증가하며 역대 가장 높은 40.0%를 기록했다.
  • 하이브, 3분기 매출 역대 최대 신기록에도 422억 적자

    하이브, 3분기 매출 역대 최대 신기록에도 422억 적자

    하이브가 월드투어의 폭발적인 흥행에 힘입어 역대 최고 분기 매출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으나, 글로벌 지식재산권(IP) 확대를 위한 선제적 투자와 북미 사업 구조 개편 비용으로 인해 일시적인 적자 전환을 피하지 못했다. 10일 하이브 실적 공시에 따르면 하이브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7.8% 증가한 727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기존 분기 최고 매출이었던 지난해 4분기 실적(7264억 원)을 뛰어넘는 역대 최고치다. 이러한 강력한 성장세 덕분에 3분기 누적 매출은 약 1조 9300억 원에 달했다. 방탄소년단 진의 글로벌 솔로 투어를 비롯해 투모로우바이투게더와 엔하이픈의 월드투어 등 대규모 공연이 전 세계 팬들에게 사랑받으면서, 공연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성장한 2450억 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422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적자 전환했다. 하이브 측은 영업이익률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글로벌 아티스트 IP 확대를 위한 선제적 투자와 북미 사업 구조 개편에 따른 일회성 비용 지출”을 꼽았다. 이경준 하이브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단기적인 수익성 저하에도 불구하고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팬덤 확장과 수익 기반 안정화를 통해 하이브의 성장 구조가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티스트 컴백이 비교적 줄면서 음반원 부문 매출은 전년보다 감소한 1898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MD 및 라이선싱, 콘텐츠 등 간접 참여형 매출은 전년보다 22% 늘어난 2498억 원을 기록하며 선방했다. 특히 아티스트 투어 활동에 따른 투어 MD와 응원봉, IP 기반 캐릭터 상품 판매 호조 덕분에 MD 및 라이선싱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70% 증가한 1683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팬 플랫폼 위버스 역시 디지털 멤버십, 광고 등 신규 비즈니스 모델 도입 효과로 3분기 누적 기준 흑자 전환을 달성하며 선전했다. 위버스는 오는 18일 중국 최대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QQ뮤직’에 ‘위버스 DM’ 서비스를 오픈하는 등 이용자 접점을 확대할 계획이다. 하이브는 이번 수익성 부담 요인들이 올해 4분기를 기점으로 대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재상 하이브 대표는 “하이브의 핵심인 K-팝 부문은 올해에도 10~15%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회사의 펀더멘털은 여전히 강건하다”고 강조했다. 내년부터 방탄소년단 활동 재개와 주요 아티스트 성장, 위버스의 안정적 흑자 유지 등을 핵심 축으로 삼아 본격적인 수익성 회복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