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훈풍에 3분기 수출 1850억불 ‘역대 최대’
올해 3분기 수출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가 ‘슈퍼 사이클’에 올라탄 결과다.
국가데이터처가 10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 결과(잠정)’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수출액은 1850억 달러(약 269조원)로 1년 전보다 6.5% 늘었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대치다. 수출액은 지난 2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증가 흐름이다.
반도체가 성장세를 이끌었다. 재화 성질별로 보면 반도체가 주를 이루는 자본재 수출액이 11.2% 늘어 1110억 달러를 기록했다. 역시 역대 가장 많은 수출액이다. 자동차가 중심이 되는 소비재 수출은 4분기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끊고 4.9% 증가한 239억 달러였다. 원자재 수출액은 화학공업 제품, 섬유류, 철강 및 금속제품 등을 중심으로 1.9% 줄어든 500억 달러였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수출액이 5.1% 증가한 1223억 달러를 기록하며 2015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를 찍었다. 대기업 수출은 원자재와 소비재에서 줄었지만, 자본재에서 늘었다. 중견기업은 자본재·소비재·원자재 수출이 고루 늘어 7.0% 증가한 323억 달러였다. 역시 역대 최대 수출액이다. 대기업은 반도체, 중견기업은 반도체 부품·장비 수출 증가의 영향이 크다는 게 데이터처 설명이다.
중소기업도 소비재·원자재·자본재 순으로 늘어나 수출액이 11.9% 증가한 298억 달러였다. 3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이며, 전(全) 분기를 통틀어 역대 네 번째로 높은 수치다. 대기업·중견기업 수출액은 2분기 연속, 중소기업은 7분기 연속 증가하고 있다.
대기업 수출이 늘면서 상위 10개 기업의 수출액 비중을 뜻하는 ‘무역 집중도’는 1년 전보다 2.6% 포인트 증가한 40.0%를 기록하며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상위 100대 기업 무역집중도는 0.2% 포인트 떨어진 67.6%였다.
대미 수출액은 3.9% 감소한 293억 달러로, 2023년 3분기 이후 처음으로 300억 달러를 밑돌았다. 3분기 연속 마이너스 흐름이다.
3분기 수입액은 1624억달러로 1년 전보다 1.5% 늘었다. 대기업(-0.9%)에서는 줄었지만 중견기업(4.6%), 중소기업(8.5%)에서는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