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핫이슈 기사

충남도, 한국문화가치대상 최우수상 수상

관련 주요 기사 3
  • ‘정예 청년농 육성’ 충남 스마트팜 사관학교

    ‘정예 청년농 육성’ 충남 스마트팜 사관학교

    “아직은 수익이 적지만, 억대 연봉이 부럽지 않습니다.” 충남도가 농업·농촌 구조 개혁을 위해 청년 창농 육성을 위한 스마트팜 사관학교가 ‘정예 청년농’ 양성의 산실로 떠오르고 있다. 16일 도에 따르면 14개 시군에 스마트팜 사관학교를 설치해 47개의 임대 스마트팜을 운영 중이다. 이곳은 도 농업기술원과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이 체계적 스마트팜 이론과 실습 교육으로 청년농들이 창농해 정착을 돕는다. 시군별로는 당진이 20개로 가장 많고, 논산 6개, 금산 5개, 아산·부여·서천 각 3개 등이다. 올해 3개를 추가 조성한다. 각 임대 스마트팜에서는 청년농이 직접 작물을 재배하며 창농을 준비한다. 연간 임대료가 3.3㎡당 620원으로 저렴하고 재배부터 판매 교육을 받는다. 네덜란드형 스마트팜시스템과 공기열에너지, 포그·분무경·배지경 시스템, 수냉식 냉난방 등 시설을 갖춰 에너지와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동안 스마트팜 사관학교에서는 35명이 졸업해 17명이 창농에 성공했다. 현재 청년농 50명이 미래 부농의 꿈을 키우고 있다. 스마트팜 사관학교 청년농들은 임대 스마트팜을 통해 수익도 실현하고 있다. 교육과 실습이 우선으로 순수익이 적고, 적자 사례도 있지만, 당진의 경우 완숙토마토 재배 청년농이 연간 4500만원 안팎을 거뒀다. 방울토마토 재배 청년농은 연간 9500만원의 소득을 기록했다. 부여 스마트팜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창농에 성공한 김영웅씨는4600㎡(1400평) 규모 스마트팜에서 딸기를 재배해 지난 작기 3억원의 매출에 1억 5000만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스마트팜 사관학교는 청년농이 임대 농장에서 재배부터 판매까지 다양한 이론 및 실습 교육을 받으며 스마트팜 정예 청년농으로 커가고 있다”고 말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16일 현장 점검을 위해 당진 스마트팜 사관학교를 방문해 현황청취를 시작으로 임대 스마트팜 시설과 재배 작목 등을 살핀 뒤, 청년농과 간담회를 가졌다.
  • “충남은 무한한 성장동력” 유럽 경제 중심 獨 헤센주와 협력 증진

    “충남은 무한한 성장동력” 유럽 경제 중심 獨 헤센주와 협력 증진

    김태흠 지사, 獨 경제사절단과 MOU후속 논의충남도,양 지역 교류·협력 증진 방안 모색 우호협력 관계를 맺은 충남도와 독일 헤센주가 충남을 찾아 교류협력 증진 방안을 모색하며 다시 한 번 우정을 과시했다. 경제사절단을 꾸려 충남도를 찾은 독일 헤센주 방문단은 기업 시찰에 이어 의료·요식업 등 다양한 분야 전문 인력 유치에 높은 관심을 표명했다. 16일 도에 따르면 만프레드 펜츠(Manfred Pentz) 독일 헤센주 연방국제관계탈관료부 장관을 비롯한 헤센주 경제사절단이 15일부터 16일 도를 방문했다. 사절단은 첫날 예산 수덕사와 홍성 소재 기업 한양로보틱스를 방문해 문화·산업 분야를 살펴봤다. 이어 다음날 아산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과 헤센주에 본사를 둔 파이퍼베큠코리아 등 주요 산업시설을 시찰하고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앞서 만프레드 펜츠 장관은 도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충남의 첫인상은 대한민국 내 매우 역동적 지역이라는 점”이라며 “혁신과 무한한 성장동력이 충남과 독일 헤센주 연결 고리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독일은 매력적인 한국 문화·예술·경제 등 교류뿐만 아니라 높은 교육 수준에 케어·의료·요식업 등의 분야에 우수 전문 인력 유치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사절단은 박정주 행정부지사와 접견, 김태흠 지사와 만찬 간담회 자리를 갖고 양 기관이 체결한 우호협력 양해각서의 후속 조치들을 논의했다. 양 기관 지휘부 만남은 지난해 10월 김태흠 지사 순방 당시 독일 헤센주 의회 청사에서 우호 협력 의향서(MOU) 체결을 위해 만난 이후 두 번째다. 도와 헤센주는 이번 만남을 통해 지난해 체결한 우호협력 양해각서를 토대로 무역과 투자, 문화·예술·스포츠 교류, 기후 위기 대응, 첨단 기술 및 고등교육 분야 등 폭넓은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프로축구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가 큰 의미가 있을 것”이라며 “상공회의소, 기업 간에도 활발한 교류가 이어지길 기대한다”라고 강조했다. 내년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에 헤센주 대표단을 초청, 교류의 폭을 넓혀가자고도 제안했다. 펜츠 장관은 “내년 헤센주 대표단 꾸려 충남 방문을 추진하겠다”고 화답했다. 독일 헤센주는 독일 16개 주 가운데 경제력 상위권을 차지하는 핵심 지역으로 면적 2만 1110㎢, 인구 640만명 수준이다. 유럽 금융·물류의 중심지인 프랑크푸르트를 비롯해 과학·연구 도시 다름슈타트, 문화·예술 도시 카셀 등을 품고 있다.
  • 청년농 억만장자 꿈, 충남 스마트팜서 현실로

    “스마트팜으로 억대 연봉 실현을 꿈꿉니다.”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한 충남도 스마트팜 사관학교가 ‘정예 농촌창업 청년농’ 양성의 산실이 되고 있다. 충남도는 14개 시군에 스마트팜 사관학교를 설치해 47개 임대 스마트팜을 운영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이곳은 도 농업기술원 등이 이론과 판매 교육, 실습 등으로 스마트팜 청년농을 양성한다. 각 임대 스마트팜에서는 청년농들이 3.3㎡당 620원의 연간 임대료를 내고, 작물을 재배하며 판매 교육 등을 받는다. 네덜란드형 스마트팜시스템과 공기열에너지, 수랭식 냉난방 등 시설도 갖췄다. 그동안 스마트팜 사관학교에서는 35명이 졸업해 17명이 창농에 성공했다. 현재 청년농 50명이 미래 부농의 꿈을 키우고 있다. 완숙 토마토 재배 청년농은 연간 4500만원 안팎의 소득을 거뒀다. 방울토마토 재배 청년농은 연간 9500만원의 소득을 올렸다. 김영웅씨는 4600㎡(약 1400평) 규모 스마트팜에서 딸기를 재배해 지난 작기 3억원의 매출에 1억 5000만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충남도 관계자는 “청년농들이 시행착오 없이 창농해 정착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있다”고 말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