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충남지사 “호우피해 신속복구, 국가지원+α”
집중호우로 충남 지역 재산 피해 규모가 2430억원에 잠정 집계됐다.
충남도는 정부 지원에 더해 도 차원의 특별지원으로 피해민들의 신속한 일상 복귀를 도울 예정이다.
김태흠 지사는 22일 도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이어진 폭우 피해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도에 따르면 집계된 잠정 피해액은 공공시설 1796억원, 사유 시설 634억원 등 2430억원이다.
김 지사는 “20일 윤호중 행안부 장관을 만나 피해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고, 긍정적 답변을 받은 만큼 곧 지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주택, 영농시설, 농작물 피해 등 사유 시설은 피해를 입어도 법과 규정에 따라 지원이 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며 “특별재난지역 지정 시 정부 지원액은 207억원 수준이지만, 도가 추가로 168억원을 특별지원해 실질적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는 950건(반파 7채, 침수 943채)의 피해가 발생한 주택은 정부 지원에 더해 반파는 최대 6000만원까지, 침수는 600만원을 지원한다.
농업 분야는 13개 시군 총 1만 6772㏊(침수 1만 6714㏊, 유실·매몰 58㏊)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액은 작물 237억원, 농업시설 77억원 등 314억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부는 피해 시설에 35%, 농작물은 50%를 지원한다. 도는 영농시설 등은 피해액 70%까지 추가 지원하고, 농작물은 보험 유무에 따라 3단계로 나눠 차등 지원할 계획이다.
175개 농가에서 51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축산분야는 그동안 정부지원(입식비) 외에는 지원이 없었지만 이번에 피해규모 등을 고려해 폐사축처리비 4억 4000만원을 긴급지원했고, 추가로 농가별 2억원까지 무담보 특례보증을 실시할 계획이다.
326개 업소, 47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소상공인 분야는 정부 지원 300만원에 도와 시군비를 더해 상가당 900만원까지다.
침수물품 등의 피해액을 추가 조사해 실제 피해액에 따라 재해구호기금, 의연금 등을 활용해 추가로 지원하고, 최대 3억원까지 1.5% 저금리 융자도 지원한다.
김 지사는 “매년 정부지원에서 부족한 부분은 도가 추가 지원해 왔지만 획기적 변화가 필요하다”며 “정부와 협의해 피해 예방 및 복구지원 등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